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초를 넣어서 감두탕을 만드니 시험함에 기묘하였다.
及兒胎毒, 以致尊爲國老。
신생아 태독에는 감초를 존칭하여 국로로 삼았다.
然使脾胃虛寒, 及或挾有水氣脹滿等症, 服此最屬不宜。
그러나 비위가 허한하거나 혹은 수기를 끼고 창만된느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9.10.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위유는 감미와 평기로, 비록 중초를 보하며 기를 더하나 바탕이 윤택하며 담미로 단지 폐를 윤택하여 기침을 멎게 하며 풍습사를 치료하나 폐분의 기약이 아니다.
故書載參益土生金, 明目開心, 益智添精, 助神定驚止悸。
그래서 책에는 인삼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4,000원
- 등록일 2009.09.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위유, 우방근
(主勞。)
궁궁, 지모, 위유, 우방근은 함께 노학을 주치한다.
當歸
당귀
(水煎,日服。)
당귀는 물에 달여 날마다 복용한다.
地黃
지황
菖蒲
창포
玄參
현삼
紫參
자삼
白及
백급
胡黃連
호황련
女靑
여청
防己
방기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7.03.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감초, 작약과 함께 달여 복용한다.
茅根 地筋
모근 지근
(客熱在腸胃。)
모근과 지근은 객열이 위장에 있음을 치료한다.
甘蕉根 菰 菰(향초, 부추, 외롭다 고; 艸-총12획; gu)
根 蘆根 天花粉
감초근 고근 노근 천화분
( 主大熱煩渴。)
감초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7.03.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위유습담이니 사혈자면 이진탕에 가이출 홍화 도인하며 소가부자하야 이행경이니라.
열손가락이 마목되면 위에 습담이 있으니, 죽은 혈이 있으면 이진탕에 창출 백출, 홍화, 도인을 가미하고 조금 부자를 가미하여 경락을 운행케 한다.
○左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400원
- 등록일 2006.02.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