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목차
1. ADHD 유병률
2. ADHD 발생원인
3. ADHD 진단과 증상
4. 조력방안
5. 집단지도 및 상담 프로그램
6. 치료
7. 사례
8. 전망
9. 결론
2. ADHD 발생원인
3. ADHD 진단과 증상
4. 조력방안
5. 집단지도 및 상담 프로그램
6. 치료
7. 사례
8. 전망
9. 결론
본문내용
수 있다. 학교-가정 연계 관리 프로그램을 조정한다. 학교 행동과 학업성적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 약물 효과에 대해서 의사와 협의해야 한다. 의사와 학교를 연결하는 사람이 있다는 것은 효과적인 약물 모니터링을 가능하게 해주기 때문에 좋은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그러므로 사례 관리자는 약물 치료 초기 평가 시 아동의 학교 성적 변화에 대한 정보를 의사와 논의 해야 한다. 학교와 지역사회 서비스를 적절히 받을 수 있도록 아동을 옹호하고 대변하는 역할을 해야 한다. 사례 관리자는 ADHD 학생이 최근에 받았던 서비스와 더 필요로 하는 서비스의 유형에 대한 전체적인 안목을 발달시켜야 한다. 현재 하고 있는 서비스와 필요한 서비스 간의 차이가 발견되면 사례 관리자는 적절한 치료 팀원(예: 학교 행정가, 부모)과 함께 아동의 교육 프로그램과 지역 프로그램에 대한 개선을 주장해야 한다.
4. ADHD에 대한 예비교사 훈련
ADHD 아동의 부모가 종종 하는 불평은 교사들이 ADHD학생을 어떻게 다루어야 하는지에 대한 지식이 없다는 것이다. 많은 교사들, 특히 일반학급 교사들은 ADHD학생들을 다루면서 자신들의 한계를 지속적으로 느끼고 있다.
비록 ADHD에 대한 예비교사 훈련이 이러한 아동을 다루는 교사의 관리능력을 높일 수 있다 하더라도 이 주장을 지지해 주는 경험적인 자료가 현재 없다. 따라서 ADHD에 대한 예비교사 훈련에 대한 효과성을 세밀하게 조사되어야 한다. 특히, 어떤 훈련 활동이 지식수준을 높여 주고 교수와 관리 기술을 증진시키는가? 설명적인 강의와 자료 읽기, 실습하는 과정이 교사가 효과적으로 이러한 아이들을 다루는 준비를 하는 데 충분할 것인가? 다른 훈련 양식(예: ADHD아동을 위한 학교 현장 실습)이 적절한 기술을 가르치는 데 필요한가? 교사들에 대한 절한 사전 훈련은 ADHD학생에게 예방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궁극적으로 훗날 더 많은 비용과 강도 높은 프로그램을 사용해야 하는 필요를 덜어 줄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질문은 매우 중요하다.
5. ADHD에 관한 학교 현장 연구
비록 ADHD에 대한 다양한 행동적, 인지-행동적 중재법이 경험적 연구에서 효과적이라 밝혀졌지만, 여전히 이들의 학교 성적을 높이기 위한 방법에 대해서 알아야 할 것이 많이 남아 있다.
ADHD연구자들은 학교 장면에서 ADHD아동을 다루는 다양한 방법들을 개발하고 평가해야 한다. 새로운 방법은 단지 학생의 문제 행동을 통제하는 것보다 교육적으로 바람직한 성과를 거두는 것을 목표로 해야 한다. 예컨대, 또래 중재와 컴퓨터 매개 학습이 있다. 이러한 기법은 ADHD학생에게 상당히 유망하지만 상세히 연구되지 못했다. ADHD증상을 개선하고 학교 상담자에게 수용될 수 있는 중재 전력을 찾기 위한 연구가 진지하게 계속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ADHD아동이 어떤 조건하에서 어떻게 특수교육의 대상자가 될 수 있는지에 대한 근거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일반적으로, 자격 조건에 대한 지침이 모호하다. ADHD학생이 특수교육을 받아야 하는지는 보통 학교가 결정하게 된다. 특수교육 결정을 수월하게 하고 효과적인 프로그램을 이끄는 경험적인 지침이 존재해야 한다. 어떠한 상황에서 ADHD아동은 특수교육으로 볼 수 있을까? 특수교육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어떤 평가 방법을 사용해야 하는가? 지역사회 전문가(의사)는 그러한 결정을 하는 데 있어 어떤 역할을 하는가? ADHD학생들을 위한 특수 교육 프로그램에는 어떠한 중재 방법과 요소가 포함되어야 하는가? 이러한 중재/개입은 학습 장애와 정서장애로 진단된 학생들을 위해 활용되는 것과는 어떻게 다른가? 확실히 이러한 문제는 더 연구되어야 한다.
9. 결 론
지난 몇 년간 ADHD에 대한 이해는 크게 높아졌지만, ADHD 아동이 학교에서 성공하는데 여전히 많은 어려움을 겪는다는 것은 안타까운 현실이다 이러한 상황을 개선하기 위해 두 가지 주요 영역에서 변화가 있어야 한다. 우선, 교육 분야에 있는 현장 전문가들은 ADHD학생의 문제를 이해하고 이에 대한 인식을 높여야 한다. ADHD아동을 다루는 전문가도 유능해지도록 교육을 실시해야 한다. 학교의 여러 상황에서 ADHD아동을 만날 수 있다. 그러므로 모든 교사는 이러한 아동을 판별하고, 그들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교육 프로그램을 구안하여, 그들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교육 프로그램을 구안하여, 그들이 성공적이고 유능한 시민이 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는 최소한의 능력을 갖추어야 한다. 둘째, ADHD아동을 평가하고 교육하는 방법이 개선되어야 한다. 평과 과정의 생태학적 타당성을 높이기 위해 부모나 교사가 제공하는 단순한 진술이나 관찰을 넘어서는 ‘평가 방법론’이 개발되어야 한다. 셋째, 치료 자체로도 효과적이면서 비용이 높지 않고, 수요자들에게도 받아들여질 만한 중재/개입방법이 절실히 필요하다. 따라서 ADHD 아동의 학업 성취를 장기적으로 개선 할 수 있는 중재 방법을 찾는 연구에 도전해야 한다. 앞으로 이러한 이상적인 모습이 나타날 때까지 ADHD아동의 교육성과를 개선시키기 위한 많은 제언들이 지침이 될 것이다.
참고문헌
1. Dupaul, G. J., & Stoner G. (2007). ADHD 학교상담[ADHD in the Schools]. (김동일 역) 서울 : 학지사. (원전은 2003년에 출판)
2. Campbell, S. B. (2007). 유아의 문제행동[BEHAVIOR PROBLEMS IN PRESCHOOL CHILDREN]. (민성혜 역) 서울 : 시그마프레스
3. 이양희, 김여경 (2004). 유아의 반사회적 행동 중재를 위한 사회기술훈련
프로그램의 개발,,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11, No. 3, 251~176.
4. 채규만, 장은진, 김도연 (2007). 주의산만 아동의 학습 및 치료 지침서,.
특수교육.
5. 박형배 (2007). ADHD학생을 돕기위한 교사와 부모의 역할. 서울 :
GTI코리아.
6. Everett, C. A. (2006). ADHD 가족치료[Family therapy for ADHD].
(김동일 역). 서울 : 학지사
4. ADHD에 대한 예비교사 훈련
ADHD 아동의 부모가 종종 하는 불평은 교사들이 ADHD학생을 어떻게 다루어야 하는지에 대한 지식이 없다는 것이다. 많은 교사들, 특히 일반학급 교사들은 ADHD학생들을 다루면서 자신들의 한계를 지속적으로 느끼고 있다.
비록 ADHD에 대한 예비교사 훈련이 이러한 아동을 다루는 교사의 관리능력을 높일 수 있다 하더라도 이 주장을 지지해 주는 경험적인 자료가 현재 없다. 따라서 ADHD에 대한 예비교사 훈련에 대한 효과성을 세밀하게 조사되어야 한다. 특히, 어떤 훈련 활동이 지식수준을 높여 주고 교수와 관리 기술을 증진시키는가? 설명적인 강의와 자료 읽기, 실습하는 과정이 교사가 효과적으로 이러한 아이들을 다루는 준비를 하는 데 충분할 것인가? 다른 훈련 양식(예: ADHD아동을 위한 학교 현장 실습)이 적절한 기술을 가르치는 데 필요한가? 교사들에 대한 절한 사전 훈련은 ADHD학생에게 예방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궁극적으로 훗날 더 많은 비용과 강도 높은 프로그램을 사용해야 하는 필요를 덜어 줄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질문은 매우 중요하다.
5. ADHD에 관한 학교 현장 연구
비록 ADHD에 대한 다양한 행동적, 인지-행동적 중재법이 경험적 연구에서 효과적이라 밝혀졌지만, 여전히 이들의 학교 성적을 높이기 위한 방법에 대해서 알아야 할 것이 많이 남아 있다.
ADHD연구자들은 학교 장면에서 ADHD아동을 다루는 다양한 방법들을 개발하고 평가해야 한다. 새로운 방법은 단지 학생의 문제 행동을 통제하는 것보다 교육적으로 바람직한 성과를 거두는 것을 목표로 해야 한다. 예컨대, 또래 중재와 컴퓨터 매개 학습이 있다. 이러한 기법은 ADHD학생에게 상당히 유망하지만 상세히 연구되지 못했다. ADHD증상을 개선하고 학교 상담자에게 수용될 수 있는 중재 전력을 찾기 위한 연구가 진지하게 계속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ADHD아동이 어떤 조건하에서 어떻게 특수교육의 대상자가 될 수 있는지에 대한 근거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일반적으로, 자격 조건에 대한 지침이 모호하다. ADHD학생이 특수교육을 받아야 하는지는 보통 학교가 결정하게 된다. 특수교육 결정을 수월하게 하고 효과적인 프로그램을 이끄는 경험적인 지침이 존재해야 한다. 어떠한 상황에서 ADHD아동은 특수교육으로 볼 수 있을까? 특수교육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어떤 평가 방법을 사용해야 하는가? 지역사회 전문가(의사)는 그러한 결정을 하는 데 있어 어떤 역할을 하는가? ADHD학생들을 위한 특수 교육 프로그램에는 어떠한 중재 방법과 요소가 포함되어야 하는가? 이러한 중재/개입은 학습 장애와 정서장애로 진단된 학생들을 위해 활용되는 것과는 어떻게 다른가? 확실히 이러한 문제는 더 연구되어야 한다.
9. 결 론
지난 몇 년간 ADHD에 대한 이해는 크게 높아졌지만, ADHD 아동이 학교에서 성공하는데 여전히 많은 어려움을 겪는다는 것은 안타까운 현실이다 이러한 상황을 개선하기 위해 두 가지 주요 영역에서 변화가 있어야 한다. 우선, 교육 분야에 있는 현장 전문가들은 ADHD학생의 문제를 이해하고 이에 대한 인식을 높여야 한다. ADHD아동을 다루는 전문가도 유능해지도록 교육을 실시해야 한다. 학교의 여러 상황에서 ADHD아동을 만날 수 있다. 그러므로 모든 교사는 이러한 아동을 판별하고, 그들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교육 프로그램을 구안하여, 그들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교육 프로그램을 구안하여, 그들이 성공적이고 유능한 시민이 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는 최소한의 능력을 갖추어야 한다. 둘째, ADHD아동을 평가하고 교육하는 방법이 개선되어야 한다. 평과 과정의 생태학적 타당성을 높이기 위해 부모나 교사가 제공하는 단순한 진술이나 관찰을 넘어서는 ‘평가 방법론’이 개발되어야 한다. 셋째, 치료 자체로도 효과적이면서 비용이 높지 않고, 수요자들에게도 받아들여질 만한 중재/개입방법이 절실히 필요하다. 따라서 ADHD 아동의 학업 성취를 장기적으로 개선 할 수 있는 중재 방법을 찾는 연구에 도전해야 한다. 앞으로 이러한 이상적인 모습이 나타날 때까지 ADHD아동의 교육성과를 개선시키기 위한 많은 제언들이 지침이 될 것이다.
참고문헌
1. Dupaul, G. J., & Stoner G. (2007). ADHD 학교상담[ADHD in the Schools]. (김동일 역) 서울 : 학지사. (원전은 2003년에 출판)
2. Campbell, S. B. (2007). 유아의 문제행동[BEHAVIOR PROBLEMS IN PRESCHOOL CHILDREN]. (민성혜 역) 서울 : 시그마프레스
3. 이양희, 김여경 (2004). 유아의 반사회적 행동 중재를 위한 사회기술훈련
프로그램의 개발,,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11, No. 3, 251~176.
4. 채규만, 장은진, 김도연 (2007). 주의산만 아동의 학습 및 치료 지침서,.
특수교육.
5. 박형배 (2007). ADHD학생을 돕기위한 교사와 부모의 역할. 서울 :
GTI코리아.
6. Everett, C. A. (2006). ADHD 가족치료[Family therapy for ADHD].
(김동일 역). 서울 : 학지사
추천자료
[유아교육 아동발달] 유아건강 교육의 내용 및 방법
[아동복지B형]아동복지 서비스 중 보완적 서비스- 영유아보육서비스
(유아교육 아동복지) 영유아보육시설의 현황과 문제점 및 발전방안
아동문학과 영유아의 발달은 매우 깊은 연관성이 있습니다. 사회 정서적 발달과 아동문학과의...
[언어지도] 유아문학교육의 기초 - 문학, 아동문학과 유아문학, 문학교육, 유아문학교육
아동복지법과 영유아보육법에 의해서 현재 우리나라에서 제공되고 있는 아동복지 서비스는 어...
영유아시기에 아동수학교육의 유래 및 필요성, 아동수학교육의 내용과 방법에 대해 서술하시오.
[아동정신건강론 兒童精神健康論] 유아기와 아동기에 나타날 수 있는 문제들
고위험모아간호학] 2016 고위험모아간호학 죽음 앞둔아동 의사소통 유념할점 아동발달단계별 ...
[아동건강과교육] 아동의 건강에 미치는 요인을 설명하고 유아교사라면 어떤 도움을 줄지 사...
아동과학지도의 의미와 표준보육과정에 근거하여 누리과정의 과학활동(자연탐구영역)의 내용,...
[아동건강교육 B형] 2015년 이후 유아 안전교육 관련 기사를 2개 논문 1개를 찾아 요약하고 ...
아동건강교육-2013이후 영유아 건강관련 기사 2개와 논문1개를 찾아 요약하고 유아교육현장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