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인제도의 역사와 다른나라의 역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혼인제도의 역사와 다른나라의 역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혼인제도란?

2. 혼인제도

3. 우리나라 혼인제도 변천과정
(1) 삼국시대
(2) 고려시대
(3) 조선시대

4. 세계 여러나라 혼인제도
(1) 유대인
(2) 이란
(3) 나이지리아

5. 엥겔스의 가족 사유재산 국가의 기원

본문내용

양좌동의 예처럼 상민들이 양반에게 사회·경제적으로 예속되어 있을 경우 반상간에 뚜렷한 차이가 있으나, 그 밖의 호적에서는 반상간의 차이가 별로 나타나지 않는다.
아버지와 아들의 연령차를 보면, 대체로 연령차가 적은 가족이 상민보다 양반에 약간 많은 경향을 보이는데, 이것은 초혼연령과 관계가 있다. 부부의 연령차를 보면, 대체로 어느 신분을 막론하고 처연상형 부부보다는 남편연상형의 부부가 많다.
그런데 이를 신분별로 보면, 양반층에서 상민층에 비해 처연상형 부부가 상대적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난다. 특히, 양좌동의 양반의 경우는 남편연상형의 부부보다 처연상형의 부부가 훨씬 많았다.
전반적으로 말해서 신분계급에 따라서 가족의 성격에 있어 차이가 존재하고 있으며, 대체로 양반가족과 상민가족의 유사성보다는 상민가족과 천민가족의 유사성이 더 많은 것으로 보여진다.
4. 세계 여러나라 혼인제도
(1) 유대인
유대인의 결혼은 그들의 신앙에 대한 사랑과 문화를 반영하는 전통과 관습으로 가득 차 있 다.
히브리인의 결혼은 'ketubah'나 결혼 계약으로 시작된다. 고대에 케투바는 신랑의 법적인 위치를 보장하기 위해 고안되었다.오늘 날, 케투바는 단지 형식적이며 그다지 두드러진 경향 은 아니다. 결혼식은 결혼 파티 참석자 자들과 함께 전통적인 절차로 시작한다.
신부가 신부 아버지와 함께 통로를 걸어가는 대신,신랑 신부 부모가 신랑신부를 이끈다. 이러한 전통은 가족 결속 의 중요성을 상징한다. 랍비,신랑,신랑의 들러리와 유대인 남자 하객들은 야먹스(yamulks)라 는 흰색 모자를 착용한다. 신부와 신랑은 전통적인 헙파(huppa) 밑에서 서약을 낭송한다. 제 단 대신 네 개의 장대로 된 차양 아래서 신랑신부는 그들의 사랑을 선포한다. 결혼식 후에 도 축하 파티를 한다. 신랑이 유리조각 위에서 발을 구르는 춤을 추는데 이것은 인간의 행 복이란 것이 얼마나 허약한 것인가를 상징한다고 한다.
생기에 넘치는 호라(hora)라고 하는 이스라엘 댄스는 신랑과 신부가 그날 밤 왕과 여왕임을 상징하는 것으로 이루어져 있다. 신랑과 신부는 각자의 의자에 앉혀져 기쁨에 가득한 하객 들의 위로 높이 들려진다. 신부와 신랑은 손구건의 양끝을 잡아 그들의 하나된 사랑을 나타 낸다. 물론, 유대인의 결혼은 하객들을 만족시킬 성찬이 없이는 완벽하지 않을 것이다
(2) 이란
1) 신부감고르기
보통 친구나 이웃, 그리고 최근에는 매우 드문 경우에 속하지만 친척들 중에서 신부감을 고 른다. 부모들은 육체적인 건강과 함께 정신적으로도 건강한 처녀를 이상적인 신부감으로 꼽 는다. 신랑과 신랑부모가 처녀의 집을 방문하는 행사를 "카스테가리" 라 부른다.
단지 일반적인 생활얘기나 처녀와 총각의 나이, 직업,학력 등 몇 가지 사항만을 서로 물어보 며 간단하게 끝낸다. 신부 어머니로부터 소위 "청신호"라 할 수 있는 긍정적인 암시를 받으 면 이때부터 양가는 본격적인 결혼 문제를 상의하게 된다.
2)약혼파티
약혼 파티는 신부집에서 있게 되며 양가의 축복 속에서 약혼 반지를 교환한다. 약혼 기간은 3-4개월 정도로 이 기간 동안 예비 신랑신부는 상대방의 성격과 태도, 집안 등을 알아보며 어느 정도 서로를 파악하게 된다.
약혼 기간이 끝나면 법적, 종교적인 의식으로서의 결혼식인 "아그흐드" 와 결혼파티 "아루시 " 가 행해진다.
(3)나이지리아
신랑자격
요루바 청년들이 아내를 얻으려면 적어도 20세 이상이 되어야 하고, 농장을 소유하거나 또 는 사냥꾼으로서 총을 잡을 수 있을 정도의 생활 자립 능력을 갖춰야만 그 자격이 주어진 다.
결혼식
청년의 부모들이 여자를 만나다는 사실을 알게 되면 처녀의 부모에게 중매쟁이를 보내 당신 들의 정원에서 꺾었으면 싶은 아름다운 꽃을 보았다라는 말을 전한다.
결혼풍습
결혼식에서는 양가 모두 특별한 의미를 갖는 독특한 의식이 행해진다. 신랑과 그의 가족들 은 전통적인 복장인 아소오케를 차려 입고 신부집으로 간다. 신부집은 향토진, 콜라너트, 설 탕, 꿀, 물 등의 전통음식을 차려 놓고 신랑측을 맞는다. 시댁으로 떠나기 전에 신부는 어머 니한테서 마지막 축복을 받는데, 이것이 오늘날까지 전해 내려오는 눈물 흘리기 풍습이다. 기쁨의 눈물 또는 예기치 않은 눈물이라고 불리는 이 풍습은 지금까지도 딸을 떠나보내는 어머니의 안타까움을 나타내는 의식으로 여전히 남아있다.
5. 엥겔스의 가족 사유재산 국가의 기원
엥겔스는 서문에서 이 책이 L.H. 모오간의 책, [고대 사회]에 대한 맑스의 평주를 기초로 하고 있다는 것을 밝히고 있다. 엥겔스는 유물론의 관점에 입각하여 생산의 변화가 가족의 형태와 국가의 성립에 끼치는 영향에 대하여 이로쿠어인, 그리스인, 로마인, 게르만인의 역사적 사례를 통해 정리하고 있다.
노동의 발전이 미약하고 생산물이 제한된 수준일 경우, 사회제도는 혈연적 유대에 의한 의존도가 높다. 하지만 혈연적 유대에 기초한 사회구조 속에서 노동생산성이 증대되며, 이를 통해 사적 소유가 확대 되면서 잉여 생산물이 막대히 증가하게 되면 사회 내에서 계급 갈등이 생겨나게 된다. 이러한 계급 갈등이 심화되게 되면 더 이상 혈연결합체로서의 사회 유지는 불가능하게 되고, 지배권이 국가에 집중된 새로운 사회가 출현하게 된다. 이러한 사회에서는 가족제도가 전적으로 소유 관계에 의해 지배된다. 국가는 기본적으로 사적 소유에서 비롯되는 계급 대립을 억제할 필요로 부터 발생했고, 이러한 계급 갈등을 억제하기 원하는계급은국가의 안정으로 부터 경제적 이득을 얻는경제력을 갖춘 계급이기 때문에 국가는 기본적으로 경제적 지배 계급의 편에 속해 있다. 이러한 국가 아래에서는 착취 당하는 계급이 생길 수 밖에 없다. 정녕 진보가 역사 발전의 법칙이라면, 더 높은 단계의 사회는 고대씨족이 지닌 자유, 평등, 우애가 보다 고양된 형태로 부활된 사회가 될 것이다.
<참고자료>
http://www.koreandb.net/ <이광규>
http://freesty811.egloos.com/
http://yongdreaming.hihome.com/wedingpage10.htm
엠파스 백과사전
두산 백과사전
동아 전자신문
  • 가격3,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9.11.01
  • 저작시기2008.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5894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