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흡기계의 병태생리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호흡기계의 병태생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침은 현저하지 않음
· 용해기 (8~9일) : 세균이 제거되고 염증 과정이 수그러들며 다형핵 백혈구 수가 줄어들어 폐는 정상적으로 회복됨
· 병태생리
· 증상, 치료
유형
임상증상
치료
폐렴 구균 폐렴
갑작스런 오한, 고열, 흉막동통, 전신권태감, 허약, 빈호흡, 빈맥, 백혈구 증가, X-ray상 단일 혹은 여러 엽 경화, 녹슨 혹은 혈액 섞인 화농성 객담에서 노란 점액성 객담으로 변화
· 주치료 : penicillin G, penicillin V
· 대안 : cephalosporin erythromycin
· 예방접종 가능
포도상구균 폐렴
갑작스런 열, 오한, 흉막동통, 호흡곤란, 나음, 호흡음 감소, 백혈구 증가, 화농성 혹은 혈액 섞인 객담과 기침, X-ray상 반점, 두통, 기침
· 주치료 : nafcillin, oxacillin
· 대안 : cephalosporin, vancomycin
Hemophilus influenza 폐렴
폐렴 구균과 유사, 사과빛 혹은 연두빛 화농성 객담과 기침
· 주치료 : ampicillin, 제3세대 cephalosporin
대안 : chloramphenicol
gram(-)균 폐렴
갑작스런 열, 오한, 흉막통증, 호흡곤란, 청색증, 백혈구 증가, 붉은 젤리같은 객담과 기침
·주치료 : cephalosporin, aminoglycosides
혐기성세균 폐렴
서서히 나타나는 미열, 호흡곤란, 나음, 청색증, 고혈압, 빈맥, 백혈구 증가, 화농성 황녹색의 객담과 기침
· 주치료 : 제 3세대 cephalosporin, penicillin G
Legionnaire 폐렴
24~48시간 동안의 열, 두통, 권태감 후 고열, 호흡곤란, 저산소증, 흉막동통, 오심, 구토, 설사, 혼돈, 흉막삼출, 마른기침
· 주치료 : erythromycin
· 대안 : tetracycline, rifamfin
Mycoplasma 폐렴
서서히 오르는 열, 두통, 정상 백혈구 수, X-ray상 폐 전테 경화, 점액이 적은 객담과 기침
· 주치료 : 심한 경우 erythromycin
· 대안 : tetracycline
바이러스 폐렴
두통과 권태감 후 고열, 호흡곤란, 정상 호흡음, 백혈구 약간 상승, X-ray상 확산된 반점, 마른 기침에서 화농성 객담
none
폐결핵 (pulmonary tuberculosis)
· 정의 : mycobacteria에 감염된 상태로 전염성, 급성 또는 만성 질환으로, 결핵은 혈류나 림프관을 따라 몸의 어느 기관에나 전파될 수 있는데 폐가 가장 잘 침범 된
· 원인 : mycobacterium tuberculosis (tubercle bacillus)
· 특징
- 호산성, 간상균, G(+)균, 지방을 많이 함유하고 있어 항산성균이며 인체 밖에서는 번식할 수 없는 미생물로 열, 한낮의 직사광선, 살균제 자외선에 의해 파괴가능
- 균은 일단 몸에 들어오면 그대로 남아 있다가 인체가 저항에 약해지면 즉시 번식하기 시작하여 질환을 발생시킴
· 유발요인 : 밀집된 환경에 사는 가난한 도시인, 특히 영양상태가 좋지 않고 사회경제적으로 낮은 집단에 속한 사람으로 환기가 잘 안되는 집에 사는 사람에게서 많이 발생
· 결절(tubercle) : 건강한 폐조직에 들어온 결핵균에 대항해 인체의 방어기전이 세균을 죽이거나 격리시키기 시작하여 식균작용이 일어나고 상피세포와 섬유성 조직은 감염된 부위와 세균을 둘러싸 결절을 만듬
· 건락화, 건락변성(degeneration, caseation) : 결절 중앙의 결핵균과 죽은 백혈구와 괴사된 폐조직으로 이루어진 치즈 같은 덩어리
· 공동 : 감염된 물질은 폐를 통해 전파되거나 혹은 기관지를 통해 반대편 폐로 들어감, 액화된 물질이 소결절에서 배농된 후 공기가 찬 낭
· 석회화(calcification) : 칼슘의 침착, X-ray상 석회화된 결절 확인 가능
· Ghon complex, primary complex : Ghon complex(일차 감염 부위로 치유되어 석회화된 결절 형성 부위), calcified nodule(석회화된 림프 결절)
┏ 국소적 진행 : 병변의 피막을 뚫고 침식
┣ 기관지 전파 : 감염된 물질이 기관지로 흡인되어 침범당하지 않았던 폐조직으로 전파
┣ 림프관 전파 : 림프관을 따라 다른 부위로 전파
┗ 혈행성 전파 : 혈류를 따라 전파
· 속립성 결핵 (milliary TB) : 결핵균이 혈류나 림프관을 통해 인체 모든 기관으로 퍼져 좁쌀 크기의 병변이 뇌나 폐 등 여러 조직에 발생하며 사망률이 높음
· 일차감염 : 처음 결핵에 감염으로 폐의 상엽이나 하엽의 흉막 가까이에 발생
· 이차감염 (재감염) : 결핵균을 포함하고 있는 일차 감염 부위가 몇 년 동안 잠복 상태에 있다가 환자의 저항력이 떨어지면 다시 활성화 되는 것으로, 폐의 첨부에서 발생(simon foci)
· 병태생리 : 비말감염
· 증상 : 기침, 누렇고 점액성의 객담, 호흡곤란, 객혈, 흉막통, 피로, 야간 발한, 불안정, 권태, 빈맥, 오후 미열, 체중감소, 식욕부진, 소화불량 등
· 치료원칙
① 단독으로 약물 투여시 균의 내약성이 생기므로 병용하여 사용
② 임상증상이 완화된 이후에도 6~24개월동안 규칙적으로 약물 투여
③ 약물을 나누어 복용하지 않고 아침 식전 공복에 투여
약물명
부작용
1차약
isoniazid
말초신경염, 간 장애
ethambutol
시력 장애, 피부 발진
rifampin
위장장애, 분비물과 소면이 오렌지색으로 변함
streptomycin
제 8뇌신경(청신경)손상, 신장 장애
pyrazinamide
간 장애, 요산혈증
2차약
viomycin
청각 장애, 신장 장애
capreomycin
제 8뇌신경 손상, 신장 장애
kanamycin
청각 장애, 신장 장애
ethionamide
위장 장애, 간 효소의 일시적 증가, 금속 맛 입맛
paraaminosalicylicacid
위장 장애, 간 장애, Na정체
cycloserine
정신 이상, 성격 변화, 경련, 발진
참고문헌
최명애 외(1997), 생리학, 현문사
최시자 외(1998), 성인간호학, 현문사
서문자 외(2004), 성인간호학, 수문사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09.10.26
  • 저작시기2009.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5824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