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등산과 등반
등산/등반의 발전과정
에베르스트 14대 봉우리
Ⅰ. 사조별 등반 발전과정
등산과 등반의 과학
01. 기 온
02. 산소와 기압
03. 천둥과 번개, 그리고 벼락
04. 눈
05. 항산화제 섭취의 중요성
06. 운동의 효과 (근섬유와 모세혈관)
07. 조난
08. 지형도
09. 등산시 준비물
10. 보행중의 팀웍
11. 등산보행법
등산/등반의 발전과정
에베르스트 14대 봉우리
Ⅰ. 사조별 등반 발전과정
등산과 등반의 과학
01. 기 온
02. 산소와 기압
03. 천둥과 번개, 그리고 벼락
04. 눈
05. 항산화제 섭취의 중요성
06. 운동의 효과 (근섬유와 모세혈관)
07. 조난
08. 지형도
09. 등산시 준비물
10. 보행중의 팀웍
11. 등산보행법
본문내용
(1) 추운 환경에서 체온을 유지하려는 생리적 현상들
* 피부와 사지의 혈관 수축, 떨림, 육체적 활동에 의한 열발생
(2) 저체온증에 걸리게 하는 상황들
* 악천후, 밤을 지세움, 젖어 있거나 충분치 못한 의복, 탈진
(3) 예 방
* 하루 산행일지라도 기상악화에 대비한 충분한 복장과 비상식의 준비하고 비상노숙장소는 비, 바람, 눈등을 막을 수 있는 곳이어야 하며 옷과 우의를 입고 여럿이 같이 웅크리고 열을 보존하여야 한다.
* 가장 약한 대원을 좀 더 주의 깊게 계속 관찰하고 보호해야 한다. 적당한 양의 물과 음식의 섭취는 생존에 꼭 필요
* 가벼운 몸놀림을 하는 것이 가만히 앉아서 떠는 것 보다는 사기를 높이는 잇점이 있다.
(4) 치 료
* 최선의 방법은 열손실을 줄이고 외부에서 열을 공급하여 주는 것이다. 환자를 따뜻한 곳으로 옮기고 젖은 옷을 벗기고 바람으로 부터 보호하며
* 미리 따뜻하게 덮혀진 침낭에 넣고 다른 대원들이 둘러 싸서 외부열을 가해 준다. 의식이 없으면 기도를 유지시켜 주고 의식이 있으면 따뜻한 음료를 마시게 한다. 술/담배는 금물이다.
08. 지형도
· 지형도의 종류
축 척
지상 1Km당 지도상 거리
등고선 간격
색 도
1:5,000
20cm
5m
단색
1:10,000
10cm
5m
5색
1:25,000
4cm
10m
4색
1:50,000
2cm
20m
4색
1:250,000
0.25cm
100m
7색
09. 등산시 준비물 : 물, 지도, 나침반, 고어텍스, 식량, 비상약, 후레쉬
10. 보행중의 팀웍
(01) 정상에 도착하면 인원을 항시 확인한다.
(02) 쉴 때 멈출때에는 그 자리에 있는다.
(03) 팀의 리더를 제외하고는 가능한한 약자를 선두에 서게 한다.
(04) 선두와 후미는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여야 하며 수시로 연락
(05) 보행중 리더는 대원의 체력상태및 보행상태를 계속 파악한다.
(06) 갈림길이 생겼을 때에는 길을 읽기 쉬우므로 뒷사람을 기다림.
(07) 팀의 보행능력기준은 보행능력이 가장 약한 자를 팀 전체의 기준으로 삼아 일정및 보행시간을 게획한다.
(08) 리더의 지시없이 대열을 이탈하여 앞으로 먼저 나가거나 뒤로 쳐져서는 안된다.
(09) 자기가 치고 지나간 나뭇가지가 앞 또는 뒤사람을 때리지 않도록 신경쓴다.
(10) 대원은 이상유무를 리더에게 보고하여 만일의 사태에 신속히 대처할 수 있어야 한다
11. 등산보행법
양 어깨의 힘을 빼고 편한 자세로 상체를 앞으로 조금 굽히며, 무릅은 조금만 올리면서 한발짝을 내 딛는다. 내딛는 발바닥에 몸의 중심을 옮기며 땅을 밟는다. 땅을 밟을 때는 발끝이나 발뒤꿈치를 사용하지 말고 발바닥 전체로 안정감 있게 디뎌야 한다.
산의 경사를 걸어 올라 갈때는 손을 크게 흔들지 말고 양 어깨를 좌, 우로 보폭을 맞추어 리듬있게 움직여야 한다. 양손에는 아무것도 들지 말고 들것이 있다면 반드시 배낭에 넣고 가야 한다. 불필요한 몸놀림없이 절제된 움직임이 필요하고, 목과 배낭이 좌우로 요동치면 역시 힘의 분산과 낭비를 초래한다.
호흡은 자연스럽게 발걸음에 맞추어야 하며, 숨을 들이 쉬고 내 쉬는 것은 꼭 같은 간격으로 한다. 숨이 가쁘다고 해서 게속해서 심호흡을 하면 과량의 산소섭취로 인해 현기증을 일으키기도 한다.
일정한 속도를 유지해야 쉬 피로하지 않게 된다. 처음부터 온 힘을 다해 허둥지둥 걷는다면 쉽게 지쳐버릴 뿐 아니라 한번 피로해진 후에는 아무리 휴식을 취해도 별 소용이 없다는 사실을 알아야 한다. 산행시 힘의 배분은 전체 체력을 10으로 보았을 때, 등산시 4, 하산시에 3을 소모하고 남아 있는 3은 예비체력으로 간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피부와 사지의 혈관 수축, 떨림, 육체적 활동에 의한 열발생
(2) 저체온증에 걸리게 하는 상황들
* 악천후, 밤을 지세움, 젖어 있거나 충분치 못한 의복, 탈진
(3) 예 방
* 하루 산행일지라도 기상악화에 대비한 충분한 복장과 비상식의 준비하고 비상노숙장소는 비, 바람, 눈등을 막을 수 있는 곳이어야 하며 옷과 우의를 입고 여럿이 같이 웅크리고 열을 보존하여야 한다.
* 가장 약한 대원을 좀 더 주의 깊게 계속 관찰하고 보호해야 한다. 적당한 양의 물과 음식의 섭취는 생존에 꼭 필요
* 가벼운 몸놀림을 하는 것이 가만히 앉아서 떠는 것 보다는 사기를 높이는 잇점이 있다.
(4) 치 료
* 최선의 방법은 열손실을 줄이고 외부에서 열을 공급하여 주는 것이다. 환자를 따뜻한 곳으로 옮기고 젖은 옷을 벗기고 바람으로 부터 보호하며
* 미리 따뜻하게 덮혀진 침낭에 넣고 다른 대원들이 둘러 싸서 외부열을 가해 준다. 의식이 없으면 기도를 유지시켜 주고 의식이 있으면 따뜻한 음료를 마시게 한다. 술/담배는 금물이다.
08. 지형도
· 지형도의 종류
축 척
지상 1Km당 지도상 거리
등고선 간격
색 도
1:5,000
20cm
5m
단색
1:10,000
10cm
5m
5색
1:25,000
4cm
10m
4색
1:50,000
2cm
20m
4색
1:250,000
0.25cm
100m
7색
09. 등산시 준비물 : 물, 지도, 나침반, 고어텍스, 식량, 비상약, 후레쉬
10. 보행중의 팀웍
(01) 정상에 도착하면 인원을 항시 확인한다.
(02) 쉴 때 멈출때에는 그 자리에 있는다.
(03) 팀의 리더를 제외하고는 가능한한 약자를 선두에 서게 한다.
(04) 선두와 후미는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여야 하며 수시로 연락
(05) 보행중 리더는 대원의 체력상태및 보행상태를 계속 파악한다.
(06) 갈림길이 생겼을 때에는 길을 읽기 쉬우므로 뒷사람을 기다림.
(07) 팀의 보행능력기준은 보행능력이 가장 약한 자를 팀 전체의 기준으로 삼아 일정및 보행시간을 게획한다.
(08) 리더의 지시없이 대열을 이탈하여 앞으로 먼저 나가거나 뒤로 쳐져서는 안된다.
(09) 자기가 치고 지나간 나뭇가지가 앞 또는 뒤사람을 때리지 않도록 신경쓴다.
(10) 대원은 이상유무를 리더에게 보고하여 만일의 사태에 신속히 대처할 수 있어야 한다
11. 등산보행법
양 어깨의 힘을 빼고 편한 자세로 상체를 앞으로 조금 굽히며, 무릅은 조금만 올리면서 한발짝을 내 딛는다. 내딛는 발바닥에 몸의 중심을 옮기며 땅을 밟는다. 땅을 밟을 때는 발끝이나 발뒤꿈치를 사용하지 말고 발바닥 전체로 안정감 있게 디뎌야 한다.
산의 경사를 걸어 올라 갈때는 손을 크게 흔들지 말고 양 어깨를 좌, 우로 보폭을 맞추어 리듬있게 움직여야 한다. 양손에는 아무것도 들지 말고 들것이 있다면 반드시 배낭에 넣고 가야 한다. 불필요한 몸놀림없이 절제된 움직임이 필요하고, 목과 배낭이 좌우로 요동치면 역시 힘의 분산과 낭비를 초래한다.
호흡은 자연스럽게 발걸음에 맞추어야 하며, 숨을 들이 쉬고 내 쉬는 것은 꼭 같은 간격으로 한다. 숨이 가쁘다고 해서 게속해서 심호흡을 하면 과량의 산소섭취로 인해 현기증을 일으키기도 한다.
일정한 속도를 유지해야 쉬 피로하지 않게 된다. 처음부터 온 힘을 다해 허둥지둥 걷는다면 쉽게 지쳐버릴 뿐 아니라 한번 피로해진 후에는 아무리 휴식을 취해도 별 소용이 없다는 사실을 알아야 한다. 산행시 힘의 배분은 전체 체력을 10으로 보았을 때, 등산시 4, 하산시에 3을 소모하고 남아 있는 3은 예비체력으로 간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