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들어가며
Ⅱ. 처분사유의 추가․변경의 허용 여부
Ⅲ. 동일성 판단기준
Ⅳ. 재량행위에 대한 처분사유의 추가․변경
Ⅴ. 처분사유의 추가 변경의 결과
Ⅱ. 처분사유의 추가․변경의 허용 여부
Ⅲ. 동일성 판단기준
Ⅳ. 재량행위에 대한 처분사유의 추가․변경
Ⅴ. 처분사유의 추가 변경의 결과
본문내용
의 추가변경의 경우, 원고에게 즉시 소를 취하할 기회가 부여되어야 하고, 이러한 경우 소송비용은 피고가 부담하여야 할 것이다.
2. 기본적 사실관계에 있어서 동일성이 인정되지 않는 경우
기본적 사실관계에 있어서 동일성이 인정되지 않는 처분사유의 추가변경의 경우, 다른 처분을 발하는 것이어서 이 경우 처분변경으로 인한 소의 변경이 허용되어야 할 것이다.
2. 기본적 사실관계에 있어서 동일성이 인정되지 않는 경우
기본적 사실관계에 있어서 동일성이 인정되지 않는 처분사유의 추가변경의 경우, 다른 처분을 발하는 것이어서 이 경우 처분변경으로 인한 소의 변경이 허용되어야 할 것이다.
추천자료
경찰의 은밀한 정보수집행위와 그에 대한 구제방법
형사소송법 주요 암기 핵심
[행정법]행정법상의 행정소송의 종류
[행정법]행정소송법상의 취소소송의 재판관할과 당사자
물적 행정행위
토지수용처분에 대한 행정소송과 보상금증감소송
민사소송법상 석명의무의 범위와 석명처분 - 석명의무 범위, 지적의무 범위, 석명 처분
[헌법]권한쟁의심판
공공기관사회복지사와 민간기관사회복지사의 비교와 전문성향상방안
행정처분의 하자 - 대법원 94누4615 판결을 중심으로 -
권한쟁의심판 - 조문과 판례
[일본, 복지행정제도]일본의 장애인소득보장제도, 복지행정제도, 일본의 사법제도, 법조양성...
[일본제도]일본의 선거제도, 지방자치제도, 일본의 역저당제도, 자격제도, 일본의 직업훈련제...
지방행정갈등사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