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한대이후의 문자학연구
2. 한자의 기원
3. 중국문자의 발전 (한자 서체의 발전사)
4. 육서와 예(갑골문 그림은 빠져있음)
2. 한자의 기원
3. 중국문자의 발전 (한자 서체의 발전사)
4. 육서와 예(갑골문 그림은 빠져있음)
본문내용
의 일치하나 전주와 가차는 문자 창제 방법으로 보는 견해와 글자의 운용방법으로 보는 견해가 차이를 보이고 있다.
상형은 한 물체의 형상을 상세하게 혹은 상징적으로 그려낸 것으로 이렇게 만들어진 글자는 상형자 이다. 따라서 한번 보아도 그 물체가 무엇인가 알 수 있다.
예로는 눈 목자가 있다. 눈의 모양을 그려 눈을 나타냈으며 가로로 그렸던 눈을
점차 세워저 目자를 이루었다
다른 예로는 高자가 있다. 언덕 위에 높이 지어 놓은 큰 집 모양이고 높은 집 으로 높다는 말을 나타냈다.
지사는 추상적인 개념을 부호로 나타내거나 독립된 자에다 추상적인 부호를 첨가해 이룬 자이다. 비록 형체를 그렸으나 구체적 사물이 아니라 추상적인 개념을 표현했다는 점에 있어서 상형과 다르다.
예로는 上과 下가 있다. 표준선 아래와 위에 짧은 획을 그어 각각 위와 아래라는 개념을 나타냈다.
다른 예로는 亦자가 있다. 사람의 겨드랑이 부위에 점 둘을 찍어 '겨드랑이'를 나 타냈다. 大 양 옆의 두 점은 겨드랑이라는 부위를 표현한다.
회의는 둘이나 둘이상의 기존 자를 합치되 각 자는 자의 사이에 일정한 의미와 연관을 이루면서 새로운 의미를 탄생시키는 방법이다.
예로는 宗자가 있다. 집에 귀신을 모셔둔 모양으로 '종묘'를 나타냈다. 주로 남성 조상을 모신 곳이다.
다른 예로는 明자가 있다. 해와 달을 합쳐 해도 달도 아닌 '밝다'라는 새로운 의미 의 글자를 만들었다.
가차는 새로운 언어가 생겼을 때 문자를 만들지 않고 이미 있는 글자 중 음이 비슷한 글자를 빌어 쓰는 방법이다.
예로는 東이 있다. 물건을 담는 자루모양이다. '자루'의 음과 '동쪽'이라는 음이 비 슷해 '동쪽'으로 가차하여 썼다.
다른 예로는 來자가 있다. 보리의 이삭, 줄기, 뿌리 모양인데 음에 의해 '오다'로 가차했고 보리는 다시 麥자를 만들어 썼다
인신은 문자를 새로 만들지 않고 어떤 문자의 기본적인 의미와 관계가 있는 뜻을 끌어와 표현해 내는 방법이다. 동일한 글자를 사용하되 연관된 의미로 확충되어 다른 뜻을 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음만을 끌어온 가차와 함께 문자 활용의 좋은 방법이었다.
예로는 生이 있다. 돋아나는 새싹의 모양으로 풀, 새싹에서 낳다로 끓어다 썼다. 풀이 돋아남과 같이 새 생명이 탄생하기 때문이다.
다른 예로는 向자가 있다. 벽에 뚫린 창문 오양이다. 창문에서 방향으로 인신했다. 창문은 거의 일정한 방향에 뚫어서 방향을 알려주었기 때문이다.
상형은 한 물체의 형상을 상세하게 혹은 상징적으로 그려낸 것으로 이렇게 만들어진 글자는 상형자 이다. 따라서 한번 보아도 그 물체가 무엇인가 알 수 있다.
예로는 눈 목자가 있다. 눈의 모양을 그려 눈을 나타냈으며 가로로 그렸던 눈을
점차 세워저 目자를 이루었다
다른 예로는 高자가 있다. 언덕 위에 높이 지어 놓은 큰 집 모양이고 높은 집 으로 높다는 말을 나타냈다.
지사는 추상적인 개념을 부호로 나타내거나 독립된 자에다 추상적인 부호를 첨가해 이룬 자이다. 비록 형체를 그렸으나 구체적 사물이 아니라 추상적인 개념을 표현했다는 점에 있어서 상형과 다르다.
예로는 上과 下가 있다. 표준선 아래와 위에 짧은 획을 그어 각각 위와 아래라는 개념을 나타냈다.
다른 예로는 亦자가 있다. 사람의 겨드랑이 부위에 점 둘을 찍어 '겨드랑이'를 나 타냈다. 大 양 옆의 두 점은 겨드랑이라는 부위를 표현한다.
회의는 둘이나 둘이상의 기존 자를 합치되 각 자는 자의 사이에 일정한 의미와 연관을 이루면서 새로운 의미를 탄생시키는 방법이다.
예로는 宗자가 있다. 집에 귀신을 모셔둔 모양으로 '종묘'를 나타냈다. 주로 남성 조상을 모신 곳이다.
다른 예로는 明자가 있다. 해와 달을 합쳐 해도 달도 아닌 '밝다'라는 새로운 의미 의 글자를 만들었다.
가차는 새로운 언어가 생겼을 때 문자를 만들지 않고 이미 있는 글자 중 음이 비슷한 글자를 빌어 쓰는 방법이다.
예로는 東이 있다. 물건을 담는 자루모양이다. '자루'의 음과 '동쪽'이라는 음이 비 슷해 '동쪽'으로 가차하여 썼다.
다른 예로는 來자가 있다. 보리의 이삭, 줄기, 뿌리 모양인데 음에 의해 '오다'로 가차했고 보리는 다시 麥자를 만들어 썼다
인신은 문자를 새로 만들지 않고 어떤 문자의 기본적인 의미와 관계가 있는 뜻을 끌어와 표현해 내는 방법이다. 동일한 글자를 사용하되 연관된 의미로 확충되어 다른 뜻을 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음만을 끌어온 가차와 함께 문자 활용의 좋은 방법이었다.
예로는 生이 있다. 돋아나는 새싹의 모양으로 풀, 새싹에서 낳다로 끓어다 썼다. 풀이 돋아남과 같이 새 생명이 탄생하기 때문이다.
다른 예로는 向자가 있다. 벽에 뚫린 창문 오양이다. 창문에서 방향으로 인신했다. 창문은 거의 일정한 방향에 뚫어서 방향을 알려주었기 때문이다.
추천자료
중국의 사회체육 실태에 관한 고찰
중국의 정치 경제
냉전의 기원 - 전통주의와 수정주의
중국 비지니스매너 (국제매너와 문화)
[중국][경제개혁][중국 경제개혁][모택동 사상]중국 경제개혁과 모택동 사상(중국 경제개혁의...
[현대사회와 심리학] 동조, 순종, 복종
중국행정개혁
중국인의생활과문화
[중국교육][중국교육 교육개혁][중국교육 문제점][중국교육 개선과제]중국교육의 현황, 중국...
중국과 티베트의 대립 상황-자유의 외침, 티베트
중국문학 당대 시
[고전소설]고전소설의 성격, 고전소설의 소재, 고전소설의 구성, 조선후기 고전소설 현씨양웅...
현대 중국의 이해 - 쓰촨성 [四川省사천성, Sichuan]의 음식에 대해서
중국 일본관계-중일역사문제(역사인식, 야스쿠니신사 참배),영토분쟁(센카쿠열도),대만문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