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선교학 시험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다음의 선교학 용어들의 개념을 설명하시오.
1) 선교 (Mission)
2) 선교체, 선교행위 (Missions)
3) 복음화 (Evangelization)
4) 기독교화 (Christianization)

2. 구라파 선교학자인 Peter Beyerhaus의 선교의 정의와 개념을 논하시오.
※<예수님 선교>의4가지특징
Peter Beyerhaus의선교의 개념:

3. 하나님의 선교 (Missio Dei)에 관해 논하시오.
2. 하나님의 선교 (Missio Dei)- 중요 시험 예제
비세돔의 선교 개념이 종래의 선교 이해와 다른 점

4. 선교의 성경적 바른 동기와 역사적 잘못된 동기를 논하시오.
1.순수한 동기:
2.순수하지 못한 동기(불순한 동기):

5. 지상 최대의 위임명령 (The Great Commission: 마28:19-20)의 성경신학적 해석을 하고 선교학적 관점에서 논하시오.
✔성경신학적 해석
예수께서 친히 본을 보이심
예수님의 제자들의 제자 훈련사역
사도 바울과 디모데의 예

결 론

본문내용

함께 사역을 하면서 훈련받게 했다. 디모데가 일련의 연단 과정을 끝내고 에베소 교회의 목회자로 사역하고 있을 때, 사도 바울은 그의 마지막 서신(목회서신)인 디모데후서 2장 1-2절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말씀을 전하셨다.
“내 아들아. . . 또 네가 많은 증인 앞에서 내게 들은 바를 충성된 사람에게 부탁하라. 저희가 또 다른 사람들을 가르칠 수 있으리라.”
우리가 모두 동의하는 바와 같이, 디모데 전후서는 목회 서신이다. 위의 구절 속에는 ‘바울’, ‘그의 영적 아들, 디모데’, ‘충성된 사람들’, 그리고 ‘또 다른 사람들’ 로 이어지는 영적인 4세대 가 나타나고, 또한 리더를 중심으로 소그룹형태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에 사도 바울은 지역교회 목회 현장에서 이와 같은 영적인 양육관계, 다시 말해, 가르치며 배우는 관계가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소그룹의 역동성이 활성화되어 개 교회가 건강하게 성장하기를 간절히 기대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이점에 있어서는 강단설교 중심으로 성장해 온 한국교회가 질적 양적으로 균형잡힌 건강한 한국교회의 성장을 위해서 절실히 요구된다는 사실이다. 또한 이러한 사역은 지역교회 전체적으로나 소그룹으로 뿐만 아니라, ‘각 사람’을 권하고 가르쳐서 ‘각 사람’을 그리스도 안에서 성숙한 자로 세우기 위하여, 성령의 역사를 따라 힘을 다하여 수고한 (참조 골 1:28-29) 사도 바울의 본을 따른 개인적인 일대일사역이 우리의 목회와 선교사역에도 꼭 적용되어야 될 것이다.
결 론
(마28:19-20, 마9:35-38, 행2:42-47, 딤후2:1-2) 근거로 하여 볼 때, “예수의 제자들“ 즉 ”크리스찬 지도자,” 다른 관점에서 ”추수하는 일군들“을 세워나가는 사역은 예수께서 말씀하신 지상 최대의 위임명령을 수행하는 제자훈련 최대의 위임명령을 순종하여 타문화권으로 파송된 선교사들이 사역하는 현장에서도 주님의 지상 최대 위임명령이다. 이것은 크리스찬 지도자이며 사역자를 훈련하여 세워나가는 사역임에 틀림없다.
♣제자를 훈련하여 세우나가는 사역의 효과♣
① 개인적인 양육과 소그룹의 특성을 살린 목회를 통해 교회의 양적 성장과 질적 성숙을 동시에 이룰 수 있는 건강한 교회성장을 성취할 수 있고,
② 사역자, 지도자의 배가하는 사역을 통하여 가장 신속하게 모든 족속에게 복음을 전하여 효과적으로 세계 복음화를 이룰 수 있는 방법이 된다는 사실이며,
③ 성경적 영적4세대의 목회구조를 통하여 각 계층들의 소그룹 사역자와 지도자들의 리더십을 효과적으로 계발할 수 있다는 것이며,
④ 평신도들을 전도, 양육뿐만 아니라 소그룹사역을 통하여 직장에서나 지역을 중심으로 가정교회까지도 개척 할 수 있는 일군이요 사역자로 계발 할 수 있다는 것이며,=평신도 활성화
⑤ 교회의 전체 목회사역을 소그룹의 역동성을 통하여 각 소그룹 리더에게 목회 사역을 분담하게 됨으로 담임목사 한 사람에게 지나치게 집중 된 목회와 사역부담을 덜어주게 되어, 모든 성도들이 은사와 부르심을 따라 다 함께 참여하는 효과적이며 건전한 목회를 이룰 수 있다는 것이다.
  • 가격1,3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9.05.22
  • 저작시기2008.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3680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