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Celtic influence on OE ( 고대영어에 Celtic의 영향 )
2. Three Latin influence on OE ( 고대영어에 Latin어의 세가지 영향 )
3. Benedictine reform ( 베네딕트의 개혁 )
4. The Scandinavian invasion on the british island
(영국에 스칸디나비아인의 침략 )
5. Wedmore Treaty
6. The phenomena after the settlement of danes in English.
( 영국에 덴마크 인들의 정착 후 현상들 )
... 7..8..9..10..11..12..13..
14. Geoffreg Chaucer
이후 내용과 표와 인용 지도 첨부.
2. Three Latin influence on OE ( 고대영어에 Latin어의 세가지 영향 )
3. Benedictine reform ( 베네딕트의 개혁 )
4. The Scandinavian invasion on the british island
(영국에 스칸디나비아인의 침략 )
5. Wedmore Treaty
6. The phenomena after the settlement of danes in English.
( 영국에 덴마크 인들의 정착 후 현상들 )
... 7..8..9..10..11..12..13..
14. Geoffreg Chaucer
이후 내용과 표와 인용 지도 첨부.
본문내용
화가 크게 일어나는 시기에 영어는
그 지위를 회복하게 된다.
- 영국에서 프랑스어의 쇠퇴를 가져온 마지막 사건은 영국과 프랑스 사이에 100년도 넘게 계속 되었던
백년전쟁(1337-1453)이었다.
영국은 1066년 노르만 왕조의 성립 이후 프랑스 내부에 영토를 소유하였기 때문에 양국 사이에는 오랫
동안 분쟁이 계속되었다. 그러나 1328년 프랑스 카페왕조의 샤를 4세가 남자 후계자가 없이 사망하고
그의 4촌 형제인 필리프 6세가 왕위에 오르자, 이에 대하여 영국 왕 에드워드 3세는 그의 모친이 샤를 4
세의 누이라는 이유로 프랑스 왕위(王位)를 계승해야 한다고 주장하여, 양국간에 심각한 대립을 빚게
되었다. 결국 이러한 정치적인 이유와 그 배후에 감추어진 경제적 야심으로 말미암아 일어난 백년전쟁
은 영국군의 승리로 끝나려는 순간 하느님의 계시를 받은 잔다르크가 등장함으로써 전세를 뒤집어 결국
프랑스의 승리로 끝나고 말았다. 이 전쟁의 결과로 영국은 깔레(Calais)항을 제외한 대륙에 가지고 있던
모든 영국의 보유지(holdings)를 상실하였다.
일단 영국이 프랑스에 가진 소유지가 없게 되자, 영국인은 프랑스어를 배우고 사용할 중요한 실질적인
이유가 없어지게 되었다. 이러한 백년전쟁은 불어의 쇠퇴에 공헌한 원인가운데 하나로 생각되어질 수
있다.
● 1348 년 여름 발생해 1350년 초까지 계속되었던 흑사병(The Black Death)의 결과는 노동계급의 경제적
중요성을 증대시켰고, 그것과 함께 그들이 사용했던 영어의 중요성도 같이 뛰었다.
- 또 이 당시 또 하나의 중요한 집단이 일어난 것을 주목하게 되는데 그것은 장인과 상인 계급이다. 고을
사람들은 대부분 상업이나 제조업에 종사하였고 그들 상호간의 보호와 이득을 위하여 동업조합이나 협회
로 결속하였다. 사회적, 경제적 생활에 있어 이러한 변화는 특별히 인구의 영어사용에 혜택을 주었고 이런
변화가 크게 일어나는 시기에 영어의 최후승리를 이해할 수 있게 된다.
- William 의 후예인 John왕 (대헌장 - Magna Carta)이 1204년에 노르만디를 빼았기자 프랑스와 유대는
끊어졌고, 1337년에 시작된 백년전쟁으로 영국과 프랑스는 오랜 전투에 휘말렸으며, 1348년부터 3차례
영국은 흑사병으로 인구 30%가 사망하였다. 그후 프랑스어 사용도 종말을 보게 되었다. 이 시기에 일어
난 두 가지 중요한 사건으로 인해 프랑스어의 운명은 막을 내리게 되고 그 대신 영어가 재등장하는
전기가 되었다.
14. Geoffreg Chaucer
● Geoffrey Chaucer (1343-1400)
: 제프리 초서가 살던 시기인 14세기 중세의 사상은 실제 사회에서 일어나는 현실을 따라가지 못했다
고 한다. 그리고 중세 영국은 귀족계급과 일반 평민 계층, 둘 사이의 어떤 계급도 인식하지 못했고,
그 신분은 태어나면서 동시에 결정이 되어버리는 것이었으며 신분 상승의 기회는 거의 없었다고
봐야했다.
그 와중에 중산계급층은 거대하게 증가하고 있었으며, 이 계층이 지속적으로 귀족계층에 편입되고 있
었다. 그리고 이 중산계급층이 바로 제프리 초서가 속해있던 계층이었다.
초서는 와인 상인의 아들로 태어났으며, 런던의 실제 현실적인 분위기 속에서 자라났다. 와인 판매상
의 아들로서 집안 형편이 넉넉했고, 아버지의 교육적 열의에 많은 혜택을 받으면서 자랐지만 또 한편
으로서는 서민층의 모습도 직접 보고 경험했다.
10대 초반에 대 귀족의 급사로서 보내지게 되었는데, 그 이후 남은 여생을 대귀족, 왕족들 사이에서
보내게 되면서 인생의 일대 전환점을 맞게 된다. 이후에는 초서의 아들과 손녀가 각각 귀족과 혼인을
하게 됨으로써 이론적으로서는 불가능해 보였던 귀족계층과 평민 계층 사이에의 다리가 놓여지게
되는 것이다.
초서는 비록 급사의 신분으로 있었지만 단순히 일반적인 비천한 신분에 그치지 않고, 귀족들의, 심지
어 때론 국가에 관련된 중요 업무 등을 수행해 주면서 인정받고, 동시에 부와 명성을 누리게 된다.
이런 일들을 하던 초서는 사실 아주 바쁜 일상을 살았지만 그는 근면한 시 작가였다. 하지만 불행
하게도 거의 모든 그의 시들이 정확한 날짜가 붙여지지 않았고, 심지어 일부는 보존조차 되지 않았
다. 아마 그의 최초의 작품은 13세기 프랑스 시의 번역시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동시에 그
작품이 초서의 작품 활동에 심오한 영향을 끼치기도 한다. 그 시에 포함되어 있던 여러가지 요소들의
초서의 다양한 취향 속에 녹아들어 있는 것이다.
초기 초서의 시 작품의 모델은 프랑스로부터 영향을 받은 것이지만 사실상 그의 모든 작품에는 라틴
작품들에 대한 지식이 기본 바탕으로 깔려있으며 라틴 작가들 중에서도 6세기의 보에티우스는 초서
가 가장 좋아하던 작가였다.
제프리 초서의 1372년의 이탤리로의 여행은 그의 문학적 발전에 획기적인 변화를 가져다준다. 그
전까지는 초서의 작품에 영향을 준 것은 프랑스와 라틴 문학이 거의 전부였으나, 초서로 하여금
단테, 페트라치, 보카치오 등의 작품에 몰두하도록 만든 계기가 바로 이탤리로의 여행이었다.
초서가 죽기 전까지 그의 주된 문학적 관심사가 된 켄터베리 테일스는 1386년 부터 집필되기 시작
하였다. 초서의 문학적 경향을 살펴볼 때 1372년까지는 프랑스 문학의 영향을 받은 시기, 1372년
부터 1385년까지는 이탤리 문학의 영향으로 글을 썼던 시기였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1386년부터는, 그러니까 초서가 켄터베리 테일스를 쓰기 시작한 시점부터를 초서의 영국문학
의 시기라고 부를 수 있는 것이다.
영국문학의 시기라고 부른다고 해서 그가 이전에 영향을 받았던 프랑스, 라틴 문학들과 영국문학을
같이 볼 수는 없다. 왜냐하면 그 당시의 영국 문학에서는 초서가 영향을 받고 배울 만한 것들이 거의
없었기 때문이다. 어쩌면 캔터베리 이야기 속에 숨어있는 수많은 이야기들과 사상, 유머들이 현재
까지 제프리 초서라는 작가의 최후의 대작으로 남아서 오히려 그가 후세 영문학에 많은 영향을 끼친
존재로 자리매김 했다는 뜻으로 받아들여도 괜찮을 듯 하다.
그 지위를 회복하게 된다.
- 영국에서 프랑스어의 쇠퇴를 가져온 마지막 사건은 영국과 프랑스 사이에 100년도 넘게 계속 되었던
백년전쟁(1337-1453)이었다.
영국은 1066년 노르만 왕조의 성립 이후 프랑스 내부에 영토를 소유하였기 때문에 양국 사이에는 오랫
동안 분쟁이 계속되었다. 그러나 1328년 프랑스 카페왕조의 샤를 4세가 남자 후계자가 없이 사망하고
그의 4촌 형제인 필리프 6세가 왕위에 오르자, 이에 대하여 영국 왕 에드워드 3세는 그의 모친이 샤를 4
세의 누이라는 이유로 프랑스 왕위(王位)를 계승해야 한다고 주장하여, 양국간에 심각한 대립을 빚게
되었다. 결국 이러한 정치적인 이유와 그 배후에 감추어진 경제적 야심으로 말미암아 일어난 백년전쟁
은 영국군의 승리로 끝나려는 순간 하느님의 계시를 받은 잔다르크가 등장함으로써 전세를 뒤집어 결국
프랑스의 승리로 끝나고 말았다. 이 전쟁의 결과로 영국은 깔레(Calais)항을 제외한 대륙에 가지고 있던
모든 영국의 보유지(holdings)를 상실하였다.
일단 영국이 프랑스에 가진 소유지가 없게 되자, 영국인은 프랑스어를 배우고 사용할 중요한 실질적인
이유가 없어지게 되었다. 이러한 백년전쟁은 불어의 쇠퇴에 공헌한 원인가운데 하나로 생각되어질 수
있다.
● 1348 년 여름 발생해 1350년 초까지 계속되었던 흑사병(The Black Death)의 결과는 노동계급의 경제적
중요성을 증대시켰고, 그것과 함께 그들이 사용했던 영어의 중요성도 같이 뛰었다.
- 또 이 당시 또 하나의 중요한 집단이 일어난 것을 주목하게 되는데 그것은 장인과 상인 계급이다. 고을
사람들은 대부분 상업이나 제조업에 종사하였고 그들 상호간의 보호와 이득을 위하여 동업조합이나 협회
로 결속하였다. 사회적, 경제적 생활에 있어 이러한 변화는 특별히 인구의 영어사용에 혜택을 주었고 이런
변화가 크게 일어나는 시기에 영어의 최후승리를 이해할 수 있게 된다.
- William 의 후예인 John왕 (대헌장 - Magna Carta)이 1204년에 노르만디를 빼았기자 프랑스와 유대는
끊어졌고, 1337년에 시작된 백년전쟁으로 영국과 프랑스는 오랜 전투에 휘말렸으며, 1348년부터 3차례
영국은 흑사병으로 인구 30%가 사망하였다. 그후 프랑스어 사용도 종말을 보게 되었다. 이 시기에 일어
난 두 가지 중요한 사건으로 인해 프랑스어의 운명은 막을 내리게 되고 그 대신 영어가 재등장하는
전기가 되었다.
14. Geoffreg Chaucer
● Geoffrey Chaucer (1343-1400)
: 제프리 초서가 살던 시기인 14세기 중세의 사상은 실제 사회에서 일어나는 현실을 따라가지 못했다
고 한다. 그리고 중세 영국은 귀족계급과 일반 평민 계층, 둘 사이의 어떤 계급도 인식하지 못했고,
그 신분은 태어나면서 동시에 결정이 되어버리는 것이었으며 신분 상승의 기회는 거의 없었다고
봐야했다.
그 와중에 중산계급층은 거대하게 증가하고 있었으며, 이 계층이 지속적으로 귀족계층에 편입되고 있
었다. 그리고 이 중산계급층이 바로 제프리 초서가 속해있던 계층이었다.
초서는 와인 상인의 아들로 태어났으며, 런던의 실제 현실적인 분위기 속에서 자라났다. 와인 판매상
의 아들로서 집안 형편이 넉넉했고, 아버지의 교육적 열의에 많은 혜택을 받으면서 자랐지만 또 한편
으로서는 서민층의 모습도 직접 보고 경험했다.
10대 초반에 대 귀족의 급사로서 보내지게 되었는데, 그 이후 남은 여생을 대귀족, 왕족들 사이에서
보내게 되면서 인생의 일대 전환점을 맞게 된다. 이후에는 초서의 아들과 손녀가 각각 귀족과 혼인을
하게 됨으로써 이론적으로서는 불가능해 보였던 귀족계층과 평민 계층 사이에의 다리가 놓여지게
되는 것이다.
초서는 비록 급사의 신분으로 있었지만 단순히 일반적인 비천한 신분에 그치지 않고, 귀족들의, 심지
어 때론 국가에 관련된 중요 업무 등을 수행해 주면서 인정받고, 동시에 부와 명성을 누리게 된다.
이런 일들을 하던 초서는 사실 아주 바쁜 일상을 살았지만 그는 근면한 시 작가였다. 하지만 불행
하게도 거의 모든 그의 시들이 정확한 날짜가 붙여지지 않았고, 심지어 일부는 보존조차 되지 않았
다. 아마 그의 최초의 작품은 13세기 프랑스 시의 번역시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동시에 그
작품이 초서의 작품 활동에 심오한 영향을 끼치기도 한다. 그 시에 포함되어 있던 여러가지 요소들의
초서의 다양한 취향 속에 녹아들어 있는 것이다.
초기 초서의 시 작품의 모델은 프랑스로부터 영향을 받은 것이지만 사실상 그의 모든 작품에는 라틴
작품들에 대한 지식이 기본 바탕으로 깔려있으며 라틴 작가들 중에서도 6세기의 보에티우스는 초서
가 가장 좋아하던 작가였다.
제프리 초서의 1372년의 이탤리로의 여행은 그의 문학적 발전에 획기적인 변화를 가져다준다. 그
전까지는 초서의 작품에 영향을 준 것은 프랑스와 라틴 문학이 거의 전부였으나, 초서로 하여금
단테, 페트라치, 보카치오 등의 작품에 몰두하도록 만든 계기가 바로 이탤리로의 여행이었다.
초서가 죽기 전까지 그의 주된 문학적 관심사가 된 켄터베리 테일스는 1386년 부터 집필되기 시작
하였다. 초서의 문학적 경향을 살펴볼 때 1372년까지는 프랑스 문학의 영향을 받은 시기, 1372년
부터 1385년까지는 이탤리 문학의 영향으로 글을 썼던 시기였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1386년부터는, 그러니까 초서가 켄터베리 테일스를 쓰기 시작한 시점부터를 초서의 영국문학
의 시기라고 부를 수 있는 것이다.
영국문학의 시기라고 부른다고 해서 그가 이전에 영향을 받았던 프랑스, 라틴 문학들과 영국문학을
같이 볼 수는 없다. 왜냐하면 그 당시의 영국 문학에서는 초서가 영향을 받고 배울 만한 것들이 거의
없었기 때문이다. 어쩌면 캔터베리 이야기 속에 숨어있는 수많은 이야기들과 사상, 유머들이 현재
까지 제프리 초서라는 작가의 최후의 대작으로 남아서 오히려 그가 후세 영문학에 많은 영향을 끼친
존재로 자리매김 했다는 뜻으로 받아들여도 괜찮을 듯 하다.
추천자료
한국 가족 문화의 변천사
불교 수용과 사회의 변천
장예모 감독의 영화 변천사와, 영화 '영웅' 과 '반지의 제왕 비교
치료레크레이션의 정의, 변천사, 우리나라의 현황
[서양복식] 남성복의 변천
시대의 흐름에 따른 경제학의 변천
[복식]한복의 변천과정 및 서양 옷과 한복의 차이점
시대적 흐름에 따른 경제학의 변천
20세기 패션문화 -사회적 변천사를 중심으로-
교직의 성격과 교직관의 역사적변천과정
이상행동과 정신장애 분류의 역사적 변천
한반도에서 한자의 수용과 차자표기의 변천
[서양 식생활문화의 변천과정] 서양요리의 역사, 서양요리 발전과정
우리의 김치 [변천사, 종류, 재료, 김치 만드는 법, 김치 저장, 특성, 영양, 파오차이, 기무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