리차드 니버의 5가지 문화유형론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序論
1.당면한 문제(問題)

Ⅱ.本論
A.리처드 니이버의 5가지 문화유형
그는 자신의 저서 <<그리스도와 문화>>에서 그리스도와 문화의 관계성을 규정하는 다섯가지 유형을 ‘사상가들과 연관’시키면서 발전시키고 있다.
1.대립유형(Type of opposition):그리스도와 문화의 對立
(2)톨스토이의 문화배척
(3)비판적 고찰
2.일치유형(Type of agreement):그리스도와 문화의 一致
(1)기독교적 영지주의
(2)쉴라이에르마허와 리췰에 의한 문화기독교주의
(3)비판적 고찰
3.종합유형(Type of synthesis):그리스도와 문화의 綜合
(1)클레멘트의 종합사상
(2)토마스 아퀴나스의 종합사상
(3)비판적 고찰
4.역설유형(Type of paradox):그리스도와 문화의 逆說的 關係
(1)루터의 역설적인 이해
(2)키에르케고르와 트뢸취의 역설적 이해
(3)비판적 고찰
5.변혁유형(Type of transformation):
그리스도에 의한 文化의 變革

Ⅲ.結論

본문내용

타락되었다고 이해한다.요한에 의하면 과거와 미래가 영원과 시간의 관계에 종
속되어 창조는 과거에 속한 한 사건이 아니라 존재의 영원한 시작과 원리요,타락도 현재 하
나님 말씀에 떨어져 나가므로 수행된다.새 시작은 요한에 있어서 그리스도 안에서 하나님의
행위이며 역사의 종말에서가 아니라 각자가 살고 있는 실존적 순간이다.요한은 신령과 진정
속에서의 하나님의 예배를 증거하므로 유대교에 대한 그리스도의 개혁운동을 새 유대교로
이해한다.그는 당시 밀의 종교의 외적행동에서 스스로를 표현하려는 영을 그리스도의 영으
로 변혁시켰다.여기에 요한 사상의 변혁주의적 동기가 놓여있다.
(3)어거스틴의 변혁사상
어거스틴의 사상에 있어서 변혁주의적 동기는 인간의 본성에 대한 이해와 그에 관한 기독
론적인 해석이 결합되어 있는데 있다.어거스틴은 하나님의 세계가 본래 선하다는 것을 인정
하면서 동시에 인간과 문화의 부패와 왜곡을 지적한다.여기서 그는 죄의 두 측면을 지적한
다.①인간이 교만에 의해서 하나님의 말씀으로부터 떨어졌다.②이 본래적인 부패로 인해 생
겨난 사회악이다.이 전도된 본성과 부패한 문화를 개혁하기 위해서 예수 그리스도가 오셨
다.①그리스도는 인류에게 교만을 제거하기 위해 신에 순종하는 겸손의 모범이 되기 위해
종의 형상을 입으셨다.②인류를 죄에서 구속하기 위해,은혜의 수단이 되기 위해 그리스도는
인간이 되었다.어거스틴은 또한 지상의 나라와 하나님의 나라는 역사의 두 질서이며 종국에
는 지상의 나라가 하나님의 나라에 합병할 것을 역설하고 있다.
(4)칼빈의 변혁사상
칼빈에 있어서 문화적 사고는 창조론에 입각해 있다.창조론에 입각한 칼빈의 인간론은 하
나님의 형상에 따른 인간 창조와 하나님의 말씀에 의해 창조된 자연의 질서에 입각하고 있
다.그는 바울과 어거스틴을 따라 인간 본성의 전적인 타락을 강조하면서도 근본주의적 반문
화사상을 말하지 않고,적극적 문화사상을 주장한다.그가 죄로 인해 문화가 파괴된다고 주장
하나,반문화주의에 이르지 않는 것은 그의 일반 은총론이다.일반 은총에 근거해서 칼빈은
그리스도 속죄의 사역이 없는 이방인에게도 문화가 가능한 것을 인정한다.이방인에게도 문
화가 가능한 것은 하나님이 두루 주시는 은혜에 의해서 죄의 파괴적 세력을 막고,정부와 사
회적 제도를 통해서 문화적 선을 실현시키기 때문이다.칼빈은 이러한 이방문화에 있어서 두
가지 실태를 지적한다.①이방 문화는 진정한 문화의 이상에 이르지 못하고 쇠퇴했다.②이방
문화는 그 자체안에 부패한 씨를 내포하고 있다.칼빈은 기독교인의 삶의 목적을 하나님의
영광이라 규정지었다.이것은 칼빈의 직업관에서 잘나타난다.직업관은 하나님이 부르시는 이
웃에 대한 소명의식을 말하는 것이다.이 소명의식은 각자가 하나님으로부터 그 재능에 따라
합당하게 받았으므로 직업에 하등의 차별이 없음을 강조한다.
Ⅲ.結論
이상의 고찰에서 보는 바 같이 기독교 신앙과 문화와의 바른 관계를 해명하는데 있어서
“변혁”의 유형이 성서적이며 기독교 신앙이 지니는 문화적 과제를 수행할 수 있는 범주라고
말할 수 있겠다.변혁의 유형 중에서 바울과 요한의 사상과 어거스틴의 사상을 더욱더 발전
시키고 있는 사사이 칼빈의 문화관이요,이 칼빈의 사상을 이어 받고 있는 것이 칼빈주의의
문화이해이다.이러한 이해는 결단코 리췰적인 문화기독교주의와 일치하는 것이 아닌 것은
그리스도를 부패한 인간문화의 변혁자로 보는 점이다.칼빈주의 사상의 현대적 설득력은 하
나님의 주권과 사상을 강조하되 그것을 바르트와 같이 구속의 역사 속에서만 인정치 않고
모든 현실의 영역과 창조의 역사 속에서도 그의 택한 자의 노동과 문화적 노력과 성과를 통
해서 영광을 받으시기를 원하신다는 적극적 변혁주의적 문화관에있다.따라서 칼빈주의의 사
상은 근본주의자들처럼 하나님의 주권을 그들과 종파나 교리나 생활영역 속에 가두어 버리
지 않고 선택 받은 자의 전인격과 생활-부패한 문화적 구조 속에 있는 신자의 전 삶-이 하
나님께 헌신되고 하나님이 종교의 주일뿐만 아니라 보편 역사의 창조자요 구속주요 섭리자
가 되심을 선포한다.생활일체가 하나님께서 바쳐지고 생활의 중심이 하나님이요 구원이 하
나님으로부터 올 때 칼빈주의자는 현대 세속도시 속에서 형식적 종교의 비종교화(생명 없는
종교적 극복)를 진정한 의미에 있어서 실제적으로 수행하고 있는 자이다.칼빈주의는 카이퍼
가 말하는 것처럼 문화적 관점에서 말하면 “삶의 체계”이다.

키워드

  • 가격1,5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9.05.14
  • 저작시기2009.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3521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