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스키너의 조명
Ⅱ. 본론
1)Skinner의 이론
2)『What Are Some Of The Common Misunderstandings About Skinner?』와
『Is Skinnerian Psychology Relevant For Today`s World?』의 요약
3) 두 글의 논점은 무엇인가?
2. Skinner의 주장과 관련된 지지와 반박
1)다른 이론가들의 견해
(1) 반박의 입장 : 인본주의자
(2) 지지의 입장 : 행동주의의 Thondike
2) 실생활속의 스키너 이론의 적용
Ⅲ. 결론
스키너의 조명
Ⅱ. 본론
1)Skinner의 이론
2)『What Are Some Of The Common Misunderstandings About Skinner?』와
『Is Skinnerian Psychology Relevant For Today`s World?』의 요약
3) 두 글의 논점은 무엇인가?
2. Skinner의 주장과 관련된 지지와 반박
1)다른 이론가들의 견해
(1) 반박의 입장 : 인본주의자
(2) 지지의 입장 : 행동주의의 Thondike
2) 실생활속의 스키너 이론의 적용
Ⅲ. 결론
본문내용
다.
2)나의 견해
이번 report를 쓰면서 Skinner의 이론에 대해 깊게 생각을 하는 계기가 되었다. 단순한 이론의 이해에서 머무르기보다 그의 행동주의 이론에 대한 나의 견해를 덧붙이게 된다는 것이 참 황공스럽기도 하고 죄송스럽기도 하지만 심리학 안에서나 전 세계적으로나 널리 퍼져 있는 Skinner의 행동주의 이론에 대해 나의 생각을 피력해 보고자 한다.
일단 결론부터 말하자면 나는 Skinner의 이론에 긍정적인 편이다. 그의 ‘조작적 조건형성’과 행동주의 이론은 인간의 학습이라는 측면에서 특히 두각을 드러냈다. 나는 그의 이론을 지지 하기 위해 ‘조작적 조건형성’을 바탕으로 한 일상에서 비롯된 여러 지지단서의 예를 지금 들어보고자 한다.
간단하게 들 수 있는 예는 바로 ‘도박’에 관한 것이다. 변동비율 강화계획의 대표적인 형태 이면서 심심치 않게 뉴스거리나 가십거리로 빈번하게 등장하는 일이다. 누구나 쉽게 떠 올릴 수 있는 조작적 조건형성의 예 이므로 자세하게 설명을 덧 붙일 필요는 없을 듯 하다.
두 번째 예는 아버지에게 혼날까 봐 집에 귀가하는 시간을 일정하게 조절하는 나의 행동이다. 원래 정해진 귀가 시간은 11시 내외이지만 더러 12시가 넘어 집에 들어가는 일이 종종 발생하게 되곤 하는데 그런 행동이 오래 지속될수록 강하게 떨어지는 아버지의 불호령이 내가 단 일분이라도 빨리 집에 들어가게 만들어주는 환경적 조건이 되어준다.
세 번째의 예는 서울에서 살다가 대구로 내려온 전학생의 이야기이다. 이 전학생은 처음엔 무심코 서울말을 쓰다가 ‘아. 말투 이상해.’ ‘쟤는 왜 저래? 웃기다.’ 등의 부정적인 말을 주변에서 듣게 됨에 따라 자신의 말투를 고치게 된다. 표준말이 점차 사라지고 대구의 투박한 사투리를 배우기 위해 노력을 하는 것이다. 물론 이는 대구에서 살다가 서울로 올라가는 사람들에게도 비슷하게 적용 되리라고 본다.
다음의 예는 주변사람의 경험담이다. 유난히 눈꼽이 자주 생기는 A양이 있다고 가정 해 본다. 이 A양은 눈이 유난히 피로할 때 마다 특히 눈꼽이 더 생기는데 어린 시절 “야, 너 눈꼽 있어!” 라고 크게 소리친 같은 반 장난스러운 남자아이의 행동에 부끄러움과 수치심을 느끼게 된다. 이로 인해 자주 눈 주위를 만지는 행동을 하게 되고 결국 이는 버릇으로 까지 이어진다.
이와 비슷한 맥락으로 호감을 가지고 있던 남자로부터 “머리 묶으니까 예쁘네.”라는 칭찬을 들은 여자는 자주 머리를 묶고 오게 된다. 또한 애교를 좋아하는 남자가 여자친구의 애교를 볼 때마다 긍정적인 강화물 (가령 예를 들자면 데이트에서의 맛있는 식사)을 제공하게 되면 자연스럽게 여자친구는 애교가 많은 성격으로 변할 것이다.
Skinner의 이론은 비단 일상생활뿐 아니라 모두가 잘 아는 동화 속 에서도 찾을 수 가 있다. ‘양치기소년’의 주인공인 양치기소년은 너무나 심심해서 “늑대가 나타났다.”라고 소리를 질렀고 이는 동네 사람들이 놀라서 모이게 하는 결과를 가져오게 했다. 그리고 사람들의 놀람과 소동은 양치기 소년에게 효과적인 강화물이 되었기에 다시 한 번 더 거짓말을 하게 하는 이유가 되었던 것이다.
편의점에서 아르바이트를 하는 잘생긴 오빠를 보기위해서 살 물건도 딱히 없으면서 편의점에 들리는 여고생 시절의 추억이나, 물건을 구매 하는 것에 있어 큰 불편을 겪은 일이 있던 인터넷 쇼핑몰을 피하는 사람들의 행동이나, 수학을 좋아하지 않는 학생에게 한 문제를 풀 때마다 사탕을 줌으로써 수학에 관심을 가지게 하는 선생님의 방법, 높은 등수를 올린 학생에게 주는 성적우수상, 시험을 잘 본 딸에게 사준 한 벌의 옷, 유난히 잘 부른다는 칭찬을 들은 노래를 친구들과 노래방을 갈 때 마다 매번 부르는 것, 이 외에도 너무나 많은 것들이 Skinner의 이론을 뒷받침하는 일상의 지지단서가 되어 준다.
가만히 생각을 해 보면 우리가 살아가는 일상생활 속에서 발견되는 조작적 조건형성은 너무나도 흔하고 다양하다. 아침에 눈을 뜨고 학교를 가고 집에 돌아와 그 후의 잠자기 전까지 하는 모든 행동들에서 이 이론과 관련된 행동들은 수 없이 많을 것이리라 짐작 된다. 이 것이 바로 내가 Skinner의 이론을 지지하는 견해를 가지게 한 가장 큰 이유이다.
Ⅲ. 결론
Skinner라고 하면 행동주의가 생각 날 정도로 그는 심리학 분야에서 독보적인 인물임에 틀림없다. 그런 그의 이론이 범국가적일 뿐만 아니라 세계적인 심리학의 문단에서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에까지 지대한 영향을 끼치게 될 것은 지당한 사실이다. 한 개인의 자잘한 일상생활 에서부터 한 사회를 아우르고 국가적인 범위까지 널리 적용이 가능한 이러한 이론을 발견 해 낸 그의 업적은 비단 심리학을 공부하는 사람들뿐만 아니라 모두에게 추앙을 받을 만 하다고 생각한다. 나 또한 막연하게 그의 이론에 대한 암묵적인 동의만을 했을 뿐 강의시간을 벗어난 일상 속에서 그 이론의 근거를 찾아보겠다는 생각은 해 본적이 없었다. 이런 report를 작성하는 기회를 통해, 좀 더 가까이 그리고 자세히 접근하게 된 Skinner의 세계가 평소에 무심하게 지나치던 소소한 버릇들에게 마저 영향을 끼치고 있다는 것에서 놀라움을 감출 수 가 없었다. 늘 하는 생각이지만 다시 한 번 새삼 떠 오른 것이 있었다. “역시 비범한 인물들은 다른 사람들이 모두가 그러려니 하고 넘어가는 것에 대해 법칙과 이론을 정립시키는 천재적인 사람들이구나.” 라고 말이다. 비록 그의 이론에 대해 반박과 비판을 가하는 많은 사람들이 있다 하더라도, 그리고 설령 이 이론으로는 설명 할 수 없고 전혀 맥락을 달리하는 사건들이 다분하다 하더라도, 심리학계 역사속의 큰 자리를 차지하고 있는 Burrhus Frederic Skinner. 그의 업적은 그 주옥같은 빛을 영원히 잃지 않을 것이다.
※참고문헌
Paul Poppen {인본주의와 행동주의} 중앙적성출판사. 1900
최정훈 {인본주의 심리학} 법문사. 1992
변영계. {교수학습이론의 이해}. 학지사. 2005.
아드리안 우어반. {내가 사랑하는 심리학자}. 말글빛냄. 2007
최창호. {인간의 선택}. 학지사. 2000.
2)나의 견해
이번 report를 쓰면서 Skinner의 이론에 대해 깊게 생각을 하는 계기가 되었다. 단순한 이론의 이해에서 머무르기보다 그의 행동주의 이론에 대한 나의 견해를 덧붙이게 된다는 것이 참 황공스럽기도 하고 죄송스럽기도 하지만 심리학 안에서나 전 세계적으로나 널리 퍼져 있는 Skinner의 행동주의 이론에 대해 나의 생각을 피력해 보고자 한다.
일단 결론부터 말하자면 나는 Skinner의 이론에 긍정적인 편이다. 그의 ‘조작적 조건형성’과 행동주의 이론은 인간의 학습이라는 측면에서 특히 두각을 드러냈다. 나는 그의 이론을 지지 하기 위해 ‘조작적 조건형성’을 바탕으로 한 일상에서 비롯된 여러 지지단서의 예를 지금 들어보고자 한다.
간단하게 들 수 있는 예는 바로 ‘도박’에 관한 것이다. 변동비율 강화계획의 대표적인 형태 이면서 심심치 않게 뉴스거리나 가십거리로 빈번하게 등장하는 일이다. 누구나 쉽게 떠 올릴 수 있는 조작적 조건형성의 예 이므로 자세하게 설명을 덧 붙일 필요는 없을 듯 하다.
두 번째 예는 아버지에게 혼날까 봐 집에 귀가하는 시간을 일정하게 조절하는 나의 행동이다. 원래 정해진 귀가 시간은 11시 내외이지만 더러 12시가 넘어 집에 들어가는 일이 종종 발생하게 되곤 하는데 그런 행동이 오래 지속될수록 강하게 떨어지는 아버지의 불호령이 내가 단 일분이라도 빨리 집에 들어가게 만들어주는 환경적 조건이 되어준다.
세 번째의 예는 서울에서 살다가 대구로 내려온 전학생의 이야기이다. 이 전학생은 처음엔 무심코 서울말을 쓰다가 ‘아. 말투 이상해.’ ‘쟤는 왜 저래? 웃기다.’ 등의 부정적인 말을 주변에서 듣게 됨에 따라 자신의 말투를 고치게 된다. 표준말이 점차 사라지고 대구의 투박한 사투리를 배우기 위해 노력을 하는 것이다. 물론 이는 대구에서 살다가 서울로 올라가는 사람들에게도 비슷하게 적용 되리라고 본다.
다음의 예는 주변사람의 경험담이다. 유난히 눈꼽이 자주 생기는 A양이 있다고 가정 해 본다. 이 A양은 눈이 유난히 피로할 때 마다 특히 눈꼽이 더 생기는데 어린 시절 “야, 너 눈꼽 있어!” 라고 크게 소리친 같은 반 장난스러운 남자아이의 행동에 부끄러움과 수치심을 느끼게 된다. 이로 인해 자주 눈 주위를 만지는 행동을 하게 되고 결국 이는 버릇으로 까지 이어진다.
이와 비슷한 맥락으로 호감을 가지고 있던 남자로부터 “머리 묶으니까 예쁘네.”라는 칭찬을 들은 여자는 자주 머리를 묶고 오게 된다. 또한 애교를 좋아하는 남자가 여자친구의 애교를 볼 때마다 긍정적인 강화물 (가령 예를 들자면 데이트에서의 맛있는 식사)을 제공하게 되면 자연스럽게 여자친구는 애교가 많은 성격으로 변할 것이다.
Skinner의 이론은 비단 일상생활뿐 아니라 모두가 잘 아는 동화 속 에서도 찾을 수 가 있다. ‘양치기소년’의 주인공인 양치기소년은 너무나 심심해서 “늑대가 나타났다.”라고 소리를 질렀고 이는 동네 사람들이 놀라서 모이게 하는 결과를 가져오게 했다. 그리고 사람들의 놀람과 소동은 양치기 소년에게 효과적인 강화물이 되었기에 다시 한 번 더 거짓말을 하게 하는 이유가 되었던 것이다.
편의점에서 아르바이트를 하는 잘생긴 오빠를 보기위해서 살 물건도 딱히 없으면서 편의점에 들리는 여고생 시절의 추억이나, 물건을 구매 하는 것에 있어 큰 불편을 겪은 일이 있던 인터넷 쇼핑몰을 피하는 사람들의 행동이나, 수학을 좋아하지 않는 학생에게 한 문제를 풀 때마다 사탕을 줌으로써 수학에 관심을 가지게 하는 선생님의 방법, 높은 등수를 올린 학생에게 주는 성적우수상, 시험을 잘 본 딸에게 사준 한 벌의 옷, 유난히 잘 부른다는 칭찬을 들은 노래를 친구들과 노래방을 갈 때 마다 매번 부르는 것, 이 외에도 너무나 많은 것들이 Skinner의 이론을 뒷받침하는 일상의 지지단서가 되어 준다.
가만히 생각을 해 보면 우리가 살아가는 일상생활 속에서 발견되는 조작적 조건형성은 너무나도 흔하고 다양하다. 아침에 눈을 뜨고 학교를 가고 집에 돌아와 그 후의 잠자기 전까지 하는 모든 행동들에서 이 이론과 관련된 행동들은 수 없이 많을 것이리라 짐작 된다. 이 것이 바로 내가 Skinner의 이론을 지지하는 견해를 가지게 한 가장 큰 이유이다.
Ⅲ. 결론
Skinner라고 하면 행동주의가 생각 날 정도로 그는 심리학 분야에서 독보적인 인물임에 틀림없다. 그런 그의 이론이 범국가적일 뿐만 아니라 세계적인 심리학의 문단에서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에까지 지대한 영향을 끼치게 될 것은 지당한 사실이다. 한 개인의 자잘한 일상생활 에서부터 한 사회를 아우르고 국가적인 범위까지 널리 적용이 가능한 이러한 이론을 발견 해 낸 그의 업적은 비단 심리학을 공부하는 사람들뿐만 아니라 모두에게 추앙을 받을 만 하다고 생각한다. 나 또한 막연하게 그의 이론에 대한 암묵적인 동의만을 했을 뿐 강의시간을 벗어난 일상 속에서 그 이론의 근거를 찾아보겠다는 생각은 해 본적이 없었다. 이런 report를 작성하는 기회를 통해, 좀 더 가까이 그리고 자세히 접근하게 된 Skinner의 세계가 평소에 무심하게 지나치던 소소한 버릇들에게 마저 영향을 끼치고 있다는 것에서 놀라움을 감출 수 가 없었다. 늘 하는 생각이지만 다시 한 번 새삼 떠 오른 것이 있었다. “역시 비범한 인물들은 다른 사람들이 모두가 그러려니 하고 넘어가는 것에 대해 법칙과 이론을 정립시키는 천재적인 사람들이구나.” 라고 말이다. 비록 그의 이론에 대해 반박과 비판을 가하는 많은 사람들이 있다 하더라도, 그리고 설령 이 이론으로는 설명 할 수 없고 전혀 맥락을 달리하는 사건들이 다분하다 하더라도, 심리학계 역사속의 큰 자리를 차지하고 있는 Burrhus Frederic Skinner. 그의 업적은 그 주옥같은 빛을 영원히 잃지 않을 것이다.
※참고문헌
Paul Poppen {인본주의와 행동주의} 중앙적성출판사. 1900
최정훈 {인본주의 심리학} 법문사. 1992
변영계. {교수학습이론의 이해}. 학지사. 2005.
아드리안 우어반. {내가 사랑하는 심리학자}. 말글빛냄. 2007
최창호. {인간의 선택}. 학지사. 2000.
추천자료
조작적조건화이론(스키너학습이론)의의와 중요성, 조작적조건화이론(스키너학습이론)원리와 ...
방통대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과제물 b형> 행동발달에 대한 행동주의 이론의 입장과 요점을 ...
귀하의 실생활에 작용하고 있는 행동주의 이론에서의 강화계획을 분석해 보고, 그 강화계획이...
[생활과학과(가정복지)]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B형] 고전적 조건화와 조작적 조건화 이론의 ...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B형] 고전적 조건화와 조작적 조건화 이론의 행동주의적 공통점과 차이...
인간행동과사회환경 B형) 고전적 조건화와 조작적 조건화 이론의 행동주의적 공통점과 차이점...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B형] 고전적 조건화와 조작적 조건화 이론의 행동주의적 공통점과 차이...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B형] 고전적 조건화와 조작적 조건화 이론의 행동주의적 공통점과 차이...
인간행동과사회환경3B) 고전적 조건화와 조작적 조건화 이론의 행동주의적 공통점과 차이점에...
인간행동과사회환경 B형 2017 생활과학과가정복지(고전적조건화조작적조건화이론)-인간행동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