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정을 일으키는 기제로서의 형식 ('혐오스런 마츠코의 일생')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들어가며
2.‘뮤지컬 영화’로서의 「혐오스런 마츠코의 일생」
3. 코미디와 노래, 마츠코의 진심
4. 맺으며
5. 참고문헌

본문내용

매우 혐오스럽다”는 말을 전하곤 했다. 그러나 영화를 보고 나서 많은 주위의 사람들과 함께 내가 마츠코를 공감의 시선으로 바라볼 수 있었던 까닭은, 소설과 영화라는 형식, 또 뮤지컬 영화라는 장르적 형식, 마지막으로 코미디와 노래라는 구성 요소적 형식의 특징을 꿰뚫어 보았던 감독의 탁월한 선택에서 비롯되지 않았을까.
예술에 있어서 형식이, 단순히 내용과의 대립관계로 존재하지 않고 보는 이에게 내용을 전달하는 메신저 역할을 충분히 할 수 있다는 점을 깨닫게 해 준 작품으로서 이 영화는 내게 10점 만점이다. 내용적인 면에서 조금 진부하다는 평을 듣기도 하기에 10점이 아깝지 않나 하는 갸웃거림도 생기지만, 그럼에도 나는 마츠코를 통해 인생을 살아가는 방식을 배울 수 있었다.
‘희망을 놓지 않은 인생은 적어도 아름답다’, 영화가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가 이것이었다면 감독의 선택은 과히 성공적이지 않은가.
《참고문헌》
지명혁, 지명혁 교수의 영화예술의 이해, 집문당, 2004
그레엄 터너 지음, 임재철 외 옮김, 대중 영화의 이해, 한나래, 1994
자크 오몽, 알랭 베르갈라, 미셸 마리, 마르크 베르네 지음, 이용주 옮김, 영화미학, 동문선, 2003
  • 가격1,0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9.06.14
  • 저작시기2007.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4113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