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넣어서 감두탕을 만드니 시험함에 기묘하였다.
及兒胎毒, 以致尊爲國老。
신생아 태독에는 감초를 존칭하여 국로로 삼았다.
然使脾胃虛寒, 及或挾有水氣脹滿等症, 服此最屬不宜。
그러나 비위가 허한하거나 혹은 수기를 끼고 창만된느 등의 증상은 감초를 복용함이 가장 의당하지 않음에 속한다.
未可云其補脾, 而凡脾胃虛寒, 皆可得而服也。
감초는 비를 보한다고 말할수 없는데 비위허한은 모두 얻어서 복용할 수 있다.
若使滿屬虛致, 則甘又能瀉滿, 不可不知。
만약 창만은 허증에 속하므로 감미는 또한 창만을 사할 수 있음을 알지 않으면 안 된다.
(王好古曰:甘者令人中滿, 中滿者勿食甘, 甘緩而壅氣, 非中滿所宜也。)
왕호고가 말하길 감미는 사람으로 하여금 중초가 창만하게 하며 중초창만은 감미를 먹을 수 없으니 감미는 완화하며 기를 막으니 중초팽만에 의당하지 않다.
(凡不滿而用炙甘草, 爲之補。)
창만이 없는데 구운감초를 사용함이 보법이 된다.
(若中滿而用生甘草, 爲之瀉, 能引甘藥直至滿所。)
만약 중초창만에 생감초를 사용하여 사법이 되면 감미약을 인경하여 직접 창만의 장소에 이르게 한다.
(甘味入脾, 歸其所喜, 此升降浮之理也。)
감미가 비에 들어가면 좋아함에 돌아가니 이는 승강부침의 이치이다.
(經云 以甘補之, 以甘瀉之, 以甘緩之是矣。)
내경에서 말하길 감미로 보하며 감미로써 사하며 감미로 완화함이 이것이다.
甘草梢止莖中痛。
감초가지는 음경속에 깔깔하고 아픔을 멎게 한다.
(氣行於下。)
감초는 기를 아래로 운행케 한다.
甘草節消癰疽腫, 及除胸熱。
감초마디는 옹저의 화끈거리는 종기를 소멸하며 흉부열을 제거한다.
(節行節處。)
약 마디는 관절의 곳에 운행한다.
功各有宜, 但用宜取大而且結。
감초의 공로가 각자 의당함이 있으니 단지 크게 취함이 의당하며 또한 결체된다.
至書所載, 甘草反大戟, 花, 甘遂。
책에 기재되길 감초는 대극, 완화, 감수와 상반한다고 했다.
又云 亦有用不悖, 惟深達精微者始可知之。
또한 말하길 또한 병용함에 어그러지지 않으니 오직 깊이 정미로움에 도달한 사람만 비로소 알 수 있다.
(如古治痰癖, 有用十棗湯加甘草。)
고대에 담벽을 치료함에 십조탕에 감초를 가미하여 사용하였다.
(東垣治結核, 與海藻同用。)
이동원이 결체된 핵을 치료함에 감초를 해조와 함께 같이 사용하였다.
(丹溪治蓮心, 與花同用, 皆以反其下勢之銳。)
주단계가 노채를 치료하는 연심음에 감초를 완화와 함께 사용하니 모두 아래로 가는 세력의 날카로움과 상반한다.
及兒胎毒, 以致尊爲國老。
신생아 태독에는 감초를 존칭하여 국로로 삼았다.
然使脾胃虛寒, 及或挾有水氣脹滿等症, 服此最屬不宜。
그러나 비위가 허한하거나 혹은 수기를 끼고 창만된느 등의 증상은 감초를 복용함이 가장 의당하지 않음에 속한다.
未可云其補脾, 而凡脾胃虛寒, 皆可得而服也。
감초는 비를 보한다고 말할수 없는데 비위허한은 모두 얻어서 복용할 수 있다.
若使滿屬虛致, 則甘又能瀉滿, 不可不知。
만약 창만은 허증에 속하므로 감미는 또한 창만을 사할 수 있음을 알지 않으면 안 된다.
(王好古曰:甘者令人中滿, 中滿者勿食甘, 甘緩而壅氣, 非中滿所宜也。)
왕호고가 말하길 감미는 사람으로 하여금 중초가 창만하게 하며 중초창만은 감미를 먹을 수 없으니 감미는 완화하며 기를 막으니 중초팽만에 의당하지 않다.
(凡不滿而用炙甘草, 爲之補。)
창만이 없는데 구운감초를 사용함이 보법이 된다.
(若中滿而用生甘草, 爲之瀉, 能引甘藥直至滿所。)
만약 중초창만에 생감초를 사용하여 사법이 되면 감미약을 인경하여 직접 창만의 장소에 이르게 한다.
(甘味入脾, 歸其所喜, 此升降浮之理也。)
감미가 비에 들어가면 좋아함에 돌아가니 이는 승강부침의 이치이다.
(經云 以甘補之, 以甘瀉之, 以甘緩之是矣。)
내경에서 말하길 감미로 보하며 감미로써 사하며 감미로 완화함이 이것이다.
甘草梢止莖中痛。
감초가지는 음경속에 깔깔하고 아픔을 멎게 한다.
(氣行於下。)
감초는 기를 아래로 운행케 한다.
甘草節消癰疽腫, 及除胸熱。
감초마디는 옹저의 화끈거리는 종기를 소멸하며 흉부열을 제거한다.
(節行節處。)
약 마디는 관절의 곳에 운행한다.
功各有宜, 但用宜取大而且結。
감초의 공로가 각자 의당함이 있으니 단지 크게 취함이 의당하며 또한 결체된다.
至書所載, 甘草反大戟, 花, 甘遂。
책에 기재되길 감초는 대극, 완화, 감수와 상반한다고 했다.
又云 亦有用不悖, 惟深達精微者始可知之。
또한 말하길 또한 병용함에 어그러지지 않으니 오직 깊이 정미로움에 도달한 사람만 비로소 알 수 있다.
(如古治痰癖, 有用十棗湯加甘草。)
고대에 담벽을 치료함에 십조탕에 감초를 가미하여 사용하였다.
(東垣治結核, 與海藻同用。)
이동원이 결체된 핵을 치료함에 감초를 해조와 함께 같이 사용하였다.
(丹溪治蓮心, 與花同用, 皆以反其下勢之銳。)
주단계가 노채를 치료하는 연심음에 감초를 완화와 함께 사용하니 모두 아래로 가는 세력의 날카로움과 상반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