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임금지불원칙
2. 비상시 지불
3. 휴업수당
4. 도급사업에 대한 임금지급
5. 도급근로자의 임금 보장
6. 임금대장
7. 임금의 시효
2. 비상시 지불
3. 휴업수당
4. 도급사업에 대한 임금지급
5. 도급근로자의 임금 보장
6. 임금대장
7. 임금의 시효
본문내용
보존하여야 한다. 임금대장에는 다음의 사항들을 근로자 개인별로 기재하여야 하며, 사용기간이 30일 미만인 근로자에 대하여는 ②, ⑤의 사항은 기재하지 않아도 된다(영§22).
① 성명
② 주민등록번호
③ 고용 연월일
④ 종사하는 업무
⑤ 임금 및 가족수당의 계산기초가 되는 사항
⑥ 근로일수
⑦ 근로시간수
⑧ 연장근로야간근로 또는 휴일근로를 시킨 경우에는 그 시간수
⑨ 기본급수당 기타 임금의 내역별 금액(통화외의 것으로 지급된 임금이 있는 경우에는 그 품명 및 수량과 평가총액)
법 제42조 제1항의 단서의 규정에 의하여 임금의 일부를 공제한 경우에는 그 금액
7. 임금의 시효
근로기준법 규정에 의한 임금채권은 청구할 수 있는 권리가 발생한 날로부터 3년간 행사하지 않은 때에는 시효로 인하여 소멸된다.
① 성명
② 주민등록번호
③ 고용 연월일
④ 종사하는 업무
⑤ 임금 및 가족수당의 계산기초가 되는 사항
⑥ 근로일수
⑦ 근로시간수
⑧ 연장근로야간근로 또는 휴일근로를 시킨 경우에는 그 시간수
⑨ 기본급수당 기타 임금의 내역별 금액(통화외의 것으로 지급된 임금이 있는 경우에는 그 품명 및 수량과 평가총액)
법 제42조 제1항의 단서의 규정에 의하여 임금의 일부를 공제한 경우에는 그 금액
7. 임금의 시효
근로기준법 규정에 의한 임금채권은 청구할 수 있는 권리가 발생한 날로부터 3년간 행사하지 않은 때에는 시효로 인하여 소멸된다.
키워드
추천자료
비정규직문제
청소년 아르바이트의 실태와 보호방안 [A+레포트 참 좋은 자료]
정규직 vs 비정규직 근로자의 문제점(해결)
외국인노동자 '인권'에 대한 쟁점 및 현정부정책의 문제점
[산재보험]산재보험(산업재해보상보험) 개념,의의, 산재보험(산업재해보상보험) 관리조직, 산...
산업재해보상보험법
근로청소년복지
특수고용노동자의 개념, 특수고용노동자의 특징, 특수고용노동자의 의의와 특수고용노동자의 ...
폭행의 금지와 관련한 근로기준법상 검토
근로기준법상 전출 관련 쟁점 검토
차별적 처우에 대하여
근로기준법상 사용자의 범위 세부 검토
노동법 - 근로제공형태 조사
[노사관계][노사][공기업 노사관계][다국적기업 노사관계][외국인투자기업]공기업(공사)의 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