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족구의 정의와 역사
2. 경기장 시설 및 용구
(1) 경기장
(2) 유니폼
(3) 족구화
(4) 족구공
3. 족구경기의 진행
4. 족구경기의 규칙
5. 족구의 전술
(1) A퀵 공격
(2) B퀵 공격
(3) C퀵 공격
(4) D 오픈 공격
(5) Back 공격(토스)
(6) BB 공격
(7) Back A 공격
6. 족구기술 - 공격
(1) 로링 스파이크
(2) 시저스 스파이크
(3) 헤딩 스파이크
(4) 탭핑 스파이크
(5) 그 밖의 스파이크
(6) 페인팅
7. 족구기술 - 서브
8. 족구기술 - 리시브
(1) 기본스텝훈련
(2) 리시브의 기본모형
(3) 리시브의 방법
9. 족구기술 - 토스
(1) 머리로 공격하기 위한 토스방법
(2) 공격을 위한 토스방법
(3) 로링 공격을 위한 토스방법
10. 심판 및 판정
11. 족구의 운동효과
12. 족구 용어정리
13. 참고자료
2. 경기장 시설 및 용구
(1) 경기장
(2) 유니폼
(3) 족구화
(4) 족구공
3. 족구경기의 진행
4. 족구경기의 규칙
5. 족구의 전술
(1) A퀵 공격
(2) B퀵 공격
(3) C퀵 공격
(4) D 오픈 공격
(5) Back 공격(토스)
(6) BB 공격
(7) Back A 공격
6. 족구기술 - 공격
(1) 로링 스파이크
(2) 시저스 스파이크
(3) 헤딩 스파이크
(4) 탭핑 스파이크
(5) 그 밖의 스파이크
(6) 페인팅
7. 족구기술 - 서브
8. 족구기술 - 리시브
(1) 기본스텝훈련
(2) 리시브의 기본모형
(3) 리시브의 방법
9. 족구기술 - 토스
(1) 머리로 공격하기 위한 토스방법
(2) 공격을 위한 토스방법
(3) 로링 공격을 위한 토스방법
10. 심판 및 판정
11. 족구의 운동효과
12. 족구 용어정리
13. 참고자료
본문내용
슴위로 오는 볼을 빠르게 공격하거나 토스한 볼이 로링 공격, 시저스 공격, 탭핑 공격이 불가능할 때 실시된다. 방법으로 서서 공격(Standing Spike), 점핑 공격(Jumping Spile)이 있으며 볼에 맞는 부위에 따라 앞면이마, 머리 뒤로, 머리 옆으로 실시한다.
(이마로 헤딩 공격) 토스 혹은 네트위 찬스볼로 오는 것을 점핑하여 이마로 공격하는 것. (머리 옆면으로 공격) 토스 혹은 네트위 찬스볼로 오는 것을 점핑하여 머리옆면으로 공격하는 것.
<연습방법> 헤딩은 선 채로 하는 스탠딩 헤딩과 뛰어오르면서 하는 헤딩이 있으며 볼이 맞는 부위에 따라 또 볼의 방향도 달라진다. 훈련 시 다음 사항을 유의해야 한다. 볼이 머리에 닿는 순간 목이 흔들리면 마음대로 강하고 정확하게 공격할 수 없으므로 땅과 직각이 되도록 노력해야 한다. 항시 입을 다물며 눈을 뜨도록 하고 상반신 전체를 이용하여 볼과 머리의 타이밍 조절과 함께 강한 공격이 되도록 해야 한다.
2인 1조가 되어 보조가 볼을 던지면 제자리에서 정면으로 공격하거나 점프하여 이마로 공격하는 모형 보조자가 볼을 던져주면 공격자는 그 자리에서 볼의 방향을 바꾸거나 점프하여 볼의 방향을 바꾸어 공격하는 모형 3인 1조가 되어 약간 높게 던져주면 점프하여 볼의 방향을 뒤로 공격하는 모형 볼이 낮으면 서서 볼의 방향을 위로 공격한다. 공격자를 라이트, 레프트, 혹은 센터에 1열로 정열시킨 후 보조자가 볼을 던지면 A, B, C 방향으로 공격한다. 보조자가 상대팀 코트 내에서 볼을 던져주면 빠르고 신속하게 머리로 공격한다. 보조자가 ABC방향을 변화하여 던져주면 빠르게 이동하면서 공격한다. 보조자가 볼을 상대팀 코트에서 던져주면 공격선수가 뛰어나가 점프하여 공격한다.
(4) 탭핑 스파이크
발바닥으로 가볍게 혹은 살짝 넘기는 것으로 강한 공격보다는 헤딩 공격과 같이 페이팅(Feinting) 및 보조 공격으로 많이 사용된다. 이 공격은 빠르고 정확한 것이 특징이다. 이 공격의 유의사항은 다른 공격과 마찬가지로 항시 볼을 주시해야 하며 자칫 잘못하면 공격한 발이 네트에 닿기 쉽다.
<연습방법> ① 공격자 혼자서 손으로 던져놓고 서서 혹은 점프하여 공격한다. ② 보조자가 토스하여 주면 서서 혹은 점프하여 공격한다. ③ 보조자가 상대팀 코드내에서 던져주면 곧바로 탭핑 공격한다.
(5) 그 밖의 스파이크
공격의 형태와 관계없이 세터가 토스한 볼 혹은 자신이 토스한 볼이 공격하기에 부적합하면 상대팀 블로킹(막기)을 피하여 상대팀 코트에 수비하기 어려운 지점으로 보내는 것이다. 토스한 볼이 공격하기에 적합한 볼이어도 상대 수비의 리듬을 깨고 혼란하게 하기 위하여 페인트(Feint) 공격을 많이 사용한다. 수비의 헛점을 이용하여 강한 스파이크처럼 자세를 취한 후 살짝 넘겨 상대팀을 속이는 기술로 로링 스파이크, 시저스 스파이크, 탭핑 스파이크, 헤딩 스파이크 등 다양한 방법으로 실시할 수 있다. 이런 기술은 공격기술 습득이 이루어진 단계에서 가능하다. 별도의 개인 연습방법보다는 팀플레이시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연습하면 된다. 이 페인트 공격의 유의 사항은 잘못하면 상대팀에게 찬스볼로 넘겨주는 결과가 생겨 신중하게 실시해야 한다.
(6) 페인팅
족구의 공격술 가운데 빼놓을 수 없는 것이 이 페인팅 기술이다. 공격일변도의 페이스에서 이 페인팅 기술이야말로 상대의 수비의지를 허물어 버리는 아주 특이하고 기교에 찬 공격기술이라 하겠다. 계속해서 강한 공격만 한다면 공격자의 공격스타일도 쉽게 비쳐지고 금방 알아차려 버릴 수 있게 되는 약점이 있다. 그리고 수비자는 수비를 하다보면 상대의 공격을 받아내는데 재미가 붙어 능력이상의 기능을 발휘하기도 한다. 이러한 수비자의 수비의지와 페이스를 허물어뜨리는 이 페인팅은 볼이 어느 순간에 네트에 바짝 붙게 되는 기회를 살려서 실시해야한다. 그 순간 볼을 빠르면서도 속도를 최대한 줄여 네트를 넘겨 바로 앞에 떨어뜨려 놓는 기술이다. 이렇게되면 상대수비수나 상대편은 공격일변도의 상황에서 갑작스런 페인팅은 타이밍을 잃을뿐더러 거리상으로 볼을 잡아내기는 어렵게 된다.
이때 주의해야할 것은 볼과 네트의 거리를 주시해야하며 상대 공격수들을 주시해야한다. 공격수가 전진돼 있어서 볼을 받아내 버리면 허무하게 역습에 휘말릴 수 있기 때문이다. 개인적으로 하면 할수록 재미있는 것이 이 페인팅 기술이다. 그리고 우리는 이 기술을 \"먹물\"이라 불렀다. 어원이 어떻게 된 것인지는 모르나 어감과 공격효과가 어느 정도 맞아떨어지는 것 같다.
7. 족구기술 - 서브
족구경기는 서브로부터 시작된다. 볼을 속도 있고 정확하게 원하는 위치에 가도록 조절하여 서브하는 사람의 상대방보다 우세하기 마련이다. 이 서브가 좋고 나쁨에 따라 게임전체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서브할 때 중요한 것은 상대편 코트에 넣을 것.
○ 상대편 리시브가 약한 사람에게 넣을 것. ○ 상대편 공격을 봉쇄할 수 있는 장소에 넣을 것. ○ 직접 포인트(득점)를 얻도록 노력할 것.
서브를 연습할 때는 이상의 네 가지를 생각하며 서브해야 한다. 지금은 서브도 공격처럼 실시하며 빠르고 힘차게 차야만 효과적인 서브가 된다. 동시에 상대편 지역의 원하는 지점에 떨어지도록 조절해야 한다. 뒤쪽부분 앞쪽부분 또는 빈곳이나 상대편 선수 중 리시브가 불안한 사람에게 정확히 가도록 해야 한다.
1) 안전서브 서브제한 구역에서 발 안쪽(인사이드킥)으로 안전하게 차 넘기는 것
2) 강서브 발끝과 무릎을 일직선으로 하여 발등으로 차 넘기는 것
3) 회전서브 ① 발 안쪽(족구화 톱니자국)으로 감아 차는 것 ② 발 바깥쪽(족도부분)으로 돌려 차는 것 ※ 서브는 반드시 노바운드로 서브할 것
8. 족구기술 - 리시브
서버한 볼의 힘 속도 볼의 변화로 인해 서브는 공격적이며 계속적으로 개발되고 있다. 그러므로 리시브는 더욱 중요하다. 리시브가 좋지 않으면 공격으로 이루어질 수 없으며 게임과 플레이는 실현되지 못한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리시브를 정학하게 하는 연습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기본기술을 습득한 사람은 서브를 잘 받을 수 있으며 상대방의 서브의 힘 볼의 속도
(이마로 헤딩 공격) 토스 혹은 네트위 찬스볼로 오는 것을 점핑하여 이마로 공격하는 것. (머리 옆면으로 공격) 토스 혹은 네트위 찬스볼로 오는 것을 점핑하여 머리옆면으로 공격하는 것.
<연습방법> 헤딩은 선 채로 하는 스탠딩 헤딩과 뛰어오르면서 하는 헤딩이 있으며 볼이 맞는 부위에 따라 또 볼의 방향도 달라진다. 훈련 시 다음 사항을 유의해야 한다. 볼이 머리에 닿는 순간 목이 흔들리면 마음대로 강하고 정확하게 공격할 수 없으므로 땅과 직각이 되도록 노력해야 한다. 항시 입을 다물며 눈을 뜨도록 하고 상반신 전체를 이용하여 볼과 머리의 타이밍 조절과 함께 강한 공격이 되도록 해야 한다.
2인 1조가 되어 보조가 볼을 던지면 제자리에서 정면으로 공격하거나 점프하여 이마로 공격하는 모형 보조자가 볼을 던져주면 공격자는 그 자리에서 볼의 방향을 바꾸거나 점프하여 볼의 방향을 바꾸어 공격하는 모형 3인 1조가 되어 약간 높게 던져주면 점프하여 볼의 방향을 뒤로 공격하는 모형 볼이 낮으면 서서 볼의 방향을 위로 공격한다. 공격자를 라이트, 레프트, 혹은 센터에 1열로 정열시킨 후 보조자가 볼을 던지면 A, B, C 방향으로 공격한다. 보조자가 상대팀 코트 내에서 볼을 던져주면 빠르고 신속하게 머리로 공격한다. 보조자가 ABC방향을 변화하여 던져주면 빠르게 이동하면서 공격한다. 보조자가 볼을 상대팀 코트에서 던져주면 공격선수가 뛰어나가 점프하여 공격한다.
(4) 탭핑 스파이크
발바닥으로 가볍게 혹은 살짝 넘기는 것으로 강한 공격보다는 헤딩 공격과 같이 페이팅(Feinting) 및 보조 공격으로 많이 사용된다. 이 공격은 빠르고 정확한 것이 특징이다. 이 공격의 유의사항은 다른 공격과 마찬가지로 항시 볼을 주시해야 하며 자칫 잘못하면 공격한 발이 네트에 닿기 쉽다.
<연습방법> ① 공격자 혼자서 손으로 던져놓고 서서 혹은 점프하여 공격한다. ② 보조자가 토스하여 주면 서서 혹은 점프하여 공격한다. ③ 보조자가 상대팀 코드내에서 던져주면 곧바로 탭핑 공격한다.
(5) 그 밖의 스파이크
공격의 형태와 관계없이 세터가 토스한 볼 혹은 자신이 토스한 볼이 공격하기에 부적합하면 상대팀 블로킹(막기)을 피하여 상대팀 코트에 수비하기 어려운 지점으로 보내는 것이다. 토스한 볼이 공격하기에 적합한 볼이어도 상대 수비의 리듬을 깨고 혼란하게 하기 위하여 페인트(Feint) 공격을 많이 사용한다. 수비의 헛점을 이용하여 강한 스파이크처럼 자세를 취한 후 살짝 넘겨 상대팀을 속이는 기술로 로링 스파이크, 시저스 스파이크, 탭핑 스파이크, 헤딩 스파이크 등 다양한 방법으로 실시할 수 있다. 이런 기술은 공격기술 습득이 이루어진 단계에서 가능하다. 별도의 개인 연습방법보다는 팀플레이시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연습하면 된다. 이 페인트 공격의 유의 사항은 잘못하면 상대팀에게 찬스볼로 넘겨주는 결과가 생겨 신중하게 실시해야 한다.
(6) 페인팅
족구의 공격술 가운데 빼놓을 수 없는 것이 이 페인팅 기술이다. 공격일변도의 페이스에서 이 페인팅 기술이야말로 상대의 수비의지를 허물어 버리는 아주 특이하고 기교에 찬 공격기술이라 하겠다. 계속해서 강한 공격만 한다면 공격자의 공격스타일도 쉽게 비쳐지고 금방 알아차려 버릴 수 있게 되는 약점이 있다. 그리고 수비자는 수비를 하다보면 상대의 공격을 받아내는데 재미가 붙어 능력이상의 기능을 발휘하기도 한다. 이러한 수비자의 수비의지와 페이스를 허물어뜨리는 이 페인팅은 볼이 어느 순간에 네트에 바짝 붙게 되는 기회를 살려서 실시해야한다. 그 순간 볼을 빠르면서도 속도를 최대한 줄여 네트를 넘겨 바로 앞에 떨어뜨려 놓는 기술이다. 이렇게되면 상대수비수나 상대편은 공격일변도의 상황에서 갑작스런 페인팅은 타이밍을 잃을뿐더러 거리상으로 볼을 잡아내기는 어렵게 된다.
이때 주의해야할 것은 볼과 네트의 거리를 주시해야하며 상대 공격수들을 주시해야한다. 공격수가 전진돼 있어서 볼을 받아내 버리면 허무하게 역습에 휘말릴 수 있기 때문이다. 개인적으로 하면 할수록 재미있는 것이 이 페인팅 기술이다. 그리고 우리는 이 기술을 \"먹물\"이라 불렀다. 어원이 어떻게 된 것인지는 모르나 어감과 공격효과가 어느 정도 맞아떨어지는 것 같다.
7. 족구기술 - 서브
족구경기는 서브로부터 시작된다. 볼을 속도 있고 정확하게 원하는 위치에 가도록 조절하여 서브하는 사람의 상대방보다 우세하기 마련이다. 이 서브가 좋고 나쁨에 따라 게임전체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서브할 때 중요한 것은 상대편 코트에 넣을 것.
○ 상대편 리시브가 약한 사람에게 넣을 것. ○ 상대편 공격을 봉쇄할 수 있는 장소에 넣을 것. ○ 직접 포인트(득점)를 얻도록 노력할 것.
서브를 연습할 때는 이상의 네 가지를 생각하며 서브해야 한다. 지금은 서브도 공격처럼 실시하며 빠르고 힘차게 차야만 효과적인 서브가 된다. 동시에 상대편 지역의 원하는 지점에 떨어지도록 조절해야 한다. 뒤쪽부분 앞쪽부분 또는 빈곳이나 상대편 선수 중 리시브가 불안한 사람에게 정확히 가도록 해야 한다.
1) 안전서브 서브제한 구역에서 발 안쪽(인사이드킥)으로 안전하게 차 넘기는 것
2) 강서브 발끝과 무릎을 일직선으로 하여 발등으로 차 넘기는 것
3) 회전서브 ① 발 안쪽(족구화 톱니자국)으로 감아 차는 것 ② 발 바깥쪽(족도부분)으로 돌려 차는 것 ※ 서브는 반드시 노바운드로 서브할 것
8. 족구기술 - 리시브
서버한 볼의 힘 속도 볼의 변화로 인해 서브는 공격적이며 계속적으로 개발되고 있다. 그러므로 리시브는 더욱 중요하다. 리시브가 좋지 않으면 공격으로 이루어질 수 없으며 게임과 플레이는 실현되지 못한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리시브를 정학하게 하는 연습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기본기술을 습득한 사람은 서브를 잘 받을 수 있으며 상대방의 서브의 힘 볼의 속도
추천자료
씨름의 어언과 역사 용어 그리고 기술
수영의 모든 것(특성,효과,역사,원리,영법,기술,종류,규칙,용어 포함)
[유아사회교육]유아의 사회적 기술과 활동계획 제시, 설명
스키 완벽정리 (스키의 역사와 특징 및 스키의 기술과 스키의 효과)
[농구] 농구의 모든 것(농구의 기원과 전술 및 농구의 기술과 규칙)
축구 A+ 완벽정리(축구의 기원, 축구의 특성, 축구기술, 축구효과, 축구전술)
[1980년대][금융탈규제][경제상황]1980년대의 금융탈규제, 1980년대의 경제상황, 1980년대의 ...
[한일자본주의]한일자본주의, 한일종합상사, 한일선박안전회의, 한일기술정책, 한일보육정책,...
스포츠과학 (한국체육과학연구원의 역할과 기능, 첨단기술의 각축장, 스포츠)
[축구, 축구규칙] 축구 완전정리(축구의 역사와 축구기술 및 축구 전술시스템)
스포츠 -배드민턴 효과, 배드민턴 기본 상식, 배드민턴의 기술
★ 투자론 - LG화학 기업분석 ( LG화학, 기술적 분석, 기본적 분석, 경제분석, 산업분석, 기...
기업企業 비정규직사용비율 결정요인, 기업 기술혁신활동 결정요인, 기업 전략구축 결정요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