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태아발달과정 ◈
◎임신1-2개월
◎임신 3개월
◎임신4개월
◎임신 5개월
◎임신6개월
◎임신7개월
◎임신 8개월
◎임신 9개월
◎임신10개월
※ 태아발달과정모형
◈ 태아 혈액 순환 모형 ◈
1. 태아 혈관 계통의 특징
2. 태아의 동맥 계통
3. 태아의 정맥 계통
4. 태아의 혈액순환
◎임신1-2개월
◎임신 3개월
◎임신4개월
◎임신 5개월
◎임신6개월
◎임신7개월
◎임신 8개월
◎임신 9개월
◎임신10개월
※ 태아발달과정모형
◈ 태아 혈액 순환 모형 ◈
1. 태아 혈관 계통의 특징
2. 태아의 동맥 계통
3. 태아의 정맥 계통
4. 태아의 혈액순환
본문내용
있으며, 각각 자궁과 태아를 가지고 있으며 각각의 모델들은 1개월, 2개월, 3개월, 4개월, 5개월, 6개월, 쌍둥이, 7개월의 태아의 모양이다. 1개월, 2개월, 3개월 태아의 모형은 크기가 너무 작아 자궁과 함께 만들어져 있으며, 분리가 되지 않고, 또한 4개월, 5개월, 6개월, 쌍둥이, 7개월 사이즈의 모형들은 태아가 분리 가능하다.
1. 임신 1개월 태아모형
2. 임신 2개월 태아모형
3. 임신 3개월 태아모형
4. 임신 4개월 태아모형 (복부태위)
5. 임신 5개월 태아모형 (둔위, 볼기태위)
6. 임신 6개월 태아모형 (등부태위)
7. 임신 5개월 쌍둥이 태아모형 (정상태위)
8. 임신 7개월 태아모형 (정상태위)
◈ 태아 혈액 순환 모형 ◈
1. 태아 혈관 계통의 특징
태아 심장의 주된 특징은 좌우심방이 타원구멍을 통하여 직접적인 교통을 하고 있는 점과 아래대정맥판막의 크기가 큰 것이다. 타원구명은 심방 사이막의 아래 부위에 있으며, 이를 통해 태생기의 말기까지 양쪽 심방 사이의 자유로운 교통이 이루어지며, 둘째 사이막은 심방의 윗벽에서부터 타원구멍이 있는 첫째 사이막의 오른쪽으로 자라 내려온다. 출생 후 바로 두 사이막은 융합되어 타원구멍이 막히게 된다.
아래 대정맥판막은 혈액을 아래 대정맥에서 타원구멍을 통해 직접 좌심방으로 가도록 도와준다.
2. 태아의 동맥 계통
① 특징 : 허파동맥과 대동맥 사이에 동맥관이 있어서 서로 교통하는 점과 속장골동맥이 배꼽동맥으로 이어져 태반에 연결되는 점이다.
② 동맥관 : 출생 시 길이 약 1.25cm, 지름 4.4mm의 짧은 관이며 초기에는 허파동맥의 연장처럼 시작하여 대동맥에서 쇄골하동맥이 갈라져 나간 바로 뒤 부분에 연결된다.
③ 우심실에서 나온 혈액의 대부분은 동맥관을 지나서 하행대동맥으로 간다. 허파동맥의 가지들이 동맥관 보다 굵으면, 동맥관은 대체로 좌허파동맥으로 연결된다.
④ 속장골동맥은 방광의 양쪽 옆을 따라가 앞 배벽속면으로 이어져 배꼽을 향해 올라가며 앞 배벽의 배꼽을 빠져나와 탯줄의 배꼽동맥을 통해 태반으로 가며, 배꼽동맥은 동맥계통으로부터 태반까지 혈액을 운반한다.
3. 태아의 정맥 계통
태아 정맥 계통의 특징은 배꼽정맥을 통하여 태반과 간 그리고 문맥이 연결되어 있는 점과 정맥관에 의해 배꼽정맥과 하대정맥이 연결되어 있는 것이다.
4. 태아의 혈액순환
태아는 자기 폐로 호흡할 필요가 없이, 독특한 혈액순환을 하고 있다. 즉 우심방 혈액의 절반은 난원공을 통해 직접 좌심방으로 들어가고 좌심실을 거쳐 대동맥으로 전신을 순환한다. 나머지 반은 우심방에서 우심실을 거쳐 폐동맥으로 들어가는데, 대동맥과의 사이에 있는 보탈로관으로부터 대동맥으로 흘러 들어가고 폐에는 혈액이 거의 가지 않을 뿐만 아니라 심장의 좌우 모두 거의 같은 양의 혈액이 흐르도록 되어 있다. 또 전신을 돈 혈액은 제동맥(臍動脈)을 거쳐 태반에 이르러 모체혈액과의 사이에서 물질교환이 이루어져, 노폐물을 건네주고 산소나 영양을 얻은 혈액은 제정맥을 거쳐 태아의 간을 거쳐 우심방으로 들어간다.
1. 임신 1개월 태아모형
2. 임신 2개월 태아모형
3. 임신 3개월 태아모형
4. 임신 4개월 태아모형 (복부태위)
5. 임신 5개월 태아모형 (둔위, 볼기태위)
6. 임신 6개월 태아모형 (등부태위)
7. 임신 5개월 쌍둥이 태아모형 (정상태위)
8. 임신 7개월 태아모형 (정상태위)
◈ 태아 혈액 순환 모형 ◈
1. 태아 혈관 계통의 특징
태아 심장의 주된 특징은 좌우심방이 타원구멍을 통하여 직접적인 교통을 하고 있는 점과 아래대정맥판막의 크기가 큰 것이다. 타원구명은 심방 사이막의 아래 부위에 있으며, 이를 통해 태생기의 말기까지 양쪽 심방 사이의 자유로운 교통이 이루어지며, 둘째 사이막은 심방의 윗벽에서부터 타원구멍이 있는 첫째 사이막의 오른쪽으로 자라 내려온다. 출생 후 바로 두 사이막은 융합되어 타원구멍이 막히게 된다.
아래 대정맥판막은 혈액을 아래 대정맥에서 타원구멍을 통해 직접 좌심방으로 가도록 도와준다.
2. 태아의 동맥 계통
① 특징 : 허파동맥과 대동맥 사이에 동맥관이 있어서 서로 교통하는 점과 속장골동맥이 배꼽동맥으로 이어져 태반에 연결되는 점이다.
② 동맥관 : 출생 시 길이 약 1.25cm, 지름 4.4mm의 짧은 관이며 초기에는 허파동맥의 연장처럼 시작하여 대동맥에서 쇄골하동맥이 갈라져 나간 바로 뒤 부분에 연결된다.
③ 우심실에서 나온 혈액의 대부분은 동맥관을 지나서 하행대동맥으로 간다. 허파동맥의 가지들이 동맥관 보다 굵으면, 동맥관은 대체로 좌허파동맥으로 연결된다.
④ 속장골동맥은 방광의 양쪽 옆을 따라가 앞 배벽속면으로 이어져 배꼽을 향해 올라가며 앞 배벽의 배꼽을 빠져나와 탯줄의 배꼽동맥을 통해 태반으로 가며, 배꼽동맥은 동맥계통으로부터 태반까지 혈액을 운반한다.
3. 태아의 정맥 계통
태아 정맥 계통의 특징은 배꼽정맥을 통하여 태반과 간 그리고 문맥이 연결되어 있는 점과 정맥관에 의해 배꼽정맥과 하대정맥이 연결되어 있는 것이다.
4. 태아의 혈액순환
태아는 자기 폐로 호흡할 필요가 없이, 독특한 혈액순환을 하고 있다. 즉 우심방 혈액의 절반은 난원공을 통해 직접 좌심방으로 들어가고 좌심실을 거쳐 대동맥으로 전신을 순환한다. 나머지 반은 우심방에서 우심실을 거쳐 폐동맥으로 들어가는데, 대동맥과의 사이에 있는 보탈로관으로부터 대동맥으로 흘러 들어가고 폐에는 혈액이 거의 가지 않을 뿐만 아니라 심장의 좌우 모두 거의 같은 양의 혈액이 흐르도록 되어 있다. 또 전신을 돈 혈액은 제동맥(臍動脈)을 거쳐 태반에 이르러 모체혈액과의 사이에서 물질교환이 이루어져, 노폐물을 건네주고 산소나 영양을 얻은 혈액은 제정맥을 거쳐 태아의 간을 거쳐 우심방으로 들어간다.
키워드
추천자료
웹기반의 원격교육시스템을 이용한 혈액투석환자간호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효과
신생아의 호흡기계와 순환기계
순환기계 프리레포트 및 관련 의학용어 정리
혈액의 구조와 기능
여성건강간호학 21,22,24장 요약정리
순환기계 구조와 기능
투석(복막투석, 혈액투석) 레포트
혈액 및 면역계 건강문제가 있는 아동
[수혈][수혈 과정][수혈 부작용][수혈 주의사항][성인 수혈시 간호][아동 수혈시 간호][수혈 ...
모성케이스스터디- 정상자연분만(NSVD)
[모성의 개념과 특징] 모성 (母性) - 모성의 개념, 동양의 모성, 서양의 모성, 모성에 대한 이해
고 빌리루빈혈증과 간호(용혈성 질환) 1) 신생아 용혈성 질환의 정의 2) 혈액부적합증 3) 임...
기초간호과학]1종양이 인체에 미치는 국소 영향과 전신 영향 종양의 병기 악성종양 TNM분류방...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