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위수술 Stereotactic neurosurgery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수술방법
2. 정위기구의 부착
3.방사선 촬영
4.진입경로 및 진입점 결정
5. 표적결정
6.수술의 종류

본문내용

종을 천고하여 몇 방울의 낭종액 만을 채취한 후 바늘을 서서히 빼내댜가 낭종액이 나오지 않는 부위에서 생검을 실시하던지, 낭종의 중심을 표적으로 하여 낭종액을 제거하다가 저항을 느끼면 낭종벽이 바늘의 구멍을 막을 때이므로 그 때 생검을 실시하는 것이 좋다.
-최근까지 보고된 바에 의하면 정위수술로 인한 유병률은 4-5%이고 사망율은 1% 미만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병소가 뇌심부에 있는 경우와 개두술이 곤한한 경우는 기구 정위수술을 사용하는 것이 좋으나, 피질 혹은 피질하에 위치한 작은 병소는 무기구 정위장치를 이용하여 최소한의 개두술로도 정확한 생검이 가능하다.
-주로 사용되는 겸자는 cup forceps, cork screw needles, side-cutting aspiratin needles 등이다. 대부분의 종양에 cup forceps을 사용할 수 있느나 연한 종양의 경우 생검 조직의 파괴가 적은 side aspirating needles이 좋고, 아주 딱딱한 종양의 생검은 cork screw needles을 이용하기도 한다.
B. 이물제거, 배액술 및 약물주입
C. 내시경 수술 및 정위적 개두술
D. 근접치료
E. 방사선수술
  • 가격1,5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9.07.02
  • 저작시기2009.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4392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