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로기준법상 근로자 대표의 개념과 서면합의의 효력 등에 관한 해석기준
본 자료는 미만의 자료로 미리보기를 제공하지 않습니다.
닫기
  • 1
  • 2
  • 3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근로기준법상 근로자 대표의 개념과 서면합의의 효력 등에 관한 해석기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목적

2. 해석기준

본문내용

사협의회 근로자위원과의 서면합의 효력에 준하여 판단함.
⑤ 기타 노사협의회에서 근로시간과 관련하여 의결하는 경우
근로자참여및협력증진에관한법률은 노사협의회에서 작업 및 휴게시간의 운용에 관한 사항을 협의하거나 의결할 수 있도록 하고 있음(§19 ① 제8호). 이 경우 노사협의회의 의결만으로 탄력적 근로시간제를 도입할 수 있는지의 여부와 의결된 사항에 대한 법적 효력이 문제가 됨.
탄력적 근로시간제의 도입과 관련한 사항 등 근로기준법상 사용자가 근로자 대표와의 서면합의를 하도록 한 규정은 동 제도의 도입을 위한 기본적인 법적 요건이므로 노사협의회의 의결만으로는 도입이 불가함. 따라서 탄력적 근로시간제 도입 등에 관한 사항을 노사협의회에서 의결하더라도 별도로 서면합의서를 작성하거나 취업규칙을 변경하여야 함.
  • 가격1,000
  • 페이지수3페이지
  • 등록일2009.07.12
  • 저작시기2009.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4480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