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국소마취법(국소마취)의 종류
1. 표면마취
2. 침윤마취
3. 전도마취
4. 경막외마취
5. 척수마취
Ⅲ. 국소마취법(국소마취)의 위험성
Ⅳ. 국소마취법(국소마취)부작용의 요인
Ⅴ. 국소마취법(국소마취)부작용의 사례
1. 사실개요
2. 판결요지
Ⅵ. 국소마취법(국소마취)부작용의 처치와 예방 방안
1. Syncope
1) 원인
2) 증상
3) 처치
4) 예방
2. Angina
1) 증상
2) 처치
3. Seizure
1) 원인
2) 증상
3) 처치
4. Asthma
1) 원인
2) 증상
3) 처치
5. Allergenic reaction
1) 원인
2) 증상
3) 처치
4) 예방
Ⅶ. 결론
참고문헌
Ⅱ. 국소마취법(국소마취)의 종류
1. 표면마취
2. 침윤마취
3. 전도마취
4. 경막외마취
5. 척수마취
Ⅲ. 국소마취법(국소마취)의 위험성
Ⅳ. 국소마취법(국소마취)부작용의 요인
Ⅴ. 국소마취법(국소마취)부작용의 사례
1. 사실개요
2. 판결요지
Ⅵ. 국소마취법(국소마취)부작용의 처치와 예방 방안
1. Syncope
1) 원인
2) 증상
3) 처치
4) 예방
2. Angina
1) 증상
2) 처치
3. Seizure
1) 원인
2) 증상
3) 처치
4. Asthma
1) 원인
2) 증상
3) 처치
5. Allergenic reaction
1) 원인
2) 증상
3) 처치
4) 예방
Ⅶ.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의 외상은 구강내 무언가를 넣으려 하다가 발생한다는 것을 명심하고 구강 내에서 모든 기구를 제거해야 한다.
4. Asthma
1) 원인
외부 항원에 대한 allergy의 결과
2) 증상
흡기시보다 호기시에 더 심한 wheezing sound, 특정 항원, 정서적 스트레스, 비정상적 흥분이나 감염에 의해 촉진될 수 있다.
3) 처치
경한 경우에 특별한 처치는 필요하지 않다. 상태가 심해지면 호기보단 흡기량이 많으므로 공기가 차지 않도록 조심해서 산소를 투여한다. epinephrine의 IM이나 aminophyllline의 IV를 투여한다. isoproterenol이 함유된 bronchodilator spray를 사용한다.
5. Allergenic reaction
1) 원인
anaphylactic type이 치과 영역에서 중요하며 단시간에 상황이 악화되어 심장이 멎을수 있다. amide type보다는 easter type agent와 연관이 있으며 마취제 자체보다는 마취제 보존액인 methylparaben이 원인이라는 연구가 있다.
IGE antibody → mast cell과 basophil의 붕괴 → histamine 분비 → 혈관 투과도 증가와 혈관 확장 → fluid가 interstitial space로 이동 → 조직 edema와 urticaria, anasarca, laryngeal edema, bronchospasm
2) 증상
chest discomfort, itch, flushing, urticaria, stomache, vomitting, diarrhea, wheezing, dispnea, acute airway obstruction, palpitation, tarchycardia, arrhythmia, hypotension, 의식상실, cardiac arrest
3) 처치
- 자세
Trendelenburg position
- airway maintenance with 100% oxygen
필요시 endotracheal intubation or tracheostomy
- IV cannulation & drug administration
epinephrine이 drug of choice, antihistamine, corticosteroid, aminophylline, dopamine, dobutamine, lactated Ringer solution transport
4) 예방
의학병력이 아주 중요하다. skin test는 유용한 예방법이다. skin test에서도 심한반응을 보일 수 있으므로 resuscitation equipment를 갖추고 있어야 한다.
Ⅶ. 결론
국소 마취를 위한 여러 가지 대안적 방법들을 이해하고 익혀 실패를 최소화하고 성공을 최대화할 수 있다. 게다가 이러한 방법들을 이용하여 환자에게 더욱 편안하고 양질의 치료를 행할 수 있다. 이 중에서 어떤 방법을 선택할 것인가는 임상가 자신의 선호도에 달려있다. 그 방법은 실패를 최소화하고 성공을 극대화시키는 방법이어야 하며 환자에게 보다 편안한 치료를 제공할 것이다. 그러므로 훌륭한 임상가가 되기 위해서는 정확한 지식을 충분히 습득하고 technique을 완벽히 연마한 후 그에 기초하여 자신만의 protocol을 성립하여야 한다.
참고문헌
○ 김동수·승익상·이국현·장성호 역(1997), 마취와 약물상호작용, 서울 : 고려의학
○ 김문실·변영순(1994), 최신 수술실환자간호, 수문사
○ 김영숙 외 8명(1986), 성인간호학(상권), 수문사
○ 윤혜상, 개정판 수술실환자간호, 청구문화사
○ G. Edward Morgan,Jr 외, Clinical Anesthesiology
4. Asthma
1) 원인
외부 항원에 대한 allergy의 결과
2) 증상
흡기시보다 호기시에 더 심한 wheezing sound, 특정 항원, 정서적 스트레스, 비정상적 흥분이나 감염에 의해 촉진될 수 있다.
3) 처치
경한 경우에 특별한 처치는 필요하지 않다. 상태가 심해지면 호기보단 흡기량이 많으므로 공기가 차지 않도록 조심해서 산소를 투여한다. epinephrine의 IM이나 aminophyllline의 IV를 투여한다. isoproterenol이 함유된 bronchodilator spray를 사용한다.
5. Allergenic reaction
1) 원인
anaphylactic type이 치과 영역에서 중요하며 단시간에 상황이 악화되어 심장이 멎을수 있다. amide type보다는 easter type agent와 연관이 있으며 마취제 자체보다는 마취제 보존액인 methylparaben이 원인이라는 연구가 있다.
IGE antibody → mast cell과 basophil의 붕괴 → histamine 분비 → 혈관 투과도 증가와 혈관 확장 → fluid가 interstitial space로 이동 → 조직 edema와 urticaria, anasarca, laryngeal edema, bronchospasm
2) 증상
chest discomfort, itch, flushing, urticaria, stomache, vomitting, diarrhea, wheezing, dispnea, acute airway obstruction, palpitation, tarchycardia, arrhythmia, hypotension, 의식상실, cardiac arrest
3) 처치
- 자세
Trendelenburg position
- airway maintenance with 100% oxygen
필요시 endotracheal intubation or tracheostomy
- IV cannulation & drug administration
epinephrine이 drug of choice, antihistamine, corticosteroid, aminophylline, dopamine, dobutamine, lactated Ringer solution transport
4) 예방
의학병력이 아주 중요하다. skin test는 유용한 예방법이다. skin test에서도 심한반응을 보일 수 있으므로 resuscitation equipment를 갖추고 있어야 한다.
Ⅶ. 결론
국소 마취를 위한 여러 가지 대안적 방법들을 이해하고 익혀 실패를 최소화하고 성공을 최대화할 수 있다. 게다가 이러한 방법들을 이용하여 환자에게 더욱 편안하고 양질의 치료를 행할 수 있다. 이 중에서 어떤 방법을 선택할 것인가는 임상가 자신의 선호도에 달려있다. 그 방법은 실패를 최소화하고 성공을 극대화시키는 방법이어야 하며 환자에게 보다 편안한 치료를 제공할 것이다. 그러므로 훌륭한 임상가가 되기 위해서는 정확한 지식을 충분히 습득하고 technique을 완벽히 연마한 후 그에 기초하여 자신만의 protocol을 성립하여야 한다.
참고문헌
○ 김동수·승익상·이국현·장성호 역(1997), 마취와 약물상호작용, 서울 : 고려의학
○ 김문실·변영순(1994), 최신 수술실환자간호, 수문사
○ 김영숙 외 8명(1986), 성인간호학(상권), 수문사
○ 윤혜상, 개정판 수술실환자간호, 청구문화사
○ G. Edward Morgan,Jr 외, Clinical Anesthesiology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