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
Ⅱ. 연구대상 및 방법
Ⅲ. Preterm labor에 대한 문헌 고찰
Ⅳ. 간호 과정
Ⅴ. 결론 및 제언
Ⅵ. 참고 문헌
Ⅱ. 연구대상 및 방법
Ⅲ. Preterm labor에 대한 문헌 고찰
Ⅳ. 간호 과정
Ⅴ. 결론 및 제언
Ⅵ. 참고 문헌
본문내용
/ contraction은 관찰되지 않았음.
Gential spotting 없음.
MgSO4를 0.5g 시간당 20cc로 유지
11:30 NST 자궁 수축 거의 없음.
13:00 FHS : 149bpm with 태동있음 / contraction은 관찰되지 않았음.
Gential spotting 없음.
변비를 호소하여 아락실 처방
FM count encouraged
15:00 Vaginal wet smear 실시 : (++)
16:00 MgSO4를 1.2g 시간당 30cc로 증가
21:00 FHS : 145bpm with 태동있음 / contraction은 관찰되지 않았음.
Gential spotting 없음.
- Vital sign & I/O
시간
BP
T
P
R
Output
대변
소변
6월 30일
(1병일)
02:00 pm
110/60
36.5℃
78
18
-
800cc
06:00 pm
110/70
36.0℃
74
18
10:00 pm
120/70
36.4℃
80
16
7월 1일
(2병일)
02:00 pm
110/80
36.3℃
82
16
-
1500cc
06:00 pm
110/60
36.5℃
78
18
10:00 pm
110/60
36.6℃
68
20
7월 2일
(3병일)
02:00 pm
110/70
36.7℃
60
18
-
1200cc
06:00 pm
110/70
36.0℃
68
18
10:00 pm
120/70
36.4℃
64
16
7월 3일
(4병일)
02:00 pm
110/70
36.3℃
78
16
-
350cc
7. 간호진단과 중재
- 간호진단
① 조산으로 인한 태아를 상실 및 손상 가능성과 관련된 두려움
② 임신의 생리적 변화 및 장기간 침상안정과 관련된 변비
③ 장기간 침상안정 및 처방된 약물의 작용에 의한 무력감
Ⅴ. 결론 및 제언
본 환자는 33세의 여성으로 2008년 6월 29일 야간부터 진통을 호소하여, 30일에 본원 외래에 방문하여 진료를 받은 산모로써, 진료 결과 입원이 필요할 것 같다는 주치의의 판단에 따라 30일, 당일에 전대 분만실에 입원하게 된 산모이다. 본 산모가 초기에 호소하고 있던 병명은 조기 진통으로, 입원 당시 병동에서 실시한 자궁수축에 대한 검사에서는 수축이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병원에 입원해 있는 기간동안 수축이 나타나는 것을 관찰 할 수 있었고, 그에 따라 MgSO4를 처방받았다. 그러나 많은 용량을 투약받은 결과 부작용의 전구증상인 무력감등이 나타나서 약물의 용량을 조절하였다.
본 산모가 입원해서 호소하던 주증상은 변비와, 자궁수축과 관련된 두려움, 그리고 무력감이었다. 이에 따라 본 산모의 증상과 현재 상태를 파악하여, 그에 따른 진단을 내려 수행할 수 있는 부분은 수행하였으나, 역시 학생인데다, 분만실 자체가 워낙 할 일이 많았기에 그렇게 많은 도움을 주지 못했던 것 같았다. 물론 다른 실습 기간에 잡았던 Case에서도 학생의 신분에 따른 한계에 의해서 많이 계획한 것에 비해 수행이 빈약했으나, 이번 산모의 경우에는 더욱 수행이 미비했던 것 같다. 게다가 아직 충분한 지식이 없는 분만에 대한 문제를 다루어야 하는 대상자였기에 산모의 질문이나 상태를 파악하는 것에도 많은 부족했던 것 같다. 그러나 이번 Case를 하면서 얻을 수 있었던 것은 한 생명이 탄생하는 자리에 있으면서 그 생명의 탄생이 얼마나 힘든 과정을 격어야 하는 것인가를 배울 수 있었서 참 좋았던 것 같다. 특히 자연분만을 통해 태어난 아이들이 울음소리를 들으면서, ‘이것이 바로 인간이 세상 속에서 계속 존재할 수 있다는 증거가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어서 결코 울음소리가 불편하다기 보다는 기쁨을 주었기에, 더욱 실습이 보람차게 느껴졌던 것 같다.
남자라는 제한 때문에 앞으로 내가 간호사로써 살아가면서 과연 산부인과에서 근무를 할 수 있을지는 모르지만 만약 내가 이렇게 산모나 신생아의 탄생의 순간에, 그 장소에 있다면 이번 실습에서 배운 지식을 이용할 수 있도록 앞으로 더욱 공부를 해야 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Ⅵ. 참고 문헌
최신 임상간호 매뉴얼 2(제7판) (2004년) 고일선 외 - 현문사
여성건강간호학(2005년) - 정담미디어
여성건강간호학, 이영숙외(2004년) - 현문사
통합적 기본 학호학(2003년) 김금순 외 - 한우리
Mosby's Dictionary(2002년) - 현문사
http://www.druginfo.co.kr/
복식호흡이 조기진통 임부의 불안에 미치는 효과(2005년) 심정언 - 연세대 대학원 석사 논문
Gential spotting 없음.
MgSO4를 0.5g 시간당 20cc로 유지
11:30 NST 자궁 수축 거의 없음.
13:00 FHS : 149bpm with 태동있음 / contraction은 관찰되지 않았음.
Gential spotting 없음.
변비를 호소하여 아락실 처방
FM count encouraged
15:00 Vaginal wet smear 실시 : (++)
16:00 MgSO4를 1.2g 시간당 30cc로 증가
21:00 FHS : 145bpm with 태동있음 / contraction은 관찰되지 않았음.
Gential spotting 없음.
- Vital sign & I/O
시간
BP
T
P
R
Output
대변
소변
6월 30일
(1병일)
02:00 pm
110/60
36.5℃
78
18
-
800cc
06:00 pm
110/70
36.0℃
74
18
10:00 pm
120/70
36.4℃
80
16
7월 1일
(2병일)
02:00 pm
110/80
36.3℃
82
16
-
1500cc
06:00 pm
110/60
36.5℃
78
18
10:00 pm
110/60
36.6℃
68
20
7월 2일
(3병일)
02:00 pm
110/70
36.7℃
60
18
-
1200cc
06:00 pm
110/70
36.0℃
68
18
10:00 pm
120/70
36.4℃
64
16
7월 3일
(4병일)
02:00 pm
110/70
36.3℃
78
16
-
350cc
7. 간호진단과 중재
- 간호진단
① 조산으로 인한 태아를 상실 및 손상 가능성과 관련된 두려움
② 임신의 생리적 변화 및 장기간 침상안정과 관련된 변비
③ 장기간 침상안정 및 처방된 약물의 작용에 의한 무력감
Ⅴ. 결론 및 제언
본 환자는 33세의 여성으로 2008년 6월 29일 야간부터 진통을 호소하여, 30일에 본원 외래에 방문하여 진료를 받은 산모로써, 진료 결과 입원이 필요할 것 같다는 주치의의 판단에 따라 30일, 당일에 전대 분만실에 입원하게 된 산모이다. 본 산모가 초기에 호소하고 있던 병명은 조기 진통으로, 입원 당시 병동에서 실시한 자궁수축에 대한 검사에서는 수축이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병원에 입원해 있는 기간동안 수축이 나타나는 것을 관찰 할 수 있었고, 그에 따라 MgSO4를 처방받았다. 그러나 많은 용량을 투약받은 결과 부작용의 전구증상인 무력감등이 나타나서 약물의 용량을 조절하였다.
본 산모가 입원해서 호소하던 주증상은 변비와, 자궁수축과 관련된 두려움, 그리고 무력감이었다. 이에 따라 본 산모의 증상과 현재 상태를 파악하여, 그에 따른 진단을 내려 수행할 수 있는 부분은 수행하였으나, 역시 학생인데다, 분만실 자체가 워낙 할 일이 많았기에 그렇게 많은 도움을 주지 못했던 것 같았다. 물론 다른 실습 기간에 잡았던 Case에서도 학생의 신분에 따른 한계에 의해서 많이 계획한 것에 비해 수행이 빈약했으나, 이번 산모의 경우에는 더욱 수행이 미비했던 것 같다. 게다가 아직 충분한 지식이 없는 분만에 대한 문제를 다루어야 하는 대상자였기에 산모의 질문이나 상태를 파악하는 것에도 많은 부족했던 것 같다. 그러나 이번 Case를 하면서 얻을 수 있었던 것은 한 생명이 탄생하는 자리에 있으면서 그 생명의 탄생이 얼마나 힘든 과정을 격어야 하는 것인가를 배울 수 있었서 참 좋았던 것 같다. 특히 자연분만을 통해 태어난 아이들이 울음소리를 들으면서, ‘이것이 바로 인간이 세상 속에서 계속 존재할 수 있다는 증거가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어서 결코 울음소리가 불편하다기 보다는 기쁨을 주었기에, 더욱 실습이 보람차게 느껴졌던 것 같다.
남자라는 제한 때문에 앞으로 내가 간호사로써 살아가면서 과연 산부인과에서 근무를 할 수 있을지는 모르지만 만약 내가 이렇게 산모나 신생아의 탄생의 순간에, 그 장소에 있다면 이번 실습에서 배운 지식을 이용할 수 있도록 앞으로 더욱 공부를 해야 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Ⅵ. 참고 문헌
최신 임상간호 매뉴얼 2(제7판) (2004년) 고일선 외 - 현문사
여성건강간호학(2005년) - 정담미디어
여성건강간호학, 이영숙외(2004년) - 현문사
통합적 기본 학호학(2003년) 김금순 외 - 한우리
Mosby's Dictionary(2002년) - 현문사
http://www.druginfo.co.kr/
복식호흡이 조기진통 임부의 불안에 미치는 효과(2005년) 심정언 - 연세대 대학원 석사 논문
추천자료
(모성간호학) 산욕부간호 ~ 자가학습
[모성간호학]난소암에대한 문헌고찰과 간호진단
(모성간호학)분만실 case study -제왕절개분만
[모성간호학]불임의 최신 치료 경향
(모성간호학) 산후운동
[모성여성간호학] 분만 중 안위증진과 통증관리 비약물적 요법
[모성간호학] 분만 통증 관리 _ 약물요법
[모성간호학] 분만 중 생리적 변화 (산부 반응, 태아 반응)
자간전증 모성간호학
[모성간호학A+] 자간전증 환자의 간호 CASE STUDY
[모성간호학] 모유수유, 산후조리
[모성간호학]자궁하수
[모성간호학]출산기 건강장애과 간호-케이스스터디
간호학과 모성간호학CASE - 제왕절개술 (C-SEC) 최종수정자료 (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