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프레이리의 생애와 사상
2. 교사들에 대한 조언과 격려의 메세지
3. 프레이리의 교사론 요점정리
4. 프레이리의 참된 교사상에 대한 소고
5. 교사로서의 정체성 찾기
6. 맺음말 - 사랑과 열정으로 빚어낸 희망이라는 가르침
2. 교사들에 대한 조언과 격려의 메세지
3. 프레이리의 교사론 요점정리
4. 프레이리의 참된 교사상에 대한 소고
5. 교사로서의 정체성 찾기
6. 맺음말 - 사랑과 열정으로 빚어낸 희망이라는 가르침
본문내용
돌이키게 되었다. 맺음말에 담긴 앎과 성장하는 것에 대한 프레이리의 깊은 성찰은 실천이 함께 했던 선배 교육자로서 프레이리의 면모를 생각하며 다시 한번 책을 읽고 싶게 했다. 그리고 가르치는 기술의 연마와 그 전수가 아니라 유능한 교사가 되기 위한 보다 근본적인 질문을 스스로에게 던지게 되었다. 인내와 조급함 간의 긴장, 그리고 삶을 즐겁게 만드는 자질 등 프레이리가 말하는 여러 가지 요건들을 읽으며 새삼스럽게 던진 질문. 교육의 비판적 주체로서 어려움 가운데 가르치기를 선택한 나는 과연 어떤 존재인 것인가. 도대체 교사란 무엇인가?
이제 막 질문이 바뀌었으니 이제는 답을 찾을 차례다. 답은 프레이리가 책 속에서 제시해 주는 것도 아니고 책을 읽은 순간 찾게 되는 것도 아니다. 내가 할 수 있는 일은 교사로서 나는 어떤 존재인지 끊임없이 자문하고 반성하여 나를 변화시키는 일. 그럴 때 가르치는 아이들의 변화를 목격할 수 있을 것이고 이는 차례대로 연쇄반응을 불러일으킬 것이다. 교사로서의 정체성 확립, 프레이리가 초등학교에서부터 모든 사회 변화가 시작된다고 말한 것은 바로 이 지점일 것이다.
7. 맺음말 - 사랑과 열정으로 빚어낸 희망이라는 가르침
이 편지를 읽는 동안 몇 번이고 책을 덮어두고 긴 호흡을 내쉬어야만 했다. 특히 네 번째 편지인 '진보적인 교사의 자질에 관하여'라는 편지는 그 울림이 너무나 크고 아름다워서 읽고 또 읽고 밑줄을 치는 데 책이 온통 밑줄 투성이가 돼버렸다. 가슴은 뜨겁게 달아오르고 머리는 자꾸만 우리 학교의 풍경들이 떠올랐다. 교무실에서의 풍경, 교사들, 아이들, 그리고 행정관료들... 프레이리는 자신의 조국 브라질을 얘기하고 있었지만 나는 우리땅의 현실만을 떠올리게 되는 것이었다. 프레이리의 이야기는 바로 우리 옆에서 우리들의 모습을 바라보면서 이야기를 하는 것처럼 생생하고 현실적인 이야기들이었다. 과중한 업무와 쥐꼬리만한 월급, 사회적인 홀대, 그리고 냉소주의의 희생양이 될 위험에 처한 교사들의 모습이란 바로 우리들의 모습이 아닌가? 교육의 총체적인 위기 속에서 우리 교사들의 정체성은 자꾸만 흐려져만 가고 더욱 늘어가기만 하는 잡무, 아이들을 둘러싼 세계의 변화와 여전히 가장 보수적이고 관료적인 교육행정가들... 그 속에서 우리 교사들은 너무나 상처받고 지쳐만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프레이리는 여전히 희망이 있다고 이야기한다. 그것도 너무나 따뜻한 목소리로, 싸우라고 우리에게 이야기한다. 거짓 이데올로기에 현혹되지 말고 무장된 사랑과 비판적 이성으로 온몸으로 공부하고, 배우고, 가르치고, 알게 된다는 것을 과학적으로 말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느낌, 정서, 소망, 두려움, 의심, 열정과 비판적 이성으로 이 모든 것을 해낼 수 있다고 외치고 있다. 그래서 우리는 끊임없이 가르쳐야 한다고, 끊임없는 도전을 계속해야 한다고 이야기 해주고 있다. 우리 일상에서 일어날 수 있는 마음의 관료화에 대하여 '아니오'라고 말하는 방법을 배워야 한다고 말한다.
이 가을에 날아온 프레이리의 편지는 사랑하는 사람의 연애편지만큼이나 따뜻하다. 가르친다는 것의 진정한 의미와 가르치는 사람과 배우는 사람의 관계에 대하여, 그리고 무엇보다도 우리를 둘러싼 이 세계의 모순에 대하여 끊임없이 싸우라고 이야기하고 있다. 그것이야말로 진정한 사랑이다. 여전히 우리에게는 이 세상에 대한 꿈을 꿀 자유가 있다. 세상을 아름답고 인간다운 삶터로 바꿀 수 있다는 꿈, 그것도 교육으로써 바꾸어낼 수 있다는 꿈...나는 다시 꿈을 꾼다. 그리고 그 꿈을 현실이라는 구체적인 맥락에서 실현시켜나가기 위해서 계속해서 가르치고 계속해서 싸울 것이다. 무장된 사랑의 힘으로!
이제 막 질문이 바뀌었으니 이제는 답을 찾을 차례다. 답은 프레이리가 책 속에서 제시해 주는 것도 아니고 책을 읽은 순간 찾게 되는 것도 아니다. 내가 할 수 있는 일은 교사로서 나는 어떤 존재인지 끊임없이 자문하고 반성하여 나를 변화시키는 일. 그럴 때 가르치는 아이들의 변화를 목격할 수 있을 것이고 이는 차례대로 연쇄반응을 불러일으킬 것이다. 교사로서의 정체성 확립, 프레이리가 초등학교에서부터 모든 사회 변화가 시작된다고 말한 것은 바로 이 지점일 것이다.
7. 맺음말 - 사랑과 열정으로 빚어낸 희망이라는 가르침
이 편지를 읽는 동안 몇 번이고 책을 덮어두고 긴 호흡을 내쉬어야만 했다. 특히 네 번째 편지인 '진보적인 교사의 자질에 관하여'라는 편지는 그 울림이 너무나 크고 아름다워서 읽고 또 읽고 밑줄을 치는 데 책이 온통 밑줄 투성이가 돼버렸다. 가슴은 뜨겁게 달아오르고 머리는 자꾸만 우리 학교의 풍경들이 떠올랐다. 교무실에서의 풍경, 교사들, 아이들, 그리고 행정관료들... 프레이리는 자신의 조국 브라질을 얘기하고 있었지만 나는 우리땅의 현실만을 떠올리게 되는 것이었다. 프레이리의 이야기는 바로 우리 옆에서 우리들의 모습을 바라보면서 이야기를 하는 것처럼 생생하고 현실적인 이야기들이었다. 과중한 업무와 쥐꼬리만한 월급, 사회적인 홀대, 그리고 냉소주의의 희생양이 될 위험에 처한 교사들의 모습이란 바로 우리들의 모습이 아닌가? 교육의 총체적인 위기 속에서 우리 교사들의 정체성은 자꾸만 흐려져만 가고 더욱 늘어가기만 하는 잡무, 아이들을 둘러싼 세계의 변화와 여전히 가장 보수적이고 관료적인 교육행정가들... 그 속에서 우리 교사들은 너무나 상처받고 지쳐만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프레이리는 여전히 희망이 있다고 이야기한다. 그것도 너무나 따뜻한 목소리로, 싸우라고 우리에게 이야기한다. 거짓 이데올로기에 현혹되지 말고 무장된 사랑과 비판적 이성으로 온몸으로 공부하고, 배우고, 가르치고, 알게 된다는 것을 과학적으로 말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느낌, 정서, 소망, 두려움, 의심, 열정과 비판적 이성으로 이 모든 것을 해낼 수 있다고 외치고 있다. 그래서 우리는 끊임없이 가르쳐야 한다고, 끊임없는 도전을 계속해야 한다고 이야기 해주고 있다. 우리 일상에서 일어날 수 있는 마음의 관료화에 대하여 '아니오'라고 말하는 방법을 배워야 한다고 말한다.
이 가을에 날아온 프레이리의 편지는 사랑하는 사람의 연애편지만큼이나 따뜻하다. 가르친다는 것의 진정한 의미와 가르치는 사람과 배우는 사람의 관계에 대하여, 그리고 무엇보다도 우리를 둘러싼 이 세계의 모순에 대하여 끊임없이 싸우라고 이야기하고 있다. 그것이야말로 진정한 사랑이다. 여전히 우리에게는 이 세상에 대한 꿈을 꿀 자유가 있다. 세상을 아름답고 인간다운 삶터로 바꿀 수 있다는 꿈, 그것도 교육으로써 바꾸어낼 수 있다는 꿈...나는 다시 꿈을 꾼다. 그리고 그 꿈을 현실이라는 구체적인 맥락에서 실현시켜나가기 위해서 계속해서 가르치고 계속해서 싸울 것이다. 무장된 사랑의 힘으로!
추천자료
[교사론]교직의 직관과 전문성 중요성 및 교사가 학교현장에서 지녀야 할 바람직한 학생관과 ...
영유아 교사론
[유아교사론] 유아교사의 조직환경 - 영유아교육기관의 조직적 특성, 영유아교사들의 근무환...
[교사론] 교원의 윤리성과 전문성 (교원윤리의 의미와 중요성, 성격, 교원 윤리강령, 전문직...
[보육교사론] 보육교사의 중요성에 대해 서술하고, 자신이 어린이집에서 근무하면서 보육교...
[보육교사론] 보육교사의 발달단계(4단계)별로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각 단계별 발달과업은 ...
[보육교사론] 동료교사와의 관계와 상사(원장, 주임, 선임)에 대한 마음가짐과 행동을 제시...
[보육교사론] 보육교사가 갖춰야 할 인성적 자질에 대하여 간략히 설명하고, 인성적 자질이 ...
[보육교사론] 보육교사로서의 갖춰야 할 여러 덕목과 자질에 대해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영...
한국방송통신대. 영유아교사론. 3학년. B형. 영유아교육기관에서의 리더십
[보육교사론] 현대 가족사회의 변화에 따른 영유아교사로서 역할의 변화와 이것을 보완하기 ...
[보육교사론] 보육교사의 권리와 의무를 서술하고, 어린이집에서의 권리와 의무에 대하여 사...
[보육교사론] 보육교사의 역할과 직무자질에 대해 이해한 후 본인의 자질과 연계해 기술하시...
(영유아교사론B형 2016) 교육관에 따른 교사의 자질을 설명하고 교사의 자질을 향상시킬 수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