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하고 허열을 제거한다. 황기는 땀이 없으면 발한하고 땀이 있으면 그치게 한다.
人參
(與黃、甘草三味,爲益氣瀉火、除肌熱躁熱之聖藥, 甘溫除大熱也。)
인삼은 황기 감초와 함께 3약미가 기를 더하고 화를 끄게 되니, 기육의 열과 조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7.03.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내복단에서 현정석을 사용함은 오로지 1양이 다시 오는 뜻이니 한증을 한성을 원인하여 사용하니 깊이 신농본초경의 여러 치료의 오묘함을 얻었다. 하사 석연 석헤 사황 벽력첩 식염 융염 석감 응수석 현정석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9.08.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본초강목\" 과 같은 것으로 각종 약초가 그림으로 잘 나타나 있으며 약효에 대해 상세히 기록하고 있다. 특히 허벌리스트 존 제라드가 1597년에 저술한 식물의 이야기는 오늘날까지 허브의 역사를 전하는 귀중한 자료가 되고 있다. 한편 약용으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09.04.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응수석
(時氣熱盛。)
응수석은 유행성 열의 치성을 치료한다.
雄黃
웅황
(傷寒咳逆,煎酒服;燒煙熏 狐惑。)
웅황은 상한병 기침과 상역에 달인 술로 복용한다. 웅황을 태운 연기로 호혹병을 훈증한다.
食鹽
식염
(傷寒寒熱。)
식염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7.02.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식염을 물에 담가서 하루에 세 번 복용하길 3일하면 낫는다.
黃狗膽
황색 개담
(和五靈脂末,丸服。)
황구담은 오령지가루와 함께 환제로 복용한다.
狗屎中粟
개똥 속 좁쌀
(膈吐食,淘 淘(일, 씻다, 깨끗하게 헹구다 도; 水-총11획; tao)
淨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7.03.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