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분비선의 종류와 기능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내분비선의 종류와 기능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시상하부

2.뇌하수체
전엽
후엽

3.부신
피질
수질

4.갑상선과 부갑상선
갑상선
부갑상선
갑상선 질환

5 췌장 -랑게르한스섬

6.생식소및 태반

7.송과선

8.흉선

9.위장관

본문내용

겐은 간에서 구조를 변형시켜 오줌을 통해 내보낸다.
- 역할 : 여성의 이차성징의 원인이 되어 가슴을 나오게 하고 성기를 성숙하게하며 몸매에도 영향을 준다, 여포자극호르몬(FSH)와 황체형성호르몬(LH), 프로게스테론과 함께 작용하여 자궁벽의 두께를 조절하고 배란에 관여한다.(생식주기 조절)
- 종류
*에스트라디올(estradiol) - 암컷의 생식선을 발달시켜 2차·3차성징을 나타내는데, 특히 포유류에서 발정을 일으킨다. 세포핵에 들어가 새로운 단백질의 합성을 촉진하고, 세포의 증식을 일으키는 작용이 있다. 의약품으로 시판되고 있는 여성호르몬은 이 에스트라디올이며, 난소나 자궁의 발육부전을 비롯해 갱년기장애·월경불순·월경과다·무월경·기능성 불임증·노년성 질염 등에 쓰인다
*에스트리올(estriol) -임신중 분비되는 에스트로겐으로 태반에 의해 분비된다.
*에스트론(estron) - 폐경이후에 생성되는 에스트로겐으로 지방세포에 의해 생성된다.
②프로게스테론
- 여성의 난소의 황체에서 분비되지만 임신중에는 태반에서 분비되기도 한다.
- 뇌하수체의 황체형성호르몬(LH)에 의해 조절되며 성숙된 여포에서 배란이 끝나 황체가 형성되면 프로게스테론이 분비된다.
- 작용 : 자궁벽에 작용하여 자궁벽 두께를 두껍게 만들어 수정란 착상되기 좋은 환경을 만들어 준다. 임신이 안 될 시에는 에스트로겐을 억제하여 생식주기가 다시 처음 단계로 돌아가도록 만드는 역할을 한다. 만일 임신이 되면 황체가 계속 존재하여 프로게스테론을 분비함으로써 임신이 계속 유지되며 이후 황체가 없어져도 태반이 프로게스테론을 분비한다. 체온상승, 혈당조절, 체지방감소, 이뇨작용에도 영향을 준다,
(3)태반(placenta)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을 분비하며 성장호르몬, 프로락틴과 유사한 체유선자극호르몬, LH와 유사한 사람 융모성 성선자극호르몬 등을 분비한다.
7. 송과선(pineal gland)
- 간뇌 제 3뇌실 후상방 에 위치해 있으며 교감신경계에 의해 강하게 자극을 받는다.
- 멜라토닌(melatonin) 송과선의 중요 호르몬으로 교감신경의 활성을 통해 시상하부의 시신경교차상핵(SCN)의 활성에 의해 자극받는다. SCN은 신체의 일주기 리듬을 관장하는 주요 센터이다.
- 멜라토닌은 어두워지면 분비량이 증가하고 낮동안에는 눈의 망막에 이어서 시상하부에 이르는 신경회로가 SCN의 활성을 억제시킴으로써 송과선의 교감신경자극과 멜라토닌 분비를 감소시킨다.
- 멜라토닌은 생식선 자극 호르몬의 분비를 억제하는 작용을 하는데 실제로 동물의 경우 번식 기간중 성선의 성숙에 멜라토닌의 분비 감소가 필요하다. 사람의 경우에도 멜라토닌의 분비는 어린이에게서 가장 높고 사춘기가 끝날 무렵 최저치로 떨어진다. 이 현상은 멜라토닌이 사람의 사춘기 시작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8.흉선(thymus)
- 흉선은 대동맥 앞과 흉골병 뒤에 위치한 두개의 엽으로 된 기관으로 신생아와 아이에서는 비교적 크지만 사춘기가 지나면 현저히 퇴화된다.
- 흉선은 T세포의 생성부위이고 T세포는 세포매개성 면역에 관련된 림프구이다.
- 흉선의 티모포에이틴호르몬은 림프절에 작용하여 백혈구 생성을 촉진한다.
9.위장관
- 위장관 호르몬은 위장관의 운동, 분비, 흡수, 소화등의 기능 조절에 관여 하고 있다.
- 세크레틴(secretin)은 장에서 분비되며 혈액을 통해 췌장에 작용하여 췌장액의 분비를 자극한다.
- 가스트린(gastrin)은 위의 유문부에서 분비되며 위액 분비를 촉진시킨다.
- 콜레시스토키닌은 위산이나 지방산이 십이지장으로 유입되면 소장벽이 자극되어 분비되는데 이자액 분비촉진. 세크레틴과 쓸개즙 분비를 촉진한다.
  • 가격1,3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9.09.16
  • 저작시기2008.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5282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