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一. 序
1. 의의
2. 發生原因
3. 性質
二. 선택채권의 特定
1. 意義
2. 方法
1. 의의
2. 發生原因
3. 性質
二. 선택채권의 特定
1. 意義
2. 方法
본문내용
선택권자가 채무자인 경우에는 채무자는 채무를 면하게 되고,
쌍무계약에서는 채권자에게 반대급부를 청구할 수 있으며,
선택권자가 채권자인 경우에는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다.
③ 당사자 쌍방의 공동과실로 급부가 불능으로 된 경우에는 채권은 잔존하는 급부에 존재한다.
④ 비소급효
급부불능에 의한 특정의 경우에는 선택에 의한 특정과는 달리 소급효가 없다.
쌍무계약에서는 채권자에게 반대급부를 청구할 수 있으며,
선택권자가 채권자인 경우에는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다.
③ 당사자 쌍방의 공동과실로 급부가 불능으로 된 경우에는 채권은 잔존하는 급부에 존재한다.
④ 비소급효
급부불능에 의한 특정의 경우에는 선택에 의한 특정과는 달리 소급효가 없다.
추천자료
독일법의 민법
권리침해에서 위법성으로의 변천과 민법 제750조의 효용
[민법]등기청구권의 이론과 관련 판례
[민법총칙]행위능력제도와 미성년자의 행위능력에 대한 고찰
[민법총칙]불공정한 거래행위(불공정거래행위)에 대한 검토
[민법총칙]부동산이중매매와 제103조 위반의 문제
[민법총칙]신의성실의 원칙과 그 파생원칙에 대한 고찰
[민법]조건이 붙은 법률행위(조건부 법률행위)에 대한 검토
[민법총칙]허위표시의 내용과 효력에 대한 이론과 판례
[민법총칙]제125조의 표현대리(대리권수여의 표시) 이론과 판례
(민법) 사용대차와 소비대차에 관하여
(민법) 임대차의 법률적 효력
[법학과 - 민법총칙]16- B 미성년자의 행위능력에 대하여 논하시오.
사본 - 민법 및 민사 특별법 서브노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