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장티푸스란?
2. 병원체
3. 전파 경로
4. 진단
5. 임상증상
6. 합병증
7. 예방 접종
8. 치 료
2. 병원체
3. 전파 경로
4. 진단
5. 임상증상
6. 합병증
7. 예방 접종
8. 치 료
본문내용
라지므로 순응도(compliance)가 떨어지지 않도록 유의하여야 한다. 약제는 투약직전까지 반드시 냉장 보관해야 하며, 복용시 씹거나 깨물지 말고 그대로 삼켜야 한다. 찬물로 마시고 37℃ 보다 높은 온도의 물과 마시지 않는다.
(2) 추가 접종 : 아직 확실히 정해지지 않았지만 3년마다 추가접종하는 것을 추천한다. 복용방법은 기본 접종과 동일하다.
(3) 기타 : 다른 백신과 동시 투여할 때의 영향에 대해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Vi 백신을 기본 접종으로 한 경우에 추가접종용으로 경구 생백신을 사용할 수 있다. 5세 미만 소아에서는 효과가 입증되어있지 않아서 추천하지 않는다.
▶ 이상 반응
1) Vi polysaccharide 백신
비경구용 전세포 비활성화 백신 보다는 적고, 경구용 약독화 생백신 보다는 많다고 알려져 있다. 국내에서 시행된 성인대상연구에서 전신이상반응으로는 불쾌감(14.1%), 오한(1.2%), 가려움증(1.2%)이 있었고, 국소적 이상반응으로는 동통(57.6~63%), 경결(21.2%), 발적(4.7%)이 있었다.
2) 경구용 생백신
경구용 약독화 생백신은 이상반응이 거의 없는 예방접종 약제로 기존의 연구에서 이상반응으로 복통이나 설사, 구토, 발열 등을 보고한 바 있으나 대조군과 비교하여 볼 때 차이가 없었다.
▶ 금기 반응
경구용 생백신은 면역기능저하자, 임산부, 수유부, 급성대장염 환자에 대한 투여를 금하고 있다.
▶ 그 외
수준의 향상, 정수시설의 관리, 효과적인 쓰레기의 처리
8. 치 료
① 특이 항균요법
Chloramphenicol / Ampicillin / Co-trimoxazole / 3세대 세팔로스포린 항생제 / Quinolone 계 항생제
어떠한 항생제든 장티푸스 치료에 있어 임상효과는 즉각적이지 못하여, 적어도 해열에 2∼3 일이 걸리며 정상체온으로 되기까지 5∼7 일이 걸린다
② 일반요법
환자를 격리시키고 개인용 변기나 전용 화장실을 사용하게 함
복부 경련을 완화시키기 위해 열찜질 함
손을 가능한한 자주 깨끗이 씻음
환자의 위치를 자주 바꾸어 줌
발열을 감소시키기 위해 대퇴부 안쪽과 팔 아랫쪽에 따뜻한 물수건을 대어줌
아스피린이나 아세트아미노펜은 위장관을 자극할 수 있으므로 복용시키지 말 것
③ 대증요법
환자는 고열로 인하여 수분 및 전해질의 요구량이 현저히 증가되므로, 자유롭게 수분을 섭취하도록 권장
상태가 중하여 경구적인 수분섭취가 불가능하면 정맥내로 수액을 투여
Salicylate 는 장티푸스 환자에서 체온의 급격한 하강과, 저혈압 내지 쇼크를 초래하므로 사용을 피하여야 한다.
체온은 미지근한 물로 몸을 닦아서 낮춘다.
완하제나 관장은 장천공의 위험이 있으므로 피해야 한다.
변비는 부작용이 없는 lactulose 를 경구로 투여하여 변을 부드럽게 한다.
④ 보균자의 치료
회복기에 보균자로의 이행을 예방하기 위하여 충분한 기간의 항생제 투여 후에 소변 및 대변 배양이 적어도 3회 반복하여 음성이 될 때까지 격리 입원 치료한다.
(2) 추가 접종 : 아직 확실히 정해지지 않았지만 3년마다 추가접종하는 것을 추천한다. 복용방법은 기본 접종과 동일하다.
(3) 기타 : 다른 백신과 동시 투여할 때의 영향에 대해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Vi 백신을 기본 접종으로 한 경우에 추가접종용으로 경구 생백신을 사용할 수 있다. 5세 미만 소아에서는 효과가 입증되어있지 않아서 추천하지 않는다.
▶ 이상 반응
1) Vi polysaccharide 백신
비경구용 전세포 비활성화 백신 보다는 적고, 경구용 약독화 생백신 보다는 많다고 알려져 있다. 국내에서 시행된 성인대상연구에서 전신이상반응으로는 불쾌감(14.1%), 오한(1.2%), 가려움증(1.2%)이 있었고, 국소적 이상반응으로는 동통(57.6~63%), 경결(21.2%), 발적(4.7%)이 있었다.
2) 경구용 생백신
경구용 약독화 생백신은 이상반응이 거의 없는 예방접종 약제로 기존의 연구에서 이상반응으로 복통이나 설사, 구토, 발열 등을 보고한 바 있으나 대조군과 비교하여 볼 때 차이가 없었다.
▶ 금기 반응
경구용 생백신은 면역기능저하자, 임산부, 수유부, 급성대장염 환자에 대한 투여를 금하고 있다.
▶ 그 외
수준의 향상, 정수시설의 관리, 효과적인 쓰레기의 처리
8. 치 료
① 특이 항균요법
Chloramphenicol / Ampicillin / Co-trimoxazole / 3세대 세팔로스포린 항생제 / Quinolone 계 항생제
어떠한 항생제든 장티푸스 치료에 있어 임상효과는 즉각적이지 못하여, 적어도 해열에 2∼3 일이 걸리며 정상체온으로 되기까지 5∼7 일이 걸린다
② 일반요법
환자를 격리시키고 개인용 변기나 전용 화장실을 사용하게 함
복부 경련을 완화시키기 위해 열찜질 함
손을 가능한한 자주 깨끗이 씻음
환자의 위치를 자주 바꾸어 줌
발열을 감소시키기 위해 대퇴부 안쪽과 팔 아랫쪽에 따뜻한 물수건을 대어줌
아스피린이나 아세트아미노펜은 위장관을 자극할 수 있으므로 복용시키지 말 것
③ 대증요법
환자는 고열로 인하여 수분 및 전해질의 요구량이 현저히 증가되므로, 자유롭게 수분을 섭취하도록 권장
상태가 중하여 경구적인 수분섭취가 불가능하면 정맥내로 수액을 투여
Salicylate 는 장티푸스 환자에서 체온의 급격한 하강과, 저혈압 내지 쇼크를 초래하므로 사용을 피하여야 한다.
체온은 미지근한 물로 몸을 닦아서 낮춘다.
완하제나 관장은 장천공의 위험이 있으므로 피해야 한다.
변비는 부작용이 없는 lactulose 를 경구로 투여하여 변을 부드럽게 한다.
④ 보균자의 치료
회복기에 보균자로의 이행을 예방하기 위하여 충분한 기간의 항생제 투여 후에 소변 및 대변 배양이 적어도 3회 반복하여 음성이 될 때까지 격리 입원 치료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