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보린의 시각적 정보에 따른 소비자 행동 분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게보린의 시각적 정보에 따른 소비자 행동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제품선정동기 -------------------------------------- 1
2. 제품소개 ----------------------------------------- 2
3. 시장분석 ----------------------------------------- 4
4. Positioning map을 이용한 두통약의 시각적 정보 분석
5. 게보린의 시각적 정보 특징 --------------------------- 9
6. 소비자 구매 행동을 높이기 위한 게보린의 시각적 정보 변화 -- 10
7. 게보린의 시각적 정보의 개선방안 ---------------------- 10

본문내용

보린이 포함되어있고 특히 blue 군에는 스펜탈, 사리돈, 펜잘, 폭센이 군집을 형성하고 있다.
< 컬러의 특징 분석 >
명시성
① 명도의 차이나 채도가 클 때 색이 잘 식별되고 명도가 같을 때는 채도가 높은 쪽이 눈에 잘 띈다.
② 상품의 바탕이 흰색과 같이 밝을 때는 노랑이나 주황보다 어두운 파랑이나 검은색의 브랜드 네임이 더욱 눈에 잘 띈다.
③ 밝은 조명 아래에서는 노랑색 영역이 가장 눈에 잘 띄며 어두운 조명아래에서는 청록이 가장 눈에 잘 띈다.
조화 / 대비
① 채도가 높은 색끼리의 대립조화는 화면을 강렬하게 만들어 눈에 잘 띈다.
② 보색끼리의 배색은 각자의 색이 원래의 색보다 더욱 뚜렷해지므로 채도가 높아져 보여 눈에 띈다.
식감
① 빨강, 주황, 노랑 등 난색계열 색상은 식품 포장에 있어 맛을 표현하는 힘이 강하다.
② 노란색은 산뜻한 맛을 느끼게 하여 눈에 잘 띈다.
③ 파란색과 녹색은 신선하고 상쾌한 맛을 강조할 때 눈에 잘 띈다.
면적
① 아무리 밝은 색을 지녔다 하더라도 크기가 작으면 눈에 잘 띄지 않으므로 작은 패키지는 단일색의 사용으로 면적이 커 보이게 하면 눈에 잘 띈다.
② 큰 면적의 색은 적은 면적의 색보다 매스(Mass)효과에 의해 화려하고 박력이 있어 보여 눈에 잘 띈다.
기타
① 고유색을 탈피한 새로운 상품 이미지색은 다른 상품과의 차별화로 주의를 끈다.
② 같은 상품군내에서 차별되는 제품색상은 눈에 잘 띈다.
4) 제품 모양 및 색상
△ 게보린 △ 펜잘 △ 아스피린
△ 사리돈 △ 폰탈 △ 타이레놀
위의 사진은 현재 시판중인 두통약의 모양 및 색상이다. 주로 흰색계열로 일반 약처럼 둥근 모양이나 캡슐모양의 형태가 주를 이루고 있는 반면 게보린은 삼각형 모양에 분홍색으로 소비자 행동의 내적요소를 자극하고 있다.
출시 초기만 해도 게보린의 모양은 현재의 아스피린이나 사리돈의 모양처럼 일반 약과 다를 바 없는 둥근 형태였다. 하지만 색깔과 모양을 소비자에게 친숙하도록 과감하게 바꿨다. 특히 여성 소비자에게 보다 친숙한 이미지를 주기 위해 의약품으로서는 파격적으로 ‘분홍색’과 ‘삼각형 하트 모양’이라는 독특함을 제품에 반영한 것도 성공요인으로 평가받고 있다. 게보린에 ‘핑크 하트’라는 애칭이 붙은 것도 이 때문이다.
5. 게보린의 시각적 정보 특징
앞에서의 분석내용을 요약해 보면 게보린의 주요 시각적 정보의 특징은 다음가 같다.
① 포장 디자인 : 현대적이고 딱딱한 편에 속한다.
② 로고타입 : 로고 자체로는 현대적이고 딱딱한 편에 속하지만, 국내 두통약의 로고타입에 비교해 보았을 때 상대적으로 부드러운 글씨체에 속한다.
③ 외곽 컬러 : 보라색과 분홍색 계열이다.
④ 제품 모양 및 색상 : 분홍색과 삼각형 하트 모양으로 여성 소비자에게 좀 더 친숙한 이미지이다.
6. 소비자 구매 행동을 높이기 위한 게보린의 시각적 정보 변화
▶ 이런 시각적 정보의 분석에 따라 게보린은 제품의 컬러와 모양은 그대로 유지하는 대신에 2006년에 외곽 디자인에 게보린을 상징하는 보라색을 첨가하여 감성적 효과를 강화하였으며 반듯한 정자체였던 로고는 눈에 더 잘 띄는 사체(기울임체)로 바꾸었다. 그리고 기존에는 있지 않던 제품사진과 두통 치통 생리통이라는 효능, 효과에 대한 문구를 넣어 시각적 정보에 따른 소비자의 주목을 더 끌게 되었다.
7. 게보린의 시각적 정보의 개선방안
타사의 두통약에 비해 상대적으로 부드러운 로고타입이나 보라색의 외곽 컬러와 분홍색의 제품 컬러 및 하트형태의 모양은 모두 남성보다는 여성에게 시각적 주목을 끄는 요인들이다. 이런 요인은 게보린을 소비자의 주목을 끌게 하는 강점이 된 동시에 남성 소비자들에게는 크게 어필하지 못하는 약점이 되고 있다. 이렇듯 타사의 두통약과 비교해 보았을 때 게보린이 유독 여성을 타깃으로 한 시각적 정보를 제공하는 제품임을 알 수 있는데 여성뿐만 아니라 남성에게도 시각적 주목을 끌기 위한 노력이 요구되어 진다.
출처
게보린 http://www.sjgeworin.com/
권득문(2005), 두통약 시장 주요 브랜드의 광고 비교 분석
삼진제약 http://www.samjinpharm.co.kr/
이경수(2005), 일반의약품 오남용 방지를 위한 패키지 디자인 연구, 홍익대 산업미술대학원
조서환(2004), 한국형 마케팅, 서울: 21세기 북스
한국제약협회 http://www.kpma.or.kr/
Media & consumer research: 소비자 행태 조사(2007), 한국방송광고공사
  • 가격2,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9.07.15
  • 저작시기2009.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4549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