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해 본다).
첫째, 둘째, 셋째혹은 빨리 ,더 빨리, 가장 빨리 등의 용어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자신의 행동과 그 행동의 결과와의 관계를 연결할 수 있다(어떻게 스푼을 잡아야 하고, 어떻게 하면 공이 스푼에서 떨어지지 않는가를 생각해 볼 수 있다).
역활과 관점
모든 어린이는 티스푼에 테니스 공을 얹고 도착점까지 가는데, 가는 도중 공을 떨어뜨리 지 않고 그릇에 담고 오는 어린이가 이기게 된다.
2 의자 뺏기
사전활동
1 대 1 대응에 대해 알 수 있다.
자료
의자
역할과 관점
놀이자의 수보다 의자를 한개 적게 준비한다.
음악이 시작되면서 의자 주위를 걷다가 음악이 멈출 때 모든 놀이자는 의자에 앉아야 하 는데, 이 대 의자에 앉지 못한 어린이는 빠지게 된다. 의자를 한 개씩 빼면서 하나 남은 의자에 어린이가 낮을 때까지 게임을 계속한다.
활동시작 전 얼마만큼의 의자가 있어야 경기가 가능할까 등을 상의하고 결정하는 과정이 중요하다.
게임이 어린이의 수적인 사고에 도움을 주느냐, 않느냐는 어린이의 발달 수준에 따라 다 르다. 만일 한 어린이가 게임 중 의자에 앉지 못한 어린이를 보았을 경우 ,의자보다 어린 이가 더 많았다는 생각보다 누구누구가 의자에 앉지 못했다는 사실밖에 이해하지 못할 수 도 있을 것이다.
3 다리 묶고 달리기
사전활동
서로 협동하는 마음을 가지게 한다.
다른 어린이와 보조를 맞추어 나감으로써 탈 중심화를 도울 수 있다.
자료
다리를 묶을 수 있는 끈
역할과 관점
두 어린이가 나란히 서서 있으면 교사가 한 어린이의 왼발과 또 다른 어린이의 오른발을 묶어, 두 어린이가 세 발로 목적지까지 달리는 경기이다.
3) 쫓기 게임
쫓기 게임은 어린이의 탈 중심화적 사고를 도와줄 수 있다. 가령, ‘치기’놀이에서 술래는 한 어린이를 쫓다 갑자기 예상 밖의 어린이를 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일정한 방향으로 나무 주위를 돌며 쫓아가다 갑자기 방향을 바꾸어 정면으로 충동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놀라움의 탈 중심화를 반영하는데, 그것은 상대방이 예측할 수 없는 상황을 관찰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술래에게 붙잡히지 않으려고 피하는 어린이의 경우에도 술래가 갑작스러운 움직임을 취할 것인지를 상상해 보는 가운데 탈 중심화가 가능하게 된다.
1 치기
사전활동
공간개념을 이해할 수 있게 한다(나무를 중심으로 쫓아가다 술래가 갑자기 방향을 바꾼다 는 것을 공간적인 것을 반영하는 행동이다).
사물을 범주화해 볼 수 잇게 한다(목적지까지 가장 단거리로 갈 수 있는 공간적인 사고를 할 수 있다. 술래가 칠 수 없는 안전 구역을 만들 경우 ‘치기’ 게임은 사물을 범주화해 불 수 있는 요소도 포함하게 된다).
자료
없음
역할과 관점
모든 어린이들을 술래로부터 도망간다.
이 때 술래는 들어갈 수 없는 안전지대를 마련해 놓을 수도 있으며, 누군가를 치면 그 어 린이가 새로운 술래가 된다.
이를 변형한 ‘그림자 밟기’ 같은 게임은 어린이들에게 해의 위치에 따른 그림자의 위치나 길이에 대한 관계를 생각해 볼 수 있는 풍부한 기회를 제공해 줄 수 있다.
2 손수건 돌리기
사전활동
탈 중신화적 사고를 도와준다(술래와 잡으려는 어린이와의 거리를 최대로 하기 위하여 노 력함으로써 탈 중심화의 기회를 갖게 된다).
자료
손수건
역할과 관점
놀이자들이 원으로 앉아 노래를 부를 때 술래는 놀이자 바깥을 돌다 그들 중 한 명 뒤에 손수건을 떨어뜨린다.
뒤에 놓인 손수건을 알아차린 어린이가 손수건을 집어들고 술래가 빈 자리에 낮기 전에 술래를 쫓아가 치는 게임이다.
3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
사전활동
공간개념을 이해할 수 있게 한다(나무를 중심으로 쫓아가다 술래가 갑자기 방향을 바꾼다 는 것을 공간적인 것을 반영하는 행동이다).
사물을 범주화해 볼 수 잇게 한다(목적지까지 가장 단거리로 갈 수 있는 공간적인 사고를 할 수 있다. 술래가 칠 수 없는 안전 구역을 만들 경우 ‘치기’ 게임은 사물을 범주화해 불 수 있는 요소도 포함하게 된다).
자료
없음
역할과 관점
술래가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를 말할 때 앞으로 나아가고 술래가 볼때 움직이면 앞으 로 나아가 손가락을 건다. 한아이가 술래와 연결된 손가락을 끊으면 안전선 안으로 도망 온다.
모든 어린이들을 술래로부터 도망간다.
이 때 술래는 들어갈 수 없는 안전지대를 마련해 놓을 수도 있으며, 누군가를 치면 그 어 린이가 새로운 술래가 된다.
4 꼬리치기 (용꼬리 잡기)
사전활동
협동심을 길러준다.
자료
없음
역할과 관점
팔을 앞에 선 어린이 허리에 끼고 일렬로 선다.
맨 앞에 서 있는 어린이는 용의 머리가 되고, 가운데 있는 어리이가 용의 몸이 되고, 맨 뒤에 있는 어린이가 용의 꼬리가 된다.
리더가 사인을 주면 용의 머리는 꼬리를 잡으려고 한다. 그러나 이 대 어린이들이 연결한 선이 끊어져서는 안 되며 용의 머리가 꼬리를 치면 꼬리였던 어린이는 게임에서 제외된 다. 그러면 용의 머리가 꼬리가 되고, 두 번째 서있던 어린이가 새로운 머리가 된다.
이 게임은 단 두 명의 놀이자가 남을 때까지 계속된다.
서너명의 어린이들이 게임에서 제외되면, 이들끼리 새로운 용을 구성하여 게임을 할 수 있다.
모든 어린이들의 협력이 요구되는 게임으로, 만일 중간에 있는 어린이들이 협력해 주지 않으면 꼬리가 된 어린이가 아무리 노력해도 잡히게 된다.
이 게임은 놀이자 상호간의 협력 기회를 제공한다.
응용 활동
제일 뒤에 서는 어린이의 허리에 긴 끈을 달고 할 수 있다.
4)숨기기 게임
1. 숨바꼭질
사전활동
다른 사람의 생각을 알아 볼 수 있다.
공간과 속도, 거리 개념 등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자료
없음
역할과 관점
술래를 정하고 술래가 숫자를 셀 동안 나머지는 숨는다.
숫자를 다 세고 술래는 숨은 아이들을 찾아다닌다.
술래가 찾은 아이들 중 하나가 다음의 술래를 한다.
못 찾은 아이는 술래가 ‘못 찾겠다 꾀꼬리’를 외치면 나온다.
2. 보물찾기
사전활동
다른 사람의 생각을 알아 볼 수 있다.
공간과 속도, 거리 개념 등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자료
없음
역할과 관점
한사람이 일정한 거리 안에 보물을 숨긴다.
아이들은 숨긴 보물을 찾는다.
첫째, 둘째, 셋째혹은 빨리 ,더 빨리, 가장 빨리 등의 용어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자신의 행동과 그 행동의 결과와의 관계를 연결할 수 있다(어떻게 스푼을 잡아야 하고, 어떻게 하면 공이 스푼에서 떨어지지 않는가를 생각해 볼 수 있다).
역활과 관점
모든 어린이는 티스푼에 테니스 공을 얹고 도착점까지 가는데, 가는 도중 공을 떨어뜨리 지 않고 그릇에 담고 오는 어린이가 이기게 된다.
2 의자 뺏기
사전활동
1 대 1 대응에 대해 알 수 있다.
자료
의자
역할과 관점
놀이자의 수보다 의자를 한개 적게 준비한다.
음악이 시작되면서 의자 주위를 걷다가 음악이 멈출 때 모든 놀이자는 의자에 앉아야 하 는데, 이 대 의자에 앉지 못한 어린이는 빠지게 된다. 의자를 한 개씩 빼면서 하나 남은 의자에 어린이가 낮을 때까지 게임을 계속한다.
활동시작 전 얼마만큼의 의자가 있어야 경기가 가능할까 등을 상의하고 결정하는 과정이 중요하다.
게임이 어린이의 수적인 사고에 도움을 주느냐, 않느냐는 어린이의 발달 수준에 따라 다 르다. 만일 한 어린이가 게임 중 의자에 앉지 못한 어린이를 보았을 경우 ,의자보다 어린 이가 더 많았다는 생각보다 누구누구가 의자에 앉지 못했다는 사실밖에 이해하지 못할 수 도 있을 것이다.
3 다리 묶고 달리기
사전활동
서로 협동하는 마음을 가지게 한다.
다른 어린이와 보조를 맞추어 나감으로써 탈 중심화를 도울 수 있다.
자료
다리를 묶을 수 있는 끈
역할과 관점
두 어린이가 나란히 서서 있으면 교사가 한 어린이의 왼발과 또 다른 어린이의 오른발을 묶어, 두 어린이가 세 발로 목적지까지 달리는 경기이다.
3) 쫓기 게임
쫓기 게임은 어린이의 탈 중심화적 사고를 도와줄 수 있다. 가령, ‘치기’놀이에서 술래는 한 어린이를 쫓다 갑자기 예상 밖의 어린이를 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일정한 방향으로 나무 주위를 돌며 쫓아가다 갑자기 방향을 바꾸어 정면으로 충동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놀라움의 탈 중심화를 반영하는데, 그것은 상대방이 예측할 수 없는 상황을 관찰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술래에게 붙잡히지 않으려고 피하는 어린이의 경우에도 술래가 갑작스러운 움직임을 취할 것인지를 상상해 보는 가운데 탈 중심화가 가능하게 된다.
1 치기
사전활동
공간개념을 이해할 수 있게 한다(나무를 중심으로 쫓아가다 술래가 갑자기 방향을 바꾼다 는 것을 공간적인 것을 반영하는 행동이다).
사물을 범주화해 볼 수 잇게 한다(목적지까지 가장 단거리로 갈 수 있는 공간적인 사고를 할 수 있다. 술래가 칠 수 없는 안전 구역을 만들 경우 ‘치기’ 게임은 사물을 범주화해 불 수 있는 요소도 포함하게 된다).
자료
없음
역할과 관점
모든 어린이들을 술래로부터 도망간다.
이 때 술래는 들어갈 수 없는 안전지대를 마련해 놓을 수도 있으며, 누군가를 치면 그 어 린이가 새로운 술래가 된다.
이를 변형한 ‘그림자 밟기’ 같은 게임은 어린이들에게 해의 위치에 따른 그림자의 위치나 길이에 대한 관계를 생각해 볼 수 있는 풍부한 기회를 제공해 줄 수 있다.
2 손수건 돌리기
사전활동
탈 중신화적 사고를 도와준다(술래와 잡으려는 어린이와의 거리를 최대로 하기 위하여 노 력함으로써 탈 중심화의 기회를 갖게 된다).
자료
손수건
역할과 관점
놀이자들이 원으로 앉아 노래를 부를 때 술래는 놀이자 바깥을 돌다 그들 중 한 명 뒤에 손수건을 떨어뜨린다.
뒤에 놓인 손수건을 알아차린 어린이가 손수건을 집어들고 술래가 빈 자리에 낮기 전에 술래를 쫓아가 치는 게임이다.
3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
사전활동
공간개념을 이해할 수 있게 한다(나무를 중심으로 쫓아가다 술래가 갑자기 방향을 바꾼다 는 것을 공간적인 것을 반영하는 행동이다).
사물을 범주화해 볼 수 잇게 한다(목적지까지 가장 단거리로 갈 수 있는 공간적인 사고를 할 수 있다. 술래가 칠 수 없는 안전 구역을 만들 경우 ‘치기’ 게임은 사물을 범주화해 불 수 있는 요소도 포함하게 된다).
자료
없음
역할과 관점
술래가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를 말할 때 앞으로 나아가고 술래가 볼때 움직이면 앞으 로 나아가 손가락을 건다. 한아이가 술래와 연결된 손가락을 끊으면 안전선 안으로 도망 온다.
모든 어린이들을 술래로부터 도망간다.
이 때 술래는 들어갈 수 없는 안전지대를 마련해 놓을 수도 있으며, 누군가를 치면 그 어 린이가 새로운 술래가 된다.
4 꼬리치기 (용꼬리 잡기)
사전활동
협동심을 길러준다.
자료
없음
역할과 관점
팔을 앞에 선 어린이 허리에 끼고 일렬로 선다.
맨 앞에 서 있는 어린이는 용의 머리가 되고, 가운데 있는 어리이가 용의 몸이 되고, 맨 뒤에 있는 어린이가 용의 꼬리가 된다.
리더가 사인을 주면 용의 머리는 꼬리를 잡으려고 한다. 그러나 이 대 어린이들이 연결한 선이 끊어져서는 안 되며 용의 머리가 꼬리를 치면 꼬리였던 어린이는 게임에서 제외된 다. 그러면 용의 머리가 꼬리가 되고, 두 번째 서있던 어린이가 새로운 머리가 된다.
이 게임은 단 두 명의 놀이자가 남을 때까지 계속된다.
서너명의 어린이들이 게임에서 제외되면, 이들끼리 새로운 용을 구성하여 게임을 할 수 있다.
모든 어린이들의 협력이 요구되는 게임으로, 만일 중간에 있는 어린이들이 협력해 주지 않으면 꼬리가 된 어린이가 아무리 노력해도 잡히게 된다.
이 게임은 놀이자 상호간의 협력 기회를 제공한다.
응용 활동
제일 뒤에 서는 어린이의 허리에 긴 끈을 달고 할 수 있다.
4)숨기기 게임
1. 숨바꼭질
사전활동
다른 사람의 생각을 알아 볼 수 있다.
공간과 속도, 거리 개념 등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자료
없음
역할과 관점
술래를 정하고 술래가 숫자를 셀 동안 나머지는 숨는다.
숫자를 다 세고 술래는 숨은 아이들을 찾아다닌다.
술래가 찾은 아이들 중 하나가 다음의 술래를 한다.
못 찾은 아이는 술래가 ‘못 찾겠다 꾀꼬리’를 외치면 나온다.
2. 보물찾기
사전활동
다른 사람의 생각을 알아 볼 수 있다.
공간과 속도, 거리 개념 등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자료
없음
역할과 관점
한사람이 일정한 거리 안에 보물을 숨긴다.
아이들은 숨긴 보물을 찾는다.
추천자료
[놀이지도]놀이의 정신분석이론과 인지이론을 비교하시오(정신분석이론과 인지이론의 주요 개...
[놀이지도] 놀이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A+, 놀이지도) 놀이의 정신분석이론과 인지이론의 비교 분석
(A+, 놀이지도) 놀이의 정신분석이론과 인지이론의 비교 분석
놀이지도-중간
기말_광주_놀이지도
놀이의 영향과 놀이지도의 중요성
[놀이지도] 어린이집을 방문하여 영유아들이 개방식 놀잇감을 가지고 놀이하는 모습의 사진을...
[놀이지도] 최근 유아교육기관에서 활용되고 있는 영유아를 위한 놀잇감에 대해서 조사하고 ...
2015년 2학기 놀이지도 중간시험과제물 D형(색 개념, 놀이활동 계획안)
[놀이지도] 유아의 놀이유형에 대해 기술하고 자신의 생각을 제시하시오
[놀이지도] 놀이가 인지발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살펴보고 인지발달을 시킬 수 있는 활동...
[놀이지도] 모래놀이를 실시하는 이유와 문제점 모래상자 치료를 실시하는 이유와 문제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