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수술방법
2. 정위기구의 부착
3.방사선 촬영
4.진입경로 및 진입점 결정
5. 표적결정
6.수술의 종류
2. 정위기구의 부착
3.방사선 촬영
4.진입경로 및 진입점 결정
5. 표적결정
6.수술의 종류
본문내용
종을 천고하여 몇 방울의 낭종액 만을 채취한 후 바늘을 서서히 빼내댜가 낭종액이 나오지 않는 부위에서 생검을 실시하던지, 낭종의 중심을 표적으로 하여 낭종액을 제거하다가 저항을 느끼면 낭종벽이 바늘의 구멍을 막을 때이므로 그 때 생검을 실시하는 것이 좋다.
-최근까지 보고된 바에 의하면 정위수술로 인한 유병률은 4-5%이고 사망율은 1% 미만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병소가 뇌심부에 있는 경우와 개두술이 곤한한 경우는 기구 정위수술을 사용하는 것이 좋으나, 피질 혹은 피질하에 위치한 작은 병소는 무기구 정위장치를 이용하여 최소한의 개두술로도 정확한 생검이 가능하다.
-주로 사용되는 겸자는 cup forceps, cork screw needles, side-cutting aspiratin needles 등이다. 대부분의 종양에 cup forceps을 사용할 수 있느나 연한 종양의 경우 생검 조직의 파괴가 적은 side aspirating needles이 좋고, 아주 딱딱한 종양의 생검은 cork screw needles을 이용하기도 한다.
B. 이물제거, 배액술 및 약물주입
C. 내시경 수술 및 정위적 개두술
D. 근접치료
E. 방사선수술
-최근까지 보고된 바에 의하면 정위수술로 인한 유병률은 4-5%이고 사망율은 1% 미만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병소가 뇌심부에 있는 경우와 개두술이 곤한한 경우는 기구 정위수술을 사용하는 것이 좋으나, 피질 혹은 피질하에 위치한 작은 병소는 무기구 정위장치를 이용하여 최소한의 개두술로도 정확한 생검이 가능하다.
-주로 사용되는 겸자는 cup forceps, cork screw needles, side-cutting aspiratin needles 등이다. 대부분의 종양에 cup forceps을 사용할 수 있느나 연한 종양의 경우 생검 조직의 파괴가 적은 side aspirating needles이 좋고, 아주 딱딱한 종양의 생검은 cork screw needles을 이용하기도 한다.
B. 이물제거, 배액술 및 약물주입
C. 내시경 수술 및 정위적 개두술
D. 근접치료
E. 방사선수술
키워드
추천자료
뇌수술 전후 간호
[수술실 Case study] 뇌동맥류 Aneurysm
뇌종양의 종류와 수술
[간호][통증간호][C-sec간호][피부계장애간호][회음부간호][뇌수술간호][자궁절제술 간호][환...
[간호][간호사례][가와사키병 간호 사례][위암 간호 사례][실어증환자 간호][수혈 간호][뇌수...
뇌종양 문헌고찰과 수술방법
신경계 수술 및 환자 간호(craniotomy, burr hole trephination, cranioplasty 등)
무의식 환자, 두개내압 상승환자, 뇌혈관-뇌수술환자 간호
성인 수술실 케이스,Aneurysm, 뇌동맥류 클리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