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등을 실현하는 선진국의 교육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평등을 실현하는 선진국의 교육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미국의 교육
2. 프랑스의 교육
3. 독일의 교육
4. 영국의 교육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평가는 사지선다형 시험이 아니라 주관식 사고능력을 측정하는 시험방법으로, 과목수가 적은 대신 상당히 전문화된 추세를 보인다. 미국에서 상당수의 대학들이 영국의 A 레벨 자격증을 취득한 학생들에게 학부의 1학년 과정을 면제해 주는 상황이 이 시험의 평가수준을 가늠해 주고 있다. 10과목 이상을 OX식 사지선다형으로 시험 치기 위해 암기 위주의 공부에 몰두하는(그래서 대부분 시험이 끝난 다음 무엇을 외웠는지를 잊게 되는 소모적이며 낭비형) 우리의 고3 교육과 좋은 대조를 이룬다. 우리의 입시공부가 대학에 가기 위해 기술적인 지식의 테스트를 받는 것인데 비해 영국의 A 레벨 시험은 대학에서 배우는 학문의 영역에 대한 기초작업을 확장하는 한 과정에 대한 평가로서 그 의미를 지니고 있다.
Ⅲ. 결론
일본에서는 케이크 하나를 자를 때에도 균등하게 자르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프랑스에서는 자신이 필요한 만큼만 자른다고 한다. 균등하게 자르는 것과 자신이 필요한 만큼만 자르는 것은 많은 차이가 있다고 본다. 실제로 선진국들은 개개인의 능력에 맞는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위에서 살펴본 선진국에서의 교육에 대한 정확한 진단과 치료는 개인차를 인정하는 교육에 대한 평등의 구현이며, 모든 국민들에게 기초학력 보장을 통해 평생 교육의 길을 열어주어 행복을 담보해 주기 위한 최선의 선택이다. 만약 학생들이 일정 수준 이상의 잠재적 적성과 능력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여러 요인으로 그 잠재적 능력만큼의 능력을 발휘하지 못하는 학생들을 적기에 진단하고 치료하지 못한다면 이는 개인적으로는 치명적 불행이며 국가적으로는 큰 손실이 아닐 수 없다. 선진국에서는 적절한 평가와 진단으로 개인차를 인정하여 평등에 근접하는 교육을 실현하고 있었다.
선진국들은 개인의 능력에 적합한 교육을 실천하려는 노력을 끊임없이 게속하고 있고 그 위에는 항상 평등이라는 개념이 존재한다. 인간중심의 평등교육, 이 개념이야 말로 선진국의 교육시스템을 한마디로 축약하는 말일 것이다. 그런데 그들이 주장하는 평등이란 개념은 모든 것을 둥글게 하는것도 네모나게 하는 것도 아니다. 각각의 사람이 지닌 개성이나 능력을 존중하고, 거기에 상응하는 교육의 실현이 평등으로 이어지는 것이다.
네모도 동그라미도, 그리고 세모도 각각의 특성이 있기 때문에 조화를 이룰 수 있는 것이라고 선진국 사람들은 생각한다. 나는 각자의 개성을 인정하는 것이 진정한 평등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살아있는 교육이 된다는 것을 선진국들의 교육에서 배웠다.
<참고문헌>
심미혜. 2006. 미국 교육과 아메리칸 커피. 솔 출판사.
코모토 요시코. 2007. 스웨덴 쑥쑥 교육. 임선애 역. 홍익 출판사.
피터 드러커(Peter F. Druker). 2002. Next Society. 이재규 역. 한국경제신문.
정종화. ″영국 교육구조의 특징과 과외교육 ″.
소경희. ″프랑스의 학교교육 어떻게 하고 있는가 ″.
마석한. ″독일의 학교교육 ″.
소형석. ″미국의 학교교육 ″.
http://cafe.naver.com/nonmoonnara/1110

추천자료

  • 가격1,5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9.09.08
  • 저작시기2009.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5166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