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티어의 이론과 개념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사티어의 이론과 개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Satir이론의 주요 구성개념
1) Satir이론의 기본 가정
2) 성장과 발달

2. Satir의 커뮤니케이션 개념과 유형
1) 굴종형
2) 비난형
3) 초이성형
4) 부적절형
5) 일치형

2. Satir의 커뮤니케이션 개념과 유형

본문내용

질문할 때 자기 나름대로의 질문으로 반응하며, 주제에서 벗어나 있다. 일관성이 없고, 정직하지 못하며, 무책임하며, 곤란할 목소리는 단조롭고 하는 말과 조화를 이루지 못하며 그 어떤 것에도 초점을 맞추지 못하기 때문에 오르락내리락 한다(Satir, 1972). 부적절형은 “아무도 나를 돌보지 않는다. 내가 설 자리가 없다”(Satir, 1972, p. 70)는 내면적 감정을 가지고, 목적의식이 결여되어 있으며 고독감과 자신에 대한 무가치함을 느낀다. Satir는 오랜 세월에 걸쳐 부적절한 반응을 하다 보면 중추신경계통의 장애을 입는 수가 있다고 한다(1972, p. 70).
5) 일치형
Satir의 커뮤니케이션 유형에서 가장 성숙한 유형은 일치형(congruent)이다. 일치형은 솔직하고 정직하고 진솔하고 진정한 커뮤니케이션 유형을 가리킨다. 일치적 반응에서는 메시지의 모든 측면이 일치를 이루고 동일한 방향으로 나아간다. 몸의 자세, 목소리, 얼굴표정 등 모든 측면이 하고 있는 말과 일치를 이룬다. 그리고 바깥으로 표현되는 메시지와 내부에 느끼는 감정이 조화와 일치를 이룬다. Satir는 일치적 커뮤니케이션은 진실하고(real), 현재에 입각하며(now), 상대방에 대한 반응도 부분적이 아니라 전체적(whole), 즉 몸과 감각과 사고와 감정이 모두 전체적으로 일치를 이룬 반응을 한다고 말한다(1972). 일치적 커뮤니케이션에서는 자신과 상대방과 상황이라는 세 구성요인 중 어느 하나도 배제되지 않는다. 세 구성요인이 모두 관련을 맺고 있다. 그리고 언어적 메시지나 비언어적 메시지가 일치를 이루고 있다.

키워드

추천자료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9.11.15
  • 저작시기2009.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6104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