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교육의 위기와 사교육의 절정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제 1장. 공교육의 붕괴와 사교육 의존의 증가

제 2장. 개념 정리 및 선행연구 검토
2 - 1. 공교육과 사교육
2 - 2. 공적 신뢰와 사적 신뢰
2 - 3. 선행연구 검토

제 3장. 연구 설계 및 연구방법

제 4장. 교육에 대한 신뢰 유형
4 - 1. 학생들의 공교육과 사교육에 대한 신뢰의 차이
4 - 2. 학부모들의 공교육과 사교육에 대한 신뢰의 차이

제 5장. 사교육에 대한 사적 신뢰 형성 과정
5 - 1. 자발적 선택과 사교육의 폐쇄성
5 - 2. 학생들과 학부모의 만족도

제 6장. 신뢰의 바탕은 의사소통에 있다.

◆ 참고 문헌

◆ 부록

본문내용

사소통망이 형성되어 있을 경우 그 유지기간이 길어진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앞에서 학생들이 학교 선생님과의 의사소통이 힘들다고 한 점에 비추어볼 때 큰 의미를 지닌다. 학교 선생님에 대한 사적 신뢰가 형성되지 못할 경우 공교육 전체에 대한 불신이 자리 잡는 경우가 많았다. 즉 사교육을 하고 있는 학생들과 학부모들은 모두 사교육에 대한 사적 신뢰는 높은 반면, 공교육이나 학교 선생님에 대해선 일관적인 신뢰를 보이지 않는 경향을 보였다.
제 6장. 신뢰의 바탕은 의사소통에 있다.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학생들과 학부모들은 사교육 교습자에 대한 사적 신뢰가 공교육에 대한 신뢰보다 높게 형성되어 있으며, 이런 사적 신뢰는 의사소통망이 긴밀하게 형성되어 있을 때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결국 학교에서 선생님과 학생들 사이의 의사소통의 단절이 학생들로 하여금 학교 선생님에 대한 사적 신뢰를 떨어뜨릴 뿐만 아니라 공교육 전체에 대한 공적 신뢰에까지 영향을 미친다. 특히 사교육 교습자의 학력이나 전공보다 학생들과의 대화, 인간관계가 사교육 만족도를 높이는데 더 크게 영향을 미친다는 점은 주목할 만하다.
교육이 사람과 사람사이에서 일어난다는 점을 감안하면 당연한 결과일지도 모른다. 서로 마음이 통하고 대화가 통하지 않는 상태에서 신뢰가 형성될 수 없다는 것이다. 공교육이 정상화를 외치며, 사교육 감소를 위한 대책을 아무리 마련한다고 해도 교육의 직접적인 수용자인 학생들의 입장에서는 크게 달라지는 게 없는 것처럼 느껴진다. 공교육 제도에 대한 불신이 제도 그 자체의 비합리성이나 비효율성, 비공정성을 이유로 생겨난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학교 내에서 학생들과 선생님들 사이에 긴밀한 인간관계를 형성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지 않는다면 학생들의 학교 선생님에 대한 사적 신뢰를 기대하기 힘들다. 그리고 이는 결국 공교육 제도에 대한 불신으로 이어지거나 사교육에 대한 의존, 집착으로 이어질 여지가 있다.
학생들은 학교에서 친구들을 경쟁상대로 여기고, 선생님을 나를 평가하는 대상이라 생각하기 때문에 수업 시간에 자신의 의사를 표현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자신이 어느 정도를 이해했고, 또 이해하지 못했는지 알리는 것을 꺼린다. 하지만 이와 반대로 사교육에서는 당연하고, 편하게 자신의 의사를 밝히게 된다. 이런 심리적인 차이가 사교육에 대한 효과를 높이는 결과를 가져오고 사교육에 대한 신뢰를 높이는 원인이 되는 것이다. 따라서 학생들의 인식의 차이가 생겨나지 않는다면 이런 악순환은 계속 될 수밖에 없다. 학부모들 역시 자녀들의 이야기나 주변 이웃들과의 대화를 바탕으로 교육에 대한 신뢰 정도를 결정하는데, 따라서 학생들의 공교육에 대한 만족도가 낮게 나타나면 학부모들 역시 공교육에 대한 높은 신뢰를 보이지 않는다. 공교육이 제대로 자리 잡기 위한 그 밑바탕에 의사소통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연결망을 만들어야한다.
사교육이 사회의 양극화까지 만들어내는 현실을 고려해 볼 때, 근본적인 대책을 마련해서 공교육 정상화를 위한 노력을 멈춰서는 안 된다. 하지만 근시안적인 대책은 도리어 공교육의 위기를 초래하는 경우가 많다는 점을 잊지 말아야 한다. 사교육 그 자체가 나쁜 것은 아니다. 사교육과 공교육의 차이를 인정해야 한다. 사교육이 가진 긍정적인 기능도 존재하기 때문이다. 사교육으로 인한 문제점들은 바로잡되, 사교육 말살정책으로 이어져선 안 된다. 결국, 지금 당장은 사교육을 줄일 수도, 없앨 수도 없다. 따라서 학생들과 학부모들이 가지고 있는 사교육에 대한 신뢰를 공교육에 대한 신뢰로 바꿔나가야 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현실적으로 사교육 교습자들에 대한 객관적인 기준이 제대로 존재하지 않는 만큼, 수용자들의 비판적인 태도가 반드시 필요하다. 학생이나 학부모 모두 사교육을 하는 행위 자체에 대해서 심리적인 안정을 느끼고 있었다. 그러다보니 사교육 교습자에 대한 자격 검증에 대한 필요성을 인식하지 못했다. 사교육을 교육의 보조적인 역할로 효율적으로 활용하되, 지나치게 의존하거나 맹신해선 안 된다.
◆ 참 고 문 헌
김미숙, 2005.“입시학원 교육:중산층의 경쟁 및 불안,”「교육사회학연구」,
13(3): 67-87.
송기창, 2002.“사교육의 운영실태에 관한 조사연구,”「교육재정경제연구」,
11(2): 51-89.
이재혁, 1998.“신뢰의 사회구조화,”「한국사회학」32:311-335.
이종재, 2003.“사교육문제에 대한 대책:공교육 교육력 강화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개발원 연구 보고서, 총 121페이지.
임천순, 1995.“교육산업의 개념과 구조,”「교육재정경제연구」, 4(1): 1-32.
임천순 외, 2004.“사교육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교육재정경제연구」,
13(1): 331-356.
최상근, 2003.“사교육 실태 및 사교육비 규모 분석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연구 보고서, 총 418페이지.
제임스 콜만, 1988.“인적자본 형성에 있어서의 사회자본,”유석춘 외 공편,「사회자본:이론과 쟁점」, 그린, pp. 89-124
네이버 오픈 사전 www.naver.com
◆ 부 록
면접 일정
1차 면접 (2006년 4월 30일 일요일)
과외를 받는 학생들 a b c
2차 면접 (2006년 5월 5일 금요일)
학원을 다니는 학생들 A B C D E
3차 면접 (2006년 5월 6일 토요일)
과외를 받는 학생들 a b c d e
4차 면접 (2006년 5월 7일 일요일)
학원을 다니는 학생들 A B C D / 사교육을 받지 않는 학생들 X Y Z
5차 전화 인터뷰(2006년 5월 5일부터 2006년 5월 9일까지 5일간)
사교육을 하는 학부모 1 2 3 4 5 6 / 사교육을 하지 않는 학부모 7 8 9
6차 면접 (2006년 5월 9일 화요일)
사교육을 하는 학부모 6 10 11 / 사교육을 하지 않는 학부모 12
7차 면접 (2006년 5월 14일 일요일)
과외를 받는 학생들 a c e / 학원을 다니는 학생들 A C
* 논문에서의 녹취 표기는 (면접 대상-면접 일시)으로 표기함.
예: (a-1)는 1차 면접에서 a의 대답을 의미함.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09.06.26
  • 저작시기2006.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4320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