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강제이행의 의의
2. 강제이행의 방법
3. 이행강제와 손해배상의 청구
2. 강제이행의 방법
3. 이행강제와 손해배상의 청구
본문내용
예약을 하고 A를 예약상의 권리자로 약정한 경우, 그 후 A가 청약을 하면 B는 승낙의 의사표시를 해야 할 채무를 부담함에도, B가 이를 이행하지 않을 때에는 A는 승낙의 의사표시에 갈음하는 판결 즉 代用判決을 받음으로써 곧 계약의 성립이라는 법률효과를 발생케 할 수 있다.
민사집행법 제263조 (의사표시의무의 집행) ① 채무자가 권리관계의 성립을 인낙한 때에는 그 조서로, 의사의 진술을 명한 판결이 확정된 때에는 그 판결로 권리관계의 성립을 인낙하거나 의사를 진술한 것으로 본다.
3. 이행강제와 손해배상의 청구
이행의 강제는 손해배상의 청구에 영향을 미치지 아니한다(제389조 4항). 따라서 강제이행이 있더라도 채무불이행에 의한 손해(이행지연에 의한 손해 등)가 있으면, 그 배상을 청구할 수 있다.
민사집행법 제263조 (의사표시의무의 집행) ① 채무자가 권리관계의 성립을 인낙한 때에는 그 조서로, 의사의 진술을 명한 판결이 확정된 때에는 그 판결로 권리관계의 성립을 인낙하거나 의사를 진술한 것으로 본다.
3. 이행강제와 손해배상의 청구
이행의 강제는 손해배상의 청구에 영향을 미치지 아니한다(제389조 4항). 따라서 강제이행이 있더라도 채무불이행에 의한 손해(이행지연에 의한 손해 등)가 있으면, 그 배상을 청구할 수 있다.
추천자료
법률관련 - 채권압류 및 추심명령
로마법상 불법행위와 Aquilia 법
유치권과 동시이행의 항변권 비교
보전처분과 소액심판제도에 대한 고찰
공탁에 대하여
처분금지 가처분 및 기타의 가처분에 대하여
행정법리포트9개모음집
독일의 부동산 경매제도 및 배당절차
소제기의 효과(중복된 소제기 금지, 채권자대위소송의 성질과 기판력, 채권자대위소송과 중복...
법무 교육 자료
의무위반 구제, 매도인의 의무, 매수인 구제, 대체품 인도, 보완청구, 손해배상, 특정이행, ...
2013년 1학기 소송과강제집행 중간시험과제물 공통(주식회사 관련)
2015년 1학기 소송과강제집행 중간시험과제물 공통(주식회사 미수금 관련)
(국민행복기금 그 실현 가능성에 대하여) 국민행복기금 개념, 국민행복기금 필요성, 국민행복...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