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동작교육 이론
동작교육의 정의
동작교육의 목표
동작교육의 중요성
움직임과 두뇌 작용
동작 교육의 의미
동작 교육의 내용
동작교육 실제
3월 30일 수업
4월 6일 수업
4월 13일 수업
4월 27일 수업
5월 11일 수업
5월 19일 수업
동작교육의 정의
동작교육의 목표
동작교육의 중요성
움직임과 두뇌 작용
동작 교육의 의미
동작 교육의 내용
동작교육 실제
3월 30일 수업
4월 6일 수업
4월 13일 수업
4월 27일 수업
5월 11일 수업
5월 19일 수업
본문내용
개념이고 창의성 돕는 동작은 이야기 듣고 상상하여 동작 표현,.음악을 듣고 창의적 표현,.극적인 표현이 있다.
동작 교육 접근 방법으로 Gilliom의 동작 교육 내용은 공간( 어디로?), 신체 의식(무엇을?), 힘, 균형, 무게 전이(어떻게?), 시간, 흐름(어떻게 더?), 이다. 동작을 위한 소도구로는 한 크기의 공, 훌라후프, 팥 주머니, 리본막대, 스카프 리듬 막대, 손에 드는 다양한 타악기 신문이나 다양한 종이 종류 주변의 모든 물품 사용가능하다.
동작교육
실제
3월 30일 수업
1. Turn 한 후 정지한다.
-90도씩 Turn한 후 정지한다.
-360도씩 Turn한 후 정지한다.
2. 그랜드체인
-발로 쿵짝짝 쿵짝짝 박자를 맞추어 가면서 무게랑 빠르기를 조절하며, 원으로 서서 부드럽게 움직이다가 멈춰서 무게감 있게 다른 박자로 발맞춘다.
3. 동동동대문
-대문을 맡은 두 사람이 게임하는 도중에 높낮이의 변화를 주고, 위치에 변화를 준다.
4월 6일 수업
1. 신문을 이용해서 만원 버스놀이(관계성)
-신문지를 점점 접어가며 팔과 다리를 어떻게 관계 맺고 중심을 잡는지 유아의 동작을 유도한다.
2. 기차 놀이
-다리로 가위 바위 보를 해서 기관사를 정한다.
-동시에 움직이면서 그림자처럼 앞에 사람의 다리모습을 따라한다.
-가위 바위 보에 진 사람은 이긴 사람 뒤에 가서 다리모습을 따라한다.
-기관사끼리 가위 바위 보를 해서 마지막 한명이 남으면 그 뒤에 있는 유아는 기관사의 움직임을 똑같이 따라 한다.
-기관사는 동작이 느리고 단순해야 한다.
-연령이 낮을수록 라인을 그려주면 좋다.
-거울놀이, 그림자놀이를 먼저하고 기차놀이하면 좋다.
-허리를 잡지 말고, 뒤에서 움직임을 그림자처럼 따라한다.
-한명에서 시작하다가 줄이 길어지면 다 앉고, 한 줄씩 일어나서 돌다가 다른 한줄 선택해주면 그 줄이 시작한다.
3.움직이기와 멈추기의 관계성
-가슴 앞 박수 네 번 친 후 네 번 기다린다.
-머리 위 아래쪽 오른쪽 왼쪽 몸 허리를 두드리고, 무릎 발 구르기를 한 후에 접촉까지 네 박자, 두 박자, 한 박자로 점점 빠르게 박자로 돌림노래를 한다.
-동작을 추가해서 신체와 신체접촉을 한다. 발바닥끼리 가는 네 박자 동안 코와 무릎이 닿고 네 박자 쉰다.
-신체 부위의 그림 자료를 같이 하면 좋다.
-두 사람이 발끼리 닿기->세 사람이 발끼리 닿기 이런 식으로 점점 늘리고 두 편으로 나눠져서 한명씩 서로 나와 접촉하고 헤어지고 다음사람 선택한다.
-외나무 다리에서 친구와 둘이 만나서 어떻게 통과하는지 아슬아슬하게 조별로 친구와 떨이지지 않고 움직인다.
예)파도, 기차, 캥거루, 실과바늘, 쇠사슬, 목걸이, 태엽 감는 시계, 모양과 움직임 만들기, 우리 조, 꽃 봉우리, 겉에 꽃이 피면 안에 수술이 일어나면서 뱅글 돌기
-관계에 대한 몸동작 이동높낮이 속도도 포함하면 좋다. 움직임 요소 5가지
4월 13일 수업
-(관계) 무릎대고 마주앉기, 발바닥 마주대고 한발씩 올리기, 등 마주대고 숙이기, 휘어서 눕기
-(거울관계) 한사람이 상대방 따라 한다. 눈, 머리, 팔, 어깨, 상체 바꿔서 움직이기 접촉 없이
-손바닥 발바닥 접촉해서 일어난다. 한사람이 행동하는 거 따라 한다.
-(관계) 높낮이를 다르게 해서 동작을 연속적으로 한다. 방향을 움직임, 중심의 이동옆면
-(그림자놀이) 사전활동으로 직접 그림자로 활동한다. 후에 ohp로 사물 그림자를 확인하고 자신의 그림자 확인한 후에 라인을 따라서 음악에 맞춰서 움직인다.
-(그림자 되어보기) 가위 바위 보로 진 사람이 만난 팀 뒤에 선다. 천천한 음악에서 빠른 음악으로 바꾸고, 8박자 때 박수 소리에 쉬고 포즈를 취한다. 4박자 동안 높이와 가벼운 움직임, 높이와 무거운 움직임, 날카롭고 무겁고 느리고 빠른 움직임으로 변화를 준다.
-(공간에서 움직임) 제자리에서 걷기, 제자리돌기, 쓰러지기, 구르기, 바닥에 놀이터 기구두기
-(관계) 조각 벽화에 관해 이야기를 나누고, 박물관에 가서 조각품 사진을 보고 움직임을 모방한다. 맘에 드는 세 가지 동작을 연속으로 한다.
4월 27일 수업
-나무를 상상해서 그림으로 표현한다.
-세 가지 노래에 따라 네 박자씩, 한 동작씩, 세 동작을 한 후에 합체한다.
5월 11일 수업
-음악 들으면서 눕는다.
-‘우리 모두 다 같이 노래해’ 손뼉치고, 다음은 발 굴린다.
-무릎을 무릎치기 중에 각 신체명칭을 넣고 다양하게 손뼉, 발 굴리기를 한다.
-신체명칭을 익히고 박자 감각을 알게 한다.
-발로 가위 바위 보를 한 후에 이긴 사람은 손뼉 8번을 치고, 손뼉에 맞춰서 진 사람이 뛴다.
-박수치는 사람이 리듬을 계속 바꾼다.
-박자를 익히게 한 후 진 사람이 리듬에 맞춰 뛴다.
-둘이서 하다가 주위사람과 박자를 만들고, 다른 팀이 팔꿈치와 발 구르기를 한다.
-박자에 맞춰 신체를 움직인다.
-음악을 듣고 분석해서 몸으로 표현한다.
-사물놀이, 징, 장구 치면서 즉흥적으로 움직일 수 있게 한다.
-진동의 느낌을 표현한다.
-헝가리 무곡, 운명, 백조의 달빛 음악을 듣고 몸으로 표현한다.
-헝가리 무곡, 백조 음악에 대한 느낌, 무게, 빠르기, 지속적, 급진적 등 배운 요소를 활용한다.
-헝가리 무곡은 가벼운 느낌이면서 빠르고 급작스러운 느낌이다. 점선의 느낌과 혼란스러운 느낌이 들어서 톰과 제리 느낌도 들고 쇼트트랙 이미지가 떠오른다.
-백조는 가볍고 약간 느리며 품위 있고 부드러운 가는 곡선으로 잔잔한 연못이 연상된다. -(활동) 도화지에다가 색연필로 음악의 느낌을 그려보기, 연상되는 움직임 표현하기.
-하나의 음만 들려주고 음원 그대로의 리듬을 몸으로 표현하기.
-음악을 듣고 연상되는 모습을 표현한다.
-생상의 열두 가지 동물이 대조되는 노래 중에 두 개를 선택해서 즉흥적으로 움직이고 이야기를 나누면서 노래가 부드러웠는지 느낌을 말한 후에 동물 노래에서 연상되는 동작을 표현한다.
5월 19일 수업
-주제를 가지고 하는 창의적인 활동이다.
-(발)왼오왼오왼오오-> 오왼오왼오왼왼 일곱 박자 후에 오왼오왼왼오왼 네 박자-> 한 박자로 오왼왼오왼오오 박자에 맞추어 발을 움직인다.
동작 교육 접근 방법으로 Gilliom의 동작 교육 내용은 공간( 어디로?), 신체 의식(무엇을?), 힘, 균형, 무게 전이(어떻게?), 시간, 흐름(어떻게 더?), 이다. 동작을 위한 소도구로는 한 크기의 공, 훌라후프, 팥 주머니, 리본막대, 스카프 리듬 막대, 손에 드는 다양한 타악기 신문이나 다양한 종이 종류 주변의 모든 물품 사용가능하다.
동작교육
실제
3월 30일 수업
1. Turn 한 후 정지한다.
-90도씩 Turn한 후 정지한다.
-360도씩 Turn한 후 정지한다.
2. 그랜드체인
-발로 쿵짝짝 쿵짝짝 박자를 맞추어 가면서 무게랑 빠르기를 조절하며, 원으로 서서 부드럽게 움직이다가 멈춰서 무게감 있게 다른 박자로 발맞춘다.
3. 동동동대문
-대문을 맡은 두 사람이 게임하는 도중에 높낮이의 변화를 주고, 위치에 변화를 준다.
4월 6일 수업
1. 신문을 이용해서 만원 버스놀이(관계성)
-신문지를 점점 접어가며 팔과 다리를 어떻게 관계 맺고 중심을 잡는지 유아의 동작을 유도한다.
2. 기차 놀이
-다리로 가위 바위 보를 해서 기관사를 정한다.
-동시에 움직이면서 그림자처럼 앞에 사람의 다리모습을 따라한다.
-가위 바위 보에 진 사람은 이긴 사람 뒤에 가서 다리모습을 따라한다.
-기관사끼리 가위 바위 보를 해서 마지막 한명이 남으면 그 뒤에 있는 유아는 기관사의 움직임을 똑같이 따라 한다.
-기관사는 동작이 느리고 단순해야 한다.
-연령이 낮을수록 라인을 그려주면 좋다.
-거울놀이, 그림자놀이를 먼저하고 기차놀이하면 좋다.
-허리를 잡지 말고, 뒤에서 움직임을 그림자처럼 따라한다.
-한명에서 시작하다가 줄이 길어지면 다 앉고, 한 줄씩 일어나서 돌다가 다른 한줄 선택해주면 그 줄이 시작한다.
3.움직이기와 멈추기의 관계성
-가슴 앞 박수 네 번 친 후 네 번 기다린다.
-머리 위 아래쪽 오른쪽 왼쪽 몸 허리를 두드리고, 무릎 발 구르기를 한 후에 접촉까지 네 박자, 두 박자, 한 박자로 점점 빠르게 박자로 돌림노래를 한다.
-동작을 추가해서 신체와 신체접촉을 한다. 발바닥끼리 가는 네 박자 동안 코와 무릎이 닿고 네 박자 쉰다.
-신체 부위의 그림 자료를 같이 하면 좋다.
-두 사람이 발끼리 닿기->세 사람이 발끼리 닿기 이런 식으로 점점 늘리고 두 편으로 나눠져서 한명씩 서로 나와 접촉하고 헤어지고 다음사람 선택한다.
-외나무 다리에서 친구와 둘이 만나서 어떻게 통과하는지 아슬아슬하게 조별로 친구와 떨이지지 않고 움직인다.
예)파도, 기차, 캥거루, 실과바늘, 쇠사슬, 목걸이, 태엽 감는 시계, 모양과 움직임 만들기, 우리 조, 꽃 봉우리, 겉에 꽃이 피면 안에 수술이 일어나면서 뱅글 돌기
-관계에 대한 몸동작 이동높낮이 속도도 포함하면 좋다. 움직임 요소 5가지
4월 13일 수업
-(관계) 무릎대고 마주앉기, 발바닥 마주대고 한발씩 올리기, 등 마주대고 숙이기, 휘어서 눕기
-(거울관계) 한사람이 상대방 따라 한다. 눈, 머리, 팔, 어깨, 상체 바꿔서 움직이기 접촉 없이
-손바닥 발바닥 접촉해서 일어난다. 한사람이 행동하는 거 따라 한다.
-(관계) 높낮이를 다르게 해서 동작을 연속적으로 한다. 방향을 움직임, 중심의 이동옆면
-(그림자놀이) 사전활동으로 직접 그림자로 활동한다. 후에 ohp로 사물 그림자를 확인하고 자신의 그림자 확인한 후에 라인을 따라서 음악에 맞춰서 움직인다.
-(그림자 되어보기) 가위 바위 보로 진 사람이 만난 팀 뒤에 선다. 천천한 음악에서 빠른 음악으로 바꾸고, 8박자 때 박수 소리에 쉬고 포즈를 취한다. 4박자 동안 높이와 가벼운 움직임, 높이와 무거운 움직임, 날카롭고 무겁고 느리고 빠른 움직임으로 변화를 준다.
-(공간에서 움직임) 제자리에서 걷기, 제자리돌기, 쓰러지기, 구르기, 바닥에 놀이터 기구두기
-(관계) 조각 벽화에 관해 이야기를 나누고, 박물관에 가서 조각품 사진을 보고 움직임을 모방한다. 맘에 드는 세 가지 동작을 연속으로 한다.
4월 27일 수업
-나무를 상상해서 그림으로 표현한다.
-세 가지 노래에 따라 네 박자씩, 한 동작씩, 세 동작을 한 후에 합체한다.
5월 11일 수업
-음악 들으면서 눕는다.
-‘우리 모두 다 같이 노래해’ 손뼉치고, 다음은 발 굴린다.
-무릎을 무릎치기 중에 각 신체명칭을 넣고 다양하게 손뼉, 발 굴리기를 한다.
-신체명칭을 익히고 박자 감각을 알게 한다.
-발로 가위 바위 보를 한 후에 이긴 사람은 손뼉 8번을 치고, 손뼉에 맞춰서 진 사람이 뛴다.
-박수치는 사람이 리듬을 계속 바꾼다.
-박자를 익히게 한 후 진 사람이 리듬에 맞춰 뛴다.
-둘이서 하다가 주위사람과 박자를 만들고, 다른 팀이 팔꿈치와 발 구르기를 한다.
-박자에 맞춰 신체를 움직인다.
-음악을 듣고 분석해서 몸으로 표현한다.
-사물놀이, 징, 장구 치면서 즉흥적으로 움직일 수 있게 한다.
-진동의 느낌을 표현한다.
-헝가리 무곡, 운명, 백조의 달빛 음악을 듣고 몸으로 표현한다.
-헝가리 무곡, 백조 음악에 대한 느낌, 무게, 빠르기, 지속적, 급진적 등 배운 요소를 활용한다.
-헝가리 무곡은 가벼운 느낌이면서 빠르고 급작스러운 느낌이다. 점선의 느낌과 혼란스러운 느낌이 들어서 톰과 제리 느낌도 들고 쇼트트랙 이미지가 떠오른다.
-백조는 가볍고 약간 느리며 품위 있고 부드러운 가는 곡선으로 잔잔한 연못이 연상된다. -(활동) 도화지에다가 색연필로 음악의 느낌을 그려보기, 연상되는 움직임 표현하기.
-하나의 음만 들려주고 음원 그대로의 리듬을 몸으로 표현하기.
-음악을 듣고 연상되는 모습을 표현한다.
-생상의 열두 가지 동물이 대조되는 노래 중에 두 개를 선택해서 즉흥적으로 움직이고 이야기를 나누면서 노래가 부드러웠는지 느낌을 말한 후에 동물 노래에서 연상되는 동작을 표현한다.
5월 19일 수업
-주제를 가지고 하는 창의적인 활동이다.
-(발)왼오왼오왼오오-> 오왼오왼오왼왼 일곱 박자 후에 오왼오왼왼오왼 네 박자-> 한 박자로 오왼왼오왼오오 박자에 맞추어 발을 움직인다.
추천자료
수준별수업(교육과정, 수준별학습)의 정의와 도입배경, 수준별수업(교육과정, 수준별학습)의 ...
개별화수업(교육, 개별화학습)의 의미와 성립요건, 개별화수업(교육, 개별화학습)의 필요성과...
개별화수업(개별화교육, 개별화학습)의 개념과 의의, 개별화수업(개별화교육, 개별화학습)의 ...
수준별교육과정(수준별수업학습) 도입과정과 의의, 수준별교육과정(수준별수업학습) 분류와 ...
웹기반수업(웹기반교육,학습, WBI)의 개념과 유형, 웹기반수업(웹기반교육,학습, WBI)의 특징...
수학교육(수학수업, 학습) 변천, 수학교육(수학수업, 학습) 인식, 수학교육(수학수업, 학습) ...
수학수업(수학교육, 지도) 목표와 발문, 수학수업(수학교육, 지도) 계산기활용, 수학수업(수...
개별화수업(교육지도, 개별화학습) 정의, 역사적배경, 필요성, 개별화수업(교육지도, 개별화...
오르프음악교육(오르프음악수업) 철학, 오르프음악교육(오르프음악수업) 기본원리와 발달배경...
개별화수업(교육지도, 개별화학습) 등장배경과 필요성, 개별화수업(교육지도, 개별화학습) 교...
수준별교육과정(수준별학습수업) 의미와 유형, 수준별교육과정(수준별학습수업) 도입배경과 ...
웹기반교육(웹기반수업,학습, WBI)의 개념과 특징, 웹기반교육(웹기반수업,학습, WBI)의 유용...
과학과수업(교육, 학습) 성격과 목적, 과학과수업(교육, 학습) 탐구이론과 학습교재, 과학과...
신문활용수업(신문활용교육, NIE) 장단점과 목적, 신문활용수업(신문활용교육, NIE) 활용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