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32. 열왕기상 12장 - 열왕기하 17장에 나오는 전승들의 형태
33. 북왕국 역사와 북왕국과 유다와의 관계(B.C.E.931년-722년)
34. 문학적 문화, 종교 및 예언자의 비평
33. 북왕국 역사와 북왕국과 유다와의 관계(B.C.E.931년-722년)
34. 문학적 문화, 종교 및 예언자의 비평
본문내용
으로써 극적으로 표현된다. 첫째 아들의 이름인 이즈르엘은 예후 왕조의 출발지였고 끝나는 곳이 될 골짜기의 이름이며, 딸의 이름인 로루하마는 "긍휼히 여김을 받지 못하는“ 이스라엘의 상태를 의미하고, ”내 백성이 아니라“는 뜻을 가진 둘째 아들의 이름 모암미는 사생아 이스라엘을 나타내는 모멸적인 말이다.
아모스와 마찬가지로 호세아도 군사적으로 정복당할 것과 지도층이 국외로 추방될 것ㅇ르 예견한다. 호세아는 그러한 추방의 상태는 곧 광야에로의 복귀이며 그곳에서 혹독한 시련에도 불구하고 한 공동체로서의 민족의 본래 모습이 보존될 것이라고 말하고 있는 점에서 아모스르 뛰어 넘는다. 그는 출애굽, 광야유랑 및 정복 등의 구원전승들에 의존하여 미래의 광야상태를 이중적으로 본다. 즉 그것을 형벌시대 혹은 강요된 사회정치적 및 종교적 퇴보시대로 보기도 하고, 한편 민족적 삶의 갱신이 시작될 수 있는 근신 기간으로 보기도 한다. 호세아는 야훼를 몹시 슬퍼하는 “남편”과 “아버지”로 보았기 때문에, 하나님이 공의를 포기하지는 않을 그러한 사랑으로 백성을 돌이키려고 분투하고 있었다는 것을 이해하였다.
요컨대 우리는 조신스럽게 희망하는 일종의 “종말론적” 사상을 호세아서에서 보게 된다. 이 사상 곧 ‘왜곡된 구조들의 필연적인 붕괴’를 통해 ‘공동체적인 삶의 새로운 가능성들’이 도출된다는 신앙은 호세아시대 이후로부터 예언자적 공동체 안에서 ‘역사를 통해 배우는’ 방법으로서 그리고 그들의 전통에는 없는 극심한 절망과 반 사회적 자기 확대에 빠지지 않으면서 새로운 역사를 창조하기 위해 준비하는 방법으로서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아모스와 마찬가지로 호세아도 군사적으로 정복당할 것과 지도층이 국외로 추방될 것ㅇ르 예견한다. 호세아는 그러한 추방의 상태는 곧 광야에로의 복귀이며 그곳에서 혹독한 시련에도 불구하고 한 공동체로서의 민족의 본래 모습이 보존될 것이라고 말하고 있는 점에서 아모스르 뛰어 넘는다. 그는 출애굽, 광야유랑 및 정복 등의 구원전승들에 의존하여 미래의 광야상태를 이중적으로 본다. 즉 그것을 형벌시대 혹은 강요된 사회정치적 및 종교적 퇴보시대로 보기도 하고, 한편 민족적 삶의 갱신이 시작될 수 있는 근신 기간으로 보기도 한다. 호세아는 야훼를 몹시 슬퍼하는 “남편”과 “아버지”로 보았기 때문에, 하나님이 공의를 포기하지는 않을 그러한 사랑으로 백성을 돌이키려고 분투하고 있었다는 것을 이해하였다.
요컨대 우리는 조신스럽게 희망하는 일종의 “종말론적” 사상을 호세아서에서 보게 된다. 이 사상 곧 ‘왜곡된 구조들의 필연적인 붕괴’를 통해 ‘공동체적인 삶의 새로운 가능성들’이 도출된다는 신앙은 호세아시대 이후로부터 예언자적 공동체 안에서 ‘역사를 통해 배우는’ 방법으로서 그리고 그들의 전통에는 없는 극심한 절망과 반 사회적 자기 확대에 빠지지 않으면서 새로운 역사를 창조하기 위해 준비하는 방법으로서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추천자료
성서고고학 레포트
구약성서의 이해
성서와 자연
성서와 자연
[이원론][심신이원론][철학사상가][흥부전에 나타난 이원론적 세계][이원론적 성서 해석속의 ...
[이원론][쾌락주의][실존주의][흥부전][성서][이원론적 해석]이원론 이론, 이원론을 주장한 ...
신약성서, 오늘날 우리에게 오기까지-민경식저(요악및서평)
신약성서 우리에게 오기까지 민경식 지음 요약
성경해석-성서유니온선교회
성경해석-성서유니온선교회
성서의 정치경제학
구약성서 이해 열마당
[사회복지론] 기독교사회복지론 (기독교 청소년 복지의 특징과 개념, 기독교 청소년 복지의 ...
[번역][번역 수용][번역과 한자어][평역삼국지번역][성서번역][일본한국번역]번역의 종류, 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