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음성, 음운
1.1. 음성
1.2. 음운 체계
1.3. 음운의 변동과 변화
2. 문법
2.1. 곡용과 활용
3. 어휘
1.1. 음성
1.2. 음운 체계
1.3. 음운의 변동과 변화
2. 문법
2.1. 곡용과 활용
3. 어휘
본문내용
중부방언
-서울을 포함한 경기도, 충청남북도, 황해도 재령 이남, 함남 영흥 이남 및 강원도 지역에서 쓰이는 대방언권
-역사적으로 신라어의 개신파를 입은 개성 중심 방언과 서울 중심 방언이 이어져 온 것. 중앙어로서 지위 천 년간 누려 옴
1. 음성, 음운
1.1 음성
[동시 조음]
-두 음성이 동시에 조음되는 것.
예) ‘누나[nuna], 눈 [nun], 무서운 [musəun] '
어두 자음이 [n],[m]로 실현
-고모음 앞에서 뚜렷한 현상 나타낸다.
-경기도, 충청도, 강원도 영서 방언에서 주로 나타남.
1.2. 음운체계
[단모음 체계]-10개의 단모음으로 구성-황해도 방언은 9모음 체계-강원도 철원,화천 일대는 단모음 ‘ㅟ’가 음성적으로 확인되지만 음소로는 불안정-연령층이 낮을수록 단모음 ‘ㅚ’가 이중 모음‘ㅞ, ㅙ’또는 단모음’ㅔ, ㅐ’로 실현되고, 단모음‘ㅟ’가 ‘ㅟ[wi], l’로 실현
-서울을 포함한 경기도, 충청남북도, 황해도 재령 이남, 함남 영흥 이남 및 강원도 지역에서 쓰이는 대방언권
-역사적으로 신라어의 개신파를 입은 개성 중심 방언과 서울 중심 방언이 이어져 온 것. 중앙어로서 지위 천 년간 누려 옴
1. 음성, 음운
1.1 음성
[동시 조음]
-두 음성이 동시에 조음되는 것.
예) ‘누나[nuna], 눈 [nun], 무서운 [musəun] '
어두 자음이 [n],[m]로 실현
-고모음 앞에서 뚜렷한 현상 나타낸다.
-경기도, 충청도, 강원도 영서 방언에서 주로 나타남.
1.2. 음운체계
[단모음 체계]-10개의 단모음으로 구성-황해도 방언은 9모음 체계-강원도 철원,화천 일대는 단모음 ‘ㅟ’가 음성적으로 확인되지만 음소로는 불안정-연령층이 낮을수록 단모음 ‘ㅚ’가 이중 모음‘ㅞ, ㅙ’또는 단모음’ㅔ, ㅐ’로 실현되고, 단모음‘ㅟ’가 ‘ㅟ[wi], l’로 실현
추천자료
고구려의 언어에 대하여
미국영어
시무언(是無言) 이용도 목사 영성운동의 역사적 재발견
김구의 백범일지를 읽고..
소혜왕후의 내훈과 영조 때 중간본인 어제내훈 비교 고찰
인도문화사에 대한 개관 및 인더스 문명
10월 주간학습계획안
화법 교육
교육과정 및 평가, 수업목표진술, 수업목표, 이원분류표, 문항
남북한의언어비교연구
고등학교 교육과정 기본방향과 특징, 고등학교 교육과정의 이론적 배경, 고등학교의 수준별교...
스위스 언어분쟁이 일어나지 않는 이유
종교소재 상징이나 이미지 분석
표준어규정,어문규정과 교육과정 내용 체계,교육과정의 내용 체계,어문규정집 내용 체계,고등...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