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채무불이행과 불법행위에 있어서의 과실의 도입과 그에 따른 문제점을 살펴보았다. 물론 문제점만을 살피고 그에 따른 대안이 없다는 것은 정말 아쉽다(특히 채무불이행에 있어서). 그러나 적어도 양책임에 있어서의 고의와 과실에 대해서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5.03.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채무자의 채무불이행을 이유로 그 전부터 체결되어 있던 약정에 따라 계약이 해제된 경우, 제3채무자가 계약해제로써 채권자에게 대항할 수 있는지
https://www.klac.or.kr/legalinfo/counselView.do?folderId=007001&caseId=case-007-00269
2) 채권자대위권, 법령용어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3,700원
- 등록일 2023.02.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인한 채무불이행책임 면책특약은 유효하다.
(7) 입증책임
민법 제397조 2항
귀책사유의 입증책임은 채무자에게 있다.
2. 채무자의 責任能力(主觀的 要件)
채무불이행책임의 경우에도 불법행위책임에서와 같이 책임능력을 요건으로 하는가의 문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500원
- 등록일 2009.11.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상의 범위
불법행위에 의한 손해배상에 관하여서도 채무불이행에 관한 민법 제393조((손해배상의 범위) ①채무불이행으로 인한 손해배상은 통상의 손해를 그 한도로 한다. ②특별한 사정으로 인한 손해는 채무자가 그 사정을 알았거나 알 수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1.07.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규정으로 보아 법정책임설을 택해야 한다. 먼저 채무불이행설을 보면 채권자에게도 급부수령의무를 법적 의무로 인정하여 채권자지체를 채권자의 채무불이행이라고 보는 채무불이행설은 채무자에게 유리한 듯 보이지만 채권자에게 과책이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0.09.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