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과 한국의 음식문화비교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일본과 한국의 음식문화비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한국과 일본의 지리적 환경
2. 한국과 일본음식의 일반적인 특징
3. 한국과 일본의 식사예절
4. 한국과 일본 음식문화의 공통점․차이점

Ⅲ. 결론

본문내용

대단한 인기가 있었다고 한다. 그 이후 도쿄에서 발달되어 재료의 폭도 넓어지고 기술도 진보하여 이제는 모든 사람들이 즐겨 먹는 대중적인 요리의 하나가 되었다. 전체적으로 일본요리는 담백한 맛을 자랑하는데, 그 가운데 튀김요리만큼은 기름에 튀겨 진한 맛을 내는 예외적인 요리라 하겠다.
사시미(회)
생선회는 예전에는 생선살을 식초에 담갔다가 먹었다고 한다. 관서 지방에서 사시미를 오츠쿠리라고 하는 것은 쓰쿠리미로부터 온 것이고, 그 이후 간장에 찍어 먹는 것을 사시미라고 불렀다고 한다. 생선회는 사시미, 나마모노, 쓰쿠리, 쓰쿠리미 등으로 부르는 이름이 여러 가지이지만 메뉴에는 사시미나 쓰쿠리가 많이 쓰인다. 생선회는 한 쪽이 3cm 크기가 기본이다. 이것보다 크게 자르면 한입에 먹을 수 없고 반대로 작게 자르면 생선회 맛을 알 수 없다고 한다. 사람의 손에는 따뜻함이 있어서 생선살에 손의 따뜻함이 전해지면 선도가 급속히 떨어지므로 생선회를 할 때 사람의 손과 손끝이 닿지 않고 젓가락을 사용해서 접시에 담아내는 것이 요리사의 기술이라 하겠다.
지금까지 한국과 일본의 음식문화의 특징과 종류에 대해 알아보았다. 일본과 한국은 예로부터 이웃나라로 많은 부분에서 서로 영향을 끼쳐왔다. 음식도 마찬가지여서 만약에 일본에서 전래된 고추가 없었다면 한국의 대표적 음식인 김치는 지금의 모습과는 다를 것이다. 닮은 듯 하면서 다른 한국과 일본의 음식문화. 서로의 나라의 차이를 즐기면서 음식을 맛보는 것도 재미있을 것 같다.
Ⅲ. 결론
일본음식은 화려하다. 맛뿐이 아니라 그 모양까지 아름다워야 진짜 맛있는 음식이 된다는 생각이 일본 음식문화의 기본에 있다. 음식의 차원을 넘어서 거의 작품에 가깝다. 단순히 입으로만 즐기는 요리가 아니라 눈으로도 즐기며 먹는 요리이다. 그래서 수북히 담아 먹어야 미덕인 우리나라 음식과는 달리, 조금씩 아름답게, 그릇과의 조화를 생각하며 먹는 것이 일본음식이다.
일본음식은 냄비 째 내오는 요리를 제외하고는 큰그릇에 담아오는 예가 없다. 한국에서는 큰그릇에 담아서 다 같이 먹는데 비해, 일본은 요리 하나하나를 일일이 개인의 접시나 그 릇에 조금씩 나누어 먹는다. 그래서 일본사람들에게는 우리의 비벼먹는 문화를 이해하지 못한다. 비벼먹는 음식 중 비빔밥도 있지만, 회덮밥과 물회가 있다. 회덮밥은 일본음식이 우리나라에 토착화되면서 변형되어진 한국의 일식요리이다. 회덮밥은 비빔밥과 비슷하게 여러 가지 야채와 회를 넣고 밥과 같이 비벼서 먹는 음식이고, 물회는 일반적으로 회덮밥에 차가운 생수나 사이다를 넣고 비벼먹는 음식이다. 일본에선 우리나라의 비벼먹는 음식문화의 인기가 조금씩 높아져간다고 한다.
일본 음식은 중국과 우리나라 음식의 영향을 받아 유사한 점이 많이 있으나, 그 속에서도 그들만의 독특한 음식 문화를 발전시켰다.
일본 사람들은 음식을 만들 때 조화를 중요시 하는데, 이것은 그들의 다양한 조리법에도 잘 나타나 있다. 음식과 그 음식을 담는 그릇과의 조화 또한 중요시 여겨 요리 자체를 하나의 예술품으로 만들기도 한다.
일본도 한국과 같이 쌀을 주식으로 하고, 야채와 해조를 많이 사용한다. 일본의 음식 문화가 우리 나라나 중국의 것과 뚜렷하게 다른 점은, 일본에서는 육식문화가 발달하지 못했다는 점이다.
일본에서 공개적으로 동물의 고기를 먹기 시작한 것은 지금으로부터 100여 년 전인 메이지(明治) 연대에 이르러서 이다. 그러나 일본은 육식문화가 발달하지 못한 대신 콩 소비 중심의 독특한 식생활 문화가 정착되었다.
일본 된장(미소), 낫도, 왜간장(소유), 두부 등이 그것이다. 일본 식탁의 메뉴는 재료와 조리법이 서로다른 것들로 구성 되는데, 즉 맑은 국(스이모노), 날것(나마모노), 구이(야끼모노)에 이어 조림(니모노)이 덧붙여져 일즙삼채(一汁三菜)가 된다. 이는 메뉴를 짤 때 가장 중요시 되는 것이다.
식기는 기본적으로 1인분 씩 따로 쓰며 도자기,칠기,죽제품,유리 제품 등 변화가 많아, 요리의 내용이나 계절에 따라 조화시킴으로써 요리의 시각적 아름다움을 살리고 있다.
현대 일본 요리는 예로부터 전해져 오는 전통 요리의 조리법과 외국 문화와의 교류로 들여온 여러 외국 음식의 조리법을 병용하여 그들만의 독특한 조리법를 창조해 내고 있다
일본은 육식문화가 별로 발달하지 못했지만 콩의 소비가 중심이란 사실이 굉장히 독특하다고 느꼈고, 여러 외국 음식의 조리법을 병용한다는 독특한 조리법 창조에 대해 앞으로도 어떠한 음식들이 생겨나게 될 지 기대가 되었다.
  • 가격1,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9.07.13
  • 저작시기2008.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4504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