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보존과학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문화재보존과학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피해를 줄 수 있기 때문에 전시케이스와 격리된 곳에 설치하거나 광섬유를 통한 장치를 이용한다.
④ 상태 점검
문화재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가장 중요한 일은 작품의 이상 여부를 정기적으로 점검하는 일이다. 이상이 발생하면 즉시 전문가에게 의뢰하여 피해를 최소화해야한다. 그리고 위급사태에 대비하여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필요하다.
3. 자연적 손상 방지
① 온습도
문화재는 고온의 환경일수록 화학적 반응이 활발해지므로 산화반응에 따른 변화가 더 용이하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몇 가지 예외적인 재질을 제외하고는 저온에 보관하는 것이 적합하다. 그러나 박물관에서는 이용자를 고려하여 20℃ 전후로 맞추어 주는 것이 일반적이다.
습도는 상대습도 50% 정도로 전시실 습도를 잡고 있다. 그 외에도 별도로 제습이나 가습장치가 필요하다. 특히 습도는 재질에 따라 다양한 보존 환경이 요구된다. 예를 들어 금속은 상대습도 40%이상에서 녹이 생길 수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종이나 나무 재질의 경우에는 낮은 습도에서 성질이 변한다. 그리고 도자기나 석재는 습도에 별 영향을 받지 않는다. 따라서 한 문화재에 이런 물질이 복합되어 있는 경우에는 습도 조건을 결정할 때 충분히 따져 보아야 한다.
② 빛
전시장에서 사용하는 형광등은 자외선이 제거된 것을 사용하거나 일반 형광튜브에 반드시 자외선 필터를 부착하여 사용한다. 자연광을 조면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창문에 자외선 차단 필터를 부착한다. 진열장 외부의 조명의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불필요한 조면은 꺼두며 조명시 진열장 유리나 액자 표면에 UV필터를 부착해야 한다.
③ 공해요소
먼지를 줄이기 위해서는 정기적으로 진공청소기를 이용한다. 특히 박물관ㅇ에 관람객이 많이 모이는 곳에서는 특별한 대책이 필요하다. 정전기를 이용한 분진 흡수 융단을 깐다거나 관람객의 소유물을 제한하는 방법 등이 있다. 유해 가스의 유입은 주변 환경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가스 필터를 이용한 공기 정화가 유일한 방법이다.
④ 생물학적 피해 예방
곤충에 의한 피해는 야외의 유물뿐만 아니라 작품고에 있는 문화재에 피해를 줄 수 있다. 그러나 무분별한 훈증은 사람에게도 나쁜 영향을 줄 뿐만 아니라 경제적 부담이나 환경파괴 등의 결과가 발생할 수 있다. 그래서 요즘에는 해충관리 시스템 IPM이 도입되고 있다. 이것은 해충의 생활사, 천적, 환경과의 상호작용 등의 정보를 통하여 훈증의 시기를 결정한다.
  • 가격2,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9.09.21
  • 저작시기2009.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5357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