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들어가며
Ⅱ. 티베트족에 대한 이해
Ⅲ. 티베트족과 중국 정부의 대립
Ⅳ. 티베트의 독립투쟁
Ⅴ. 마치며
<<참고문헌>>
Ⅱ. 티베트족에 대한 이해
Ⅲ. 티베트족과 중국 정부의 대립
Ⅳ. 티베트의 독립투쟁
Ⅴ. 마치며
<<참고문헌>>
본문내용
그리고 라싸의 시민들에게 절제하도록 요구할 시간을 벌기 위해 장군의 모든 편지들에 답장을 했다. 당시 나의 가장 시급한 임무는 비무장한 나의 국민들과 중국군 사이의 피할 수 없는 충돌을 막는 것이었다.” 톈진 갸초. <달라이 라마 자서전-티벳, 나의 조국이여>. 2003
이는 14대 달라이 라마 톈진 갸초가 자신의 자서전에서 당시의 상황을 쓴 글이다. 그러나 달라이 라마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라싸에서 전투가 일어났다. 이 날 하루 동안 시위에 참석한 1만 5천 명의 티베트족들이 사살되었다. 당시 티베트족들의 민중봉기를 진압한 과정에서 중국은 6천여 개의 불교사원을 파괴했고 12만 명의 티베트인들을 학살했다. 전면적인 대치와 유혈사태를 막기 위한 모든 노력이 실패하고 중국군의 진압을 최소화하려는 노력이 더 이상 가능하지 않자, 달라이 라마는 그의 국민을 보호하는데 국제적 지원을 얻기 위해 망명이란 불가피한 결심을 하고 인도를 향하게 하게 된다.
(2) 티베트의 망명정부 - 인도 다람살라
인도 북부 히말라야 기슭 다람살라에는 ‘작은 라싸’로 일컬어지는 티베트 망명 정부가 위치하고 있다. 현재 다람살라에는 망명한 10만여 명의 티베트인들이 살고 있으며 3만여 명의 티베트족들이 네팔과 부탄의 티베트 정착촌에 거주하고 있다. 그러나 다람살라에 망명정부가 수립된 이후로 지금까지 죽음을 무릅쓴 티베트족들의 망명이 이어지고 있다. 이들 중에는 중국 땅에서는 티베트의 교육을 받을 수 없기 때문에 부모들이 위험을 무릅쓰고 어린 자식을 다람살라로 보낸 경우가 많다. 현재 다람살라의 티베트 망명정부는 티베트 언어, 역사, 종교, 문화 전반에 걸친 티베트 교육 체계가 수립되어 있기 때문이다.
달라이 라마는 티베트 현지의 전통문화가 중국인들에 의해 사라져가고 있다고 판단하고 티베트 문화를 보존하기 위해 1959년에 티베트 공연예술기관을 설립했고 한편으로는 중앙고등티베트학연구소를 설립해 인도에 있는 티베트인들을 위한 대학으로 만들었다. 또한 티베트인들의 생활의 핵심인 티베트 불교의 방대한 자료를 보존하기 위해 200여 개 이상의 사원을 건립했다.
티베트 망명 정부에는 14대 달라이 라마를 중심으로 종교, 문화, 내무, 재정, 교육, 방위, 보건, 정보, 국제관계 등을 관할하는 행정부와 사법부로서 티베트 최고사법위원회가 있다. 또한 입법부로서 티베트 국민대표의회는 지역과 종파를 대표하는 46명의 위원들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뉴델리, 뉴욕, 런던, 파리, 제네바, 부다페스트, 모스크바, 카트만두, 캔버라, 도쿄, 타이파이 등에 티베트 망명정부 대표사무소를 운영하고 있다. 달라이라마 방한준비위원회 홈페이지. http://www.tibetfriends.org
(3) UN의 티베트 인권선언 인정
1950년 중국이 티베트를 침공하자 14대 달라이 라마 톈진 갸초는 16세의 나이로 14대 달라이 라마에 즉위하고 UN에 티베트문제를 호소했다. 그러나 엘살바도르만이 UN 총회에 티베트 문제를 의제로 상정하는데 지지했고 나머지 국가들은 받아들이지 않아 UN 총회에서 다뤄지지 못했다.
그렇지만 끊임없는 그의 노력으로 인해 1959년에 제 14차 UN 총회에 보내는 성명을 발표한 것이 받아들여져서 1961년 10월, UN은 전 가맹국에 1959년 티베트 인권선언의 이행을 요청한다.
(4) 11대 판첸 라마의 납치
달라이 라마가 종교적, 지도적 지도자라면, 판첸 라마는 종교적인 방면에서 티베트족을 이끌어나가는 인물이다. 달라이 라마와 판첸 라마의 관계가 병렬적인지 수평적인지 하는 것에 관해서는 의견이 엇갈려 있다.1995년 달라이 라마 가 6살의 겐둔 최끼 니마를 11대 판첸 라마로 인정한 것을 중국 정부가 비난하며 11대 판첸 라마를 납치해간 사건이 있었다. 그 후에 중국 정부 는 그들이 지명한 인물을 판첸 라마로 등극시켰는데, 그 인물은 티베트 족이 아닌 한족이었다. 납치된 판첸 라마의 행방은 묘연하기만 하다.
Ⅴ. 마치며
티베트족과 중국 정부는 지금까지도 끊임없이 대립하고 있다. 최근 달라이 라마는 기존의 입장에서 한 발 물러서서 티베트의 독립이 아닌 홍콩, 마카오처럼 ‘일국양제(一國兩制)식 자치’를 요청하고 있다. 이는 그만큼 많은 티베트족들이 중국 정부의 폭력과 억압에 눌려있는 상황에서 벗어나길 희망하기 때문일 것이다. 그러나 중국은 이러한 달라이 라마의 제안을 받아들이지 않을 뿐 아니라 여전히 협상테이블에 나오지 않고 있다. 뿐만 아니라 달라이 라마의 티베트 자치 요구 및 독립 움직임 또한 포기할 것을 촉구했다. 그렇지만 달라이 라마는 적대관계에 있는 중국마저도 사랑한다고 했고, “우리의 적이 가장 훌륭한 우리의 친구이다. 그는 우리에게 필요한 내면의 힘은 물론, 다른 사람에 대한 관용과 존경을 기르도록 한다. 이런 사람에게 화를 내지 말고 존경하고 감사해야 한다.” 톈진 갸초. <달라이 라마 자서전-티벳, 나의 조국이여>. 2003
라고 하며 적이란 인내심을 실천할 수 있는 기회를 줄 가장 큰 스승이라고 밝히고 있다. 중국 통치에 비폭력으로 항거했다는 공로로 1989년 노벨 평화상을 받은 달라이 라마는 중국의 이 같은 경고에도 불구하고 외국을 순방하며 티베트 독립의 정당성을 계속해서 설파할 것으로 보인다.
현재까지도 계속되어지는 양측의 대립을 보면 너무 서로의 정치적 이해나 민족적 정서에 사로잡혀 있는 것이 아닌가 싶다. 사실 ‘티베트족은 중국인이가’, ‘서장장족차치구(西藏藏族自治區)를 중화인민공화국(中華人民共和國)에서 독립시켜야 하는가’의 문제는 그 누구도 쉽게 결정짓지 못할 문제일 것이다. 이 두 문제의 결단은 결국 중국 정부 측에게 달려 있다. 우리는 다만 양측의 대립의 실타래가 평화롭게 풀리기를 지켜봐야할 것이다.
<<참고문헌>>
1. 중국 국무원, 중국해외무역협회. <중국 상식 문화 (찬란한 중화민족의 문화를 읽는다)>. 2003.
2. 김규현. <티베트 역사산책>. 2003
3. 김한규, <티베트와 중국>. 2000.
4. 톈진 갸초. <달라이 라마 자서전-티벳, 나의 조국이여>. 2003
5. 달라이라마 방한준비위원회 홈페이지. http://www.tibetfriends.org
이는 14대 달라이 라마 톈진 갸초가 자신의 자서전에서 당시의 상황을 쓴 글이다. 그러나 달라이 라마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라싸에서 전투가 일어났다. 이 날 하루 동안 시위에 참석한 1만 5천 명의 티베트족들이 사살되었다. 당시 티베트족들의 민중봉기를 진압한 과정에서 중국은 6천여 개의 불교사원을 파괴했고 12만 명의 티베트인들을 학살했다. 전면적인 대치와 유혈사태를 막기 위한 모든 노력이 실패하고 중국군의 진압을 최소화하려는 노력이 더 이상 가능하지 않자, 달라이 라마는 그의 국민을 보호하는데 국제적 지원을 얻기 위해 망명이란 불가피한 결심을 하고 인도를 향하게 하게 된다.
(2) 티베트의 망명정부 - 인도 다람살라
인도 북부 히말라야 기슭 다람살라에는 ‘작은 라싸’로 일컬어지는 티베트 망명 정부가 위치하고 있다. 현재 다람살라에는 망명한 10만여 명의 티베트인들이 살고 있으며 3만여 명의 티베트족들이 네팔과 부탄의 티베트 정착촌에 거주하고 있다. 그러나 다람살라에 망명정부가 수립된 이후로 지금까지 죽음을 무릅쓴 티베트족들의 망명이 이어지고 있다. 이들 중에는 중국 땅에서는 티베트의 교육을 받을 수 없기 때문에 부모들이 위험을 무릅쓰고 어린 자식을 다람살라로 보낸 경우가 많다. 현재 다람살라의 티베트 망명정부는 티베트 언어, 역사, 종교, 문화 전반에 걸친 티베트 교육 체계가 수립되어 있기 때문이다.
달라이 라마는 티베트 현지의 전통문화가 중국인들에 의해 사라져가고 있다고 판단하고 티베트 문화를 보존하기 위해 1959년에 티베트 공연예술기관을 설립했고 한편으로는 중앙고등티베트학연구소를 설립해 인도에 있는 티베트인들을 위한 대학으로 만들었다. 또한 티베트인들의 생활의 핵심인 티베트 불교의 방대한 자료를 보존하기 위해 200여 개 이상의 사원을 건립했다.
티베트 망명 정부에는 14대 달라이 라마를 중심으로 종교, 문화, 내무, 재정, 교육, 방위, 보건, 정보, 국제관계 등을 관할하는 행정부와 사법부로서 티베트 최고사법위원회가 있다. 또한 입법부로서 티베트 국민대표의회는 지역과 종파를 대표하는 46명의 위원들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뉴델리, 뉴욕, 런던, 파리, 제네바, 부다페스트, 모스크바, 카트만두, 캔버라, 도쿄, 타이파이 등에 티베트 망명정부 대표사무소를 운영하고 있다. 달라이라마 방한준비위원회 홈페이지. http://www.tibetfriends.org
(3) UN의 티베트 인권선언 인정
1950년 중국이 티베트를 침공하자 14대 달라이 라마 톈진 갸초는 16세의 나이로 14대 달라이 라마에 즉위하고 UN에 티베트문제를 호소했다. 그러나 엘살바도르만이 UN 총회에 티베트 문제를 의제로 상정하는데 지지했고 나머지 국가들은 받아들이지 않아 UN 총회에서 다뤄지지 못했다.
그렇지만 끊임없는 그의 노력으로 인해 1959년에 제 14차 UN 총회에 보내는 성명을 발표한 것이 받아들여져서 1961년 10월, UN은 전 가맹국에 1959년 티베트 인권선언의 이행을 요청한다.
(4) 11대 판첸 라마의 납치
달라이 라마가 종교적, 지도적 지도자라면, 판첸 라마는 종교적인 방면에서 티베트족을 이끌어나가는 인물이다. 달라이 라마와 판첸 라마의 관계가 병렬적인지 수평적인지 하는 것에 관해서는 의견이 엇갈려 있다.1995년 달라이 라마 가 6살의 겐둔 최끼 니마를 11대 판첸 라마로 인정한 것을 중국 정부가 비난하며 11대 판첸 라마를 납치해간 사건이 있었다. 그 후에 중국 정부 는 그들이 지명한 인물을 판첸 라마로 등극시켰는데, 그 인물은 티베트 족이 아닌 한족이었다. 납치된 판첸 라마의 행방은 묘연하기만 하다.
Ⅴ. 마치며
티베트족과 중국 정부는 지금까지도 끊임없이 대립하고 있다. 최근 달라이 라마는 기존의 입장에서 한 발 물러서서 티베트의 독립이 아닌 홍콩, 마카오처럼 ‘일국양제(一國兩制)식 자치’를 요청하고 있다. 이는 그만큼 많은 티베트족들이 중국 정부의 폭력과 억압에 눌려있는 상황에서 벗어나길 희망하기 때문일 것이다. 그러나 중국은 이러한 달라이 라마의 제안을 받아들이지 않을 뿐 아니라 여전히 협상테이블에 나오지 않고 있다. 뿐만 아니라 달라이 라마의 티베트 자치 요구 및 독립 움직임 또한 포기할 것을 촉구했다. 그렇지만 달라이 라마는 적대관계에 있는 중국마저도 사랑한다고 했고, “우리의 적이 가장 훌륭한 우리의 친구이다. 그는 우리에게 필요한 내면의 힘은 물론, 다른 사람에 대한 관용과 존경을 기르도록 한다. 이런 사람에게 화를 내지 말고 존경하고 감사해야 한다.” 톈진 갸초. <달라이 라마 자서전-티벳, 나의 조국이여>. 2003
라고 하며 적이란 인내심을 실천할 수 있는 기회를 줄 가장 큰 스승이라고 밝히고 있다. 중국 통치에 비폭력으로 항거했다는 공로로 1989년 노벨 평화상을 받은 달라이 라마는 중국의 이 같은 경고에도 불구하고 외국을 순방하며 티베트 독립의 정당성을 계속해서 설파할 것으로 보인다.
현재까지도 계속되어지는 양측의 대립을 보면 너무 서로의 정치적 이해나 민족적 정서에 사로잡혀 있는 것이 아닌가 싶다. 사실 ‘티베트족은 중국인이가’, ‘서장장족차치구(西藏藏族自治區)를 중화인민공화국(中華人民共和國)에서 독립시켜야 하는가’의 문제는 그 누구도 쉽게 결정짓지 못할 문제일 것이다. 이 두 문제의 결단은 결국 중국 정부 측에게 달려 있다. 우리는 다만 양측의 대립의 실타래가 평화롭게 풀리기를 지켜봐야할 것이다.
<<참고문헌>>
1. 중국 국무원, 중국해외무역협회. <중국 상식 문화 (찬란한 중화민족의 문화를 읽는다)>. 2003.
2. 김규현. <티베트 역사산책>. 2003
3. 김한규, <티베트와 중국>. 2000.
4. 톈진 갸초. <달라이 라마 자서전-티벳, 나의 조국이여>. 2003
5. 달라이라마 방한준비위원회 홈페이지. http://www.tibetfriends.org
추천자료
주택가격 안정과 지역균형발전을 위한 기업도시 개발 방향
냉전의 기원에 대한 전통주의, 수정주의, 탈수정주의적 관점에서의 논의와 냉전종식의 요인 ...
근대 서양 철학자의 이해와 비판
문화교류의 실재 : 축구를 중심으로
[미국외교정책][외교정책][미국외교][대외정책]미국 외교정책의 이념, 미국 외교정책의 특성,...
제2차세계대전과 미소관계
중화인민공화국 회사법(中華人民共和國公司法)-개정된 법임
향기로 사로잡은 차 한 잔... 홍차; Black Tea
[공화국, 스페인, 베트남, 남아프리카, 바이마르, 북한]스페인공화국, 베트남공화국, 남아프...
설탕에 대한 이해 - 설탕의 역사, 설탕의 개념, 설탕의 기원, 설탕의 세계전파과정, 설탕과 ...
[ 진에어 기업분석 보고서 ]JINAIR 진에어 경영전략과 마케팅 7P,STP전략, 진에어 3C,SWOT분석
마르코 폴로 ‘동방 견문록 감상문
공차 Gong cha 의 한국진출전략
더페이스샵 브랜드분석과 SWOT분석및 더페이스샵 마케팅전략 분석과 전략제안및 더페이스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