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재의 체가름시험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시험의 목적
2. 시험용 기구 및 재료
3. 시료의 준비
4. 시험 방법 및 순서
5. 주의사항
6. 참고사항
7. 고찰
8. 참고 문헌

본문내용

함으로써 골재 입도곡선과 조립률, 그리고 굵은 골재의 최대 치수를 구하는 시험이었다.
입도란 골재의 크고 작은 입자의 혼합된 정도를 말하며 이 입도가 적당하면 그렇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여 워커빌리티, 강도, 내구성, 수밀성 등의 양질의 콘크리트를 비교적 적은 단위시멘트량으로 만들 수 있어 경제적이다. 시험결과에서 그려진 입도곡선은 표준범위보다 많이 벗어나므로 실험 시 사용한 골재를 사용하게 되면 경제적이지 못함을 알 수 있었다.
조립율은 골재의 입도를 수량적으로 나타내는 방법 중 하나인데, 골재의 입경이 클수록 조립률은 커진다. 입도의 변동형태나 콘크리트 배합설계 등에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잔골재의 조립률은 2.3~3.1 사이가 좋은데 결과 값은 3.83으로 입경이 상대적으로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굵은 골재의 최대치수는 질량으로 90% 이상 통과시키는 체 중에서 최소치수의 체의 호칭치수로 나타낸 굵은 골재의 치수이다. 구조물의 종류나 철근 배근 간격 피복 등을 고려하여 가능한 큰 치수로 하는 것이 경제적이라 할 수 있다.
우리가 실험에 사용한 골재는 사용하는데 큰 무리가 없으나 소요의 강도를 위해서는 단위시멘트량이 많아져 경제적이지 못하다 할 수 있다. 그리고 굵은 골재는 일반 쇄석이므로 워커빌리티에 좋지 않다. 따라서 잔골재는 실험 시 사용한 것 보다 좀 더 입경이 작은 모래를 사용하여 워커빌리티를 증가시키는 한편 입도 분포도 적당하도록 만든다면 경제적인 배합이 될 수 있을 것이다.
8. 참고 문헌
- 최신 건설재료학 문운당 박승범 저
- 최신 건설재료실험 문운당 박승범 저
  • 가격1,5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9.06.18
  • 저작시기2009.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4190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