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서 론
▣ 본 론
Ⅰ. 퇴행성 관절염
Ⅱ. 류마티스 관절염
Ⅲ. 퇴행성 관절염과 류마티스 관절염의 비교
▣ 결 론
<참고문헌>
▣ 본 론
Ⅰ. 퇴행성 관절염
Ⅱ. 류마티스 관절염
Ⅲ. 퇴행성 관절염과 류마티스 관절염의 비교
▣ 결 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료에 대한 지식에 달려 있다.
⑥ 영양 관리
- 영양관리 방법
영양을 다양하게 섭취하기 위해서 자주 먹지 않았던 식품이나 익숙지 않은 식품을 먹도록 시도해 본다. 자신에게 필요한 기본 유형에 적응하도록 노력하고 칼슘이 필요하기 때문에 우유를 소홀히 생각하지 말아야 한다. 과잉단백질은 비만의 원인이 되고 과도하게 알칼리성 장액을 분비하게 하여 연동운동이 저하됨으로 변비의 원인이 되므로 1일 85g의 육류를 섭취하는 것만으로도 충분하다.
- 체중조절
과체중인 경우에는 관절에 과중한 부담을 주어 통증이나 염증이 더 악화될 수 있기 때문에 체중을 줄여야 한다. 체중이 감소되면 긴장이 완화되고 통증이 줄어들어 민첩성이 증진된다.
(3) 수술
① 관절낭 절개술
슬관절 굴곡구축이 심할 때 관절낭을 절개하거나 협착된 관절낭을 분리하는 것이다. 슬관절 굴곡수축이 있으면 보행이 힘들고 일상생활에 지장이 크므로 관절낭 절개술을 하게 된다.
② 건절개술
건이 겹쳐서 중첩 될 때 건을 절개하거나 연장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족관절의 첨족 변형을 조정하기 위해 아킬레스건 연장술을 실시한다.
③ 활액막 절개술
관절면이 두터워졌을 때 활액막을 절개하는 것이다. 활액막절개술 수술로 관절이 파괴되는 것을 방지하며 또 질환이 진행되는 것을 방지한다. 흔히 손이나 무릎 관절에 실시한다.
④ 골절개술
뼈의 강직으로 보행이 불가능 할 때 뼈의 일부를 절개하여 바르게 연결하는 것이다. 무릎에 심한 굴곡이나 내번 변형이 있으면 흔히 경골 근위부 골절개술을 시행한다.
⑤ 관절 고정술
통증을 조절하고 관절이 안정감을 최대한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관절을 외과적으로 고정하는 것이 관절 고정술이다.
- 수술 전 간호
관절 고정술의 장점은 통증과 불안정을 감소시키는 것이다. 관절을 움직일 때 통증이 심하면 관절을 융합시킴으로써 통증을 제거할 수 있다. 수술 전 간호로 수술 절차에 대해 대상자가 잘 이해하고 있는지 평가해야 하며, 잘못 생각하고 있는 부분에 대해서는 수술 전에 확실하게 알려주고, 대상자가 결과에 대해 알도록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 수술 후 간호
수술 후에는 관절융합이 이루어질 때까지 석고붕대나 외부 고정 장치를 가진 경우 관절의 부동이 필요하다. 무릎관절인 경우는 활막 절제술처럼 대퇴사두근을 고정하고 다리를 곧게 들어 올리는 운동을 교육시킨다. 부분 체중 부하는 10~14일 후에 허용한다. 발목관절인 경우 1~3개월 동안 체중부하를 허용하지 않는다.
수술 후에는 수술한 부위에 부종과 통증이 생기므로 환부를 상승시키고 진통제를 투여한다. 뼈가 완전히 융합되기 전까지 체중부하는 금기이다.
⑥ 인공관절치환술
고관절, 주관절, 슬관절, 손가락 관절 등에 손상이 매우 심할 때 관절 전체나 또는 부분을 인공 관절로 대치하는 것이 인공관절치환술이다.
Ⅲ. 퇴행성 관절염과 류마티스 관절염의 비교
변수
퇴행성 관절염
류마티스 관절염
발병 시기
보통 40세 이상
젊은 나이(중년 이하)
성별
50세 이전에는 남성에서, 50세 이후는 여성에 흔함
여성:남성=2:1(60세 이후에는 3:1)
체중
과체중
비교적 정상이거나 감소
질병과정
진행적 양상을 가진 국소 질병
악화와 완화기를 가진 전신질환
이환 관절
체중부하관절(무릎, 고관절), MCP, DIP, PIP, 경추와 요추가 주로 침범되며 대개 비대칭적
처음에 소관절(PIP, MCP, MTP)침범 그리고 손목, 팔꿈치, 어깨, 무릎 등이 침범되며 대개 양측성, 대칭적임
강직
30분 후에도 대개 완화되지 않음
1시간-하루 종일
삼출증
흔하지 않음
흔함
결절
Heberden's(DIP), Bouchard's(PIP)결절 존재
피하결절, 특히 신전면에 존재
활액
WBC<2000/㎕
WBC>2000/㎕ (주로 중성구)
X-ray
관절강 협착, 연골하 낭종, 경화
관절강 협착, 미란, 아탈구, 스테로이드 사용과 관련된 골다공증
검사결과
RF(-)
활액염증 시 적혈구 침강속도 상승
환자의 80%에서 RF(+)
급성염증시 적혈구 침강속도, CRP상승
* MCP(metacarpophalangeal), MTP(metatarsohalangeal), PIP(proximal interphalangeal)
▣ 결 론
이상으로 퇴행성 관절염과 류마티스 관절염의 정의와 역학, 원인, 병태생리, 임상증상, 진단검사, 치료 및 간호 등 전체적인 면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 관절염이란 지금의 우리 부모님이 겪고 있는 질환일수도 있으며 앞으로 우리가 겪게 될지도 모르는 질환이다.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이렇게 하면 절대 걸릴 일이 없습니다” 라고 말 할 수 있는 질병은 아니다. 그렇다고 해서 이 질병이 생겼다고 좌절할 필요는 없다. 이 퇴행성 관절염과 류마티스 관절염 모두 불치병이 아닌 분명 치유 방법이 있기 때문이다.
관절염의 환자들이 참기 힘든 것은 통증만이 아니다. 그들의 신체상의 변화에 화가나고 속도 상하는 것이다. 따라서 우리는 그들을 간호할 때 신체상의 변화 뿐만이 아니라 그들의 마음까지도 치유할 수 있어야 한다. 임상에서 우리는 틀어지고 못난 할머니의 손을 많이 보았을 것이다. 그 손에는 그동안의 삶이 고스란히 묻어 있다. 그 손을 따뜻하게 잡아줄 수만 있지 누구도 그 손이 못났다고 말하지 못할 것이다.
그리고 못난 손가락이 되어버렸지만, 그래도 여전히 그 손으로 할 수 있는 일이 얼마든지 있다는 걸 잊지 않도록 하여야겠다. 또한 휴식과 운동이 중요한 치유방법이라는 것 역시 잘 기억하도록 하자.
임상에서 이러한 대상자를 접하게 되었을 때 보다 나은 간호를 제공하여 그들에게 좀 더 활기찬 삶을 영유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겠다.
<참고문헌>
김명애 외 (2004). 그림으로 보는 병리학. 서울; 정담미디어. pp.653-658.
김창종, 서병세 (2006). 병태생리학2(5th). 서울; 신일상사. pp.940-948, 965-966.
김조자 외 (2003). 성인간호학4. 서울; 현문사 PP. 120-127, 146-149
이향련 외 (2007). 성인간호학2(여섯째판). 서울; 수문사 PP. 1079-1097
전시자 외 (2005). 성인간호학 하. 서울; 현문사 PP. 377-393
⑥ 영양 관리
- 영양관리 방법
영양을 다양하게 섭취하기 위해서 자주 먹지 않았던 식품이나 익숙지 않은 식품을 먹도록 시도해 본다. 자신에게 필요한 기본 유형에 적응하도록 노력하고 칼슘이 필요하기 때문에 우유를 소홀히 생각하지 말아야 한다. 과잉단백질은 비만의 원인이 되고 과도하게 알칼리성 장액을 분비하게 하여 연동운동이 저하됨으로 변비의 원인이 되므로 1일 85g의 육류를 섭취하는 것만으로도 충분하다.
- 체중조절
과체중인 경우에는 관절에 과중한 부담을 주어 통증이나 염증이 더 악화될 수 있기 때문에 체중을 줄여야 한다. 체중이 감소되면 긴장이 완화되고 통증이 줄어들어 민첩성이 증진된다.
(3) 수술
① 관절낭 절개술
슬관절 굴곡구축이 심할 때 관절낭을 절개하거나 협착된 관절낭을 분리하는 것이다. 슬관절 굴곡수축이 있으면 보행이 힘들고 일상생활에 지장이 크므로 관절낭 절개술을 하게 된다.
② 건절개술
건이 겹쳐서 중첩 될 때 건을 절개하거나 연장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족관절의 첨족 변형을 조정하기 위해 아킬레스건 연장술을 실시한다.
③ 활액막 절개술
관절면이 두터워졌을 때 활액막을 절개하는 것이다. 활액막절개술 수술로 관절이 파괴되는 것을 방지하며 또 질환이 진행되는 것을 방지한다. 흔히 손이나 무릎 관절에 실시한다.
④ 골절개술
뼈의 강직으로 보행이 불가능 할 때 뼈의 일부를 절개하여 바르게 연결하는 것이다. 무릎에 심한 굴곡이나 내번 변형이 있으면 흔히 경골 근위부 골절개술을 시행한다.
⑤ 관절 고정술
통증을 조절하고 관절이 안정감을 최대한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관절을 외과적으로 고정하는 것이 관절 고정술이다.
- 수술 전 간호
관절 고정술의 장점은 통증과 불안정을 감소시키는 것이다. 관절을 움직일 때 통증이 심하면 관절을 융합시킴으로써 통증을 제거할 수 있다. 수술 전 간호로 수술 절차에 대해 대상자가 잘 이해하고 있는지 평가해야 하며, 잘못 생각하고 있는 부분에 대해서는 수술 전에 확실하게 알려주고, 대상자가 결과에 대해 알도록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 수술 후 간호
수술 후에는 관절융합이 이루어질 때까지 석고붕대나 외부 고정 장치를 가진 경우 관절의 부동이 필요하다. 무릎관절인 경우는 활막 절제술처럼 대퇴사두근을 고정하고 다리를 곧게 들어 올리는 운동을 교육시킨다. 부분 체중 부하는 10~14일 후에 허용한다. 발목관절인 경우 1~3개월 동안 체중부하를 허용하지 않는다.
수술 후에는 수술한 부위에 부종과 통증이 생기므로 환부를 상승시키고 진통제를 투여한다. 뼈가 완전히 융합되기 전까지 체중부하는 금기이다.
⑥ 인공관절치환술
고관절, 주관절, 슬관절, 손가락 관절 등에 손상이 매우 심할 때 관절 전체나 또는 부분을 인공 관절로 대치하는 것이 인공관절치환술이다.
Ⅲ. 퇴행성 관절염과 류마티스 관절염의 비교
변수
퇴행성 관절염
류마티스 관절염
발병 시기
보통 40세 이상
젊은 나이(중년 이하)
성별
50세 이전에는 남성에서, 50세 이후는 여성에 흔함
여성:남성=2:1(60세 이후에는 3:1)
체중
과체중
비교적 정상이거나 감소
질병과정
진행적 양상을 가진 국소 질병
악화와 완화기를 가진 전신질환
이환 관절
체중부하관절(무릎, 고관절), MCP, DIP, PIP, 경추와 요추가 주로 침범되며 대개 비대칭적
처음에 소관절(PIP, MCP, MTP)침범 그리고 손목, 팔꿈치, 어깨, 무릎 등이 침범되며 대개 양측성, 대칭적임
강직
30분 후에도 대개 완화되지 않음
1시간-하루 종일
삼출증
흔하지 않음
흔함
결절
Heberden's(DIP), Bouchard's(PIP)결절 존재
피하결절, 특히 신전면에 존재
활액
WBC<2000/㎕
WBC>2000/㎕ (주로 중성구)
X-ray
관절강 협착, 연골하 낭종, 경화
관절강 협착, 미란, 아탈구, 스테로이드 사용과 관련된 골다공증
검사결과
RF(-)
활액염증 시 적혈구 침강속도 상승
환자의 80%에서 RF(+)
급성염증시 적혈구 침강속도, CRP상승
* MCP(metacarpophalangeal), MTP(metatarsohalangeal), PIP(proximal interphalangeal)
▣ 결 론
이상으로 퇴행성 관절염과 류마티스 관절염의 정의와 역학, 원인, 병태생리, 임상증상, 진단검사, 치료 및 간호 등 전체적인 면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 관절염이란 지금의 우리 부모님이 겪고 있는 질환일수도 있으며 앞으로 우리가 겪게 될지도 모르는 질환이다.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이렇게 하면 절대 걸릴 일이 없습니다” 라고 말 할 수 있는 질병은 아니다. 그렇다고 해서 이 질병이 생겼다고 좌절할 필요는 없다. 이 퇴행성 관절염과 류마티스 관절염 모두 불치병이 아닌 분명 치유 방법이 있기 때문이다.
관절염의 환자들이 참기 힘든 것은 통증만이 아니다. 그들의 신체상의 변화에 화가나고 속도 상하는 것이다. 따라서 우리는 그들을 간호할 때 신체상의 변화 뿐만이 아니라 그들의 마음까지도 치유할 수 있어야 한다. 임상에서 우리는 틀어지고 못난 할머니의 손을 많이 보았을 것이다. 그 손에는 그동안의 삶이 고스란히 묻어 있다. 그 손을 따뜻하게 잡아줄 수만 있지 누구도 그 손이 못났다고 말하지 못할 것이다.
그리고 못난 손가락이 되어버렸지만, 그래도 여전히 그 손으로 할 수 있는 일이 얼마든지 있다는 걸 잊지 않도록 하여야겠다. 또한 휴식과 운동이 중요한 치유방법이라는 것 역시 잘 기억하도록 하자.
임상에서 이러한 대상자를 접하게 되었을 때 보다 나은 간호를 제공하여 그들에게 좀 더 활기찬 삶을 영유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겠다.
<참고문헌>
김명애 외 (2004). 그림으로 보는 병리학. 서울; 정담미디어. pp.653-658.
김창종, 서병세 (2006). 병태생리학2(5th). 서울; 신일상사. pp.940-948, 965-966.
김조자 외 (2003). 성인간호학4. 서울; 현문사 PP. 120-127, 146-149
이향련 외 (2007). 성인간호학2(여섯째판). 서울; 수문사 PP. 1079-1097
전시자 외 (2005). 성인간호학 하. 서울; 현문사 PP. 377-393
추천자료
요통의 예방과 치료 운동
열과 냉 작용
온냉치료의 적용
인공관절치환술 case study(TKR)
첨부파일 : 고관절 치환술 (THRA) CASE
치매 교육계획안
척추관 협착증 (SPINAL STENOSIS) case study
지역사회보건진료소
[간호학특론 E형]파슨즈의 환자역할에 대해 논하시오.(중산층과 빈곤층의 만성질환자 각각 1...
슬관절성형술 case study 간호과정
[분자, 분자적 조절기구, 분자기전, 분자분광법, 분자궤도함수]분자와 분자적 조절기구, 분자...
[노인사례관리] 독거 여성어르신에 대한 사례연구 - 이○○할머니를 중심으로-
외부장애 (지체장애, 지체장애, 뇌 병변장애, 시각장애, 청각장애, 언어장애, 안면장애).PPT자료
TKR(total knee replacement) 슬관절 치환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