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들어가며
2. 휴게시간의 적용배제
3. 휴게시간 변경의 특례
4. 휴게시간의 변경 및 적용배제 구별
2. 휴게시간의 적용배제
3. 휴게시간 변경의 특례
4. 휴게시간의 변경 및 적용배제 구별
본문내용
및 적용배제 구별
■‘휴게시간의 변경’이라 함은‘휴게시간의 적용배제’와는 구별해야 한다.‘휴게시간의 변경’은 (ⅰ) 휴게시간을 전면적으로 인정하지 않는다거나, (ⅱ) 휴게시간이라고 볼 수 없을 정도의 매우 짧은 시간으로 휴게시간을 단축하는 경우 등과 같이‘휴게시간의 적용배제’와 동일시할 수 있는 정도로 휴게시간제도의 본질적인 내용을 의미없게 하는 것까지를 포함하지는 않는다.
■ 또한 휴게시간의 변경은 (ⅰ) 휴게시간의 배치를 근로시간의 도중에 하지 아니한다든지, (ⅱ) 휴게시간의 자유로운 이용에 예외를 인정한다든지, (ⅲ) 휴게시간을 휴게시간으로서 인정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기준 휴게시간보다 어느 정도 단축한다든지 하는 범위 내에서 휴게시간의 내용을 변경할 수 있다는 뜻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휴게시간의 변경’이라 함은‘휴게시간의 적용배제’와는 구별해야 한다.‘휴게시간의 변경’은 (ⅰ) 휴게시간을 전면적으로 인정하지 않는다거나, (ⅱ) 휴게시간이라고 볼 수 없을 정도의 매우 짧은 시간으로 휴게시간을 단축하는 경우 등과 같이‘휴게시간의 적용배제’와 동일시할 수 있는 정도로 휴게시간제도의 본질적인 내용을 의미없게 하는 것까지를 포함하지는 않는다.
■ 또한 휴게시간의 변경은 (ⅰ) 휴게시간의 배치를 근로시간의 도중에 하지 아니한다든지, (ⅱ) 휴게시간의 자유로운 이용에 예외를 인정한다든지, (ⅲ) 휴게시간을 휴게시간으로서 인정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기준 휴게시간보다 어느 정도 단축한다든지 하는 범위 내에서 휴게시간의 내용을 변경할 수 있다는 뜻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키워드
추천자료
근로기준법상 임금지급방법의 보호 (임금지급의 원칙)
[임금][임금제도][임금체계]임금과 임금제도 및 임금체계 심층 분석(임금 정의, 임금 의의, ...
근로기준법상 해고예고제도에 대하여
근로기준법상의 여성근로자보호의 내용과 문제점
위약예정의 금지와 관련한 근로기준법상 쟁점 검토
근로기준법상 균등대우 연구
근로기준법상 정리해고 요건으로써 경영상의 긴박한 필요성
근로기준법상 정리해고 요건으로써 해고회피노력 연구
근로기준법상 질병으로 인한 근로계약해지의 정당성 검토
근로기준법상 경업피지의무
근로기준법상 전출 관련 쟁점 검토
근로기준법상 휴일의 대체 및 휴일근로의 가산금 관련 판례 동향
근로기준법상 사용자 개념
근로기준법상의 근로자 인정을 위한 사용종속관계의 판단 기준 (노동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