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심장의 생리
1. 수축과 이완
2. 심박수
3. 심박출량의 조절
4. 심장의 혈관
5. 심전도(ECG)
6. 심장의 신경
1. 수축과 이완
2. 심박수
3. 심박출량의 조절
4. 심장의 혈관
5. 심전도(ECG)
6. 심장의 신경
본문내용
(P-R interval), Q-T간격(Q-T interval) 및 ST분절(ST segment) 등을 측정한다.
6. 심장의 신경
심장에는 다른 내장과 마찬가지로 자율신경 즉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이 분포되어 있다. 심장에 분포되어 있는 두 신경을 심장신경이라 한다. 심장신경을 주로 자극전도계(특히 동방결절)에 분포되어 있다. 교감신경은 박동수의 증가, 심장수축의 증가, 자극전도계의 전도속도 촉진 등 심장기능의 촉진을 담당하고 있다. 부교감신경은 그 반대의 작용을 하여 박동수의 감소, 심장 수축력의 저하, 자극전도계의 전도속도 지연 등 심장기능의 억제를 담당한다. 따라서 부교감신경의 활동이 너무 강하면 박동수가 감소하고 더욱 강해지면 일시적인 박동정지가 일어날 수 있다. 심장신경의 중추는 연수에 있다.
6. 심장의 신경
심장에는 다른 내장과 마찬가지로 자율신경 즉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이 분포되어 있다. 심장에 분포되어 있는 두 신경을 심장신경이라 한다. 심장신경을 주로 자극전도계(특히 동방결절)에 분포되어 있다. 교감신경은 박동수의 증가, 심장수축의 증가, 자극전도계의 전도속도 촉진 등 심장기능의 촉진을 담당하고 있다. 부교감신경은 그 반대의 작용을 하여 박동수의 감소, 심장 수축력의 저하, 자극전도계의 전도속도 지연 등 심장기능의 억제를 담당한다. 따라서 부교감신경의 활동이 너무 강하면 박동수가 감소하고 더욱 강해지면 일시적인 박동정지가 일어날 수 있다. 심장신경의 중추는 연수에 있다.
추천자료
소아과 심장질환
운동생리학 인체해부학 근육계
운동처방의 중요성 및 질환별 운동처방 - 원동처방의 필요성, 운동처방 : 심장질환, 요통, 고...
[노인][노화][노인 특성][노화 원인][생리적 변화][노인인구][노화방지에 좋은 음식]노인의 ...
[간호사례][심장수술환자][심근경색증환자][쇼크환자][안수술환자][위암수술환자][신장장애환...
[흡연][질환][운동][성기능][비만][흡연의 병태생리][흡연의 피해]흡연의 영향, 흡연의 요인,...
생리학
생리학(주요조직)
생리학 (9장~12장)
동물생리과제 술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
심장내과 흉부외과 주요 간호
[스트레스에 대한 반응과 대처방법] 스트레스에 대한 생리적 반응 및 심리적 반응, 스트레스 ...
울혈성 심장질환 (congestive heart disease) 케이스 스터디 강력추천자료입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