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창조주 하나님 : 왕권의 기초
1) 자연 질서의 창조자
2) 언약 백성 이스라엘의 창조자
2. 하나님의 통치 영역
1) 자연의 질서
2) 열방
3) 이스라엘
(1) 하나님의 봉신 국가로서 이스라엘의 지위와 의무
(2) 언약 백성들과 함께하시는 하나님
(3) 언약백성들에 대한 하나님의 선물로서 중보자
(4) 다윗의 이상에 대한 메시아적 성취
3. 왕이신 하나님
1) 재판장
(1) 고대 근동적 배경
(2) 우주적 심판자로서의 하나님
(3) 이스라엘의 심판자로서의 하나님
(4) 의로운 종을 신원하시는 하나님
(5) 고난 받는 의인에 대한 메시아적 성취
2) 용사
4. 신적 왕의 성품 및 속성
1) 미움과 진노
2) 선하심
3) 성실하심과 인자하심
4) 자비와 긍휼
5. 왕권에 대한 적절한 반응 : 간구와 찬양
1) 간구 : 위기의 대에 왕에 대한 믿음
(1) 하나님께 의지함
(2) 하나님께 인격적으로 나아감
(3) 하나님의 계시된 성품과 말씀에 대한 확신
2) 찬양 : 왕의 선하심과 위대하심에 대한 선언
(1) 감사의 노래
(2) 찬양
1) 자연 질서의 창조자
2) 언약 백성 이스라엘의 창조자
2. 하나님의 통치 영역
1) 자연의 질서
2) 열방
3) 이스라엘
(1) 하나님의 봉신 국가로서 이스라엘의 지위와 의무
(2) 언약 백성들과 함께하시는 하나님
(3) 언약백성들에 대한 하나님의 선물로서 중보자
(4) 다윗의 이상에 대한 메시아적 성취
3. 왕이신 하나님
1) 재판장
(1) 고대 근동적 배경
(2) 우주적 심판자로서의 하나님
(3) 이스라엘의 심판자로서의 하나님
(4) 의로운 종을 신원하시는 하나님
(5) 고난 받는 의인에 대한 메시아적 성취
2) 용사
4. 신적 왕의 성품 및 속성
1) 미움과 진노
2) 선하심
3) 성실하심과 인자하심
4) 자비와 긍휼
5. 왕권에 대한 적절한 반응 : 간구와 찬양
1) 간구 : 위기의 대에 왕에 대한 믿음
(1) 하나님께 의지함
(2) 하나님께 인격적으로 나아감
(3) 하나님의 계시된 성품과 말씀에 대한 확신
2) 찬양 : 왕의 선하심과 위대하심에 대한 선언
(1) 감사의 노래
(2) 찬양
본문내용
리 영혼은 진토에 구푸리고 우리 몸은 땅에 붙었나이다 일어나 우리를 도우소서 주의 인자하심을 인하여 우리를 구속하소서”(23-26절) 오히려 이 시는 신학적 확신 가운데 언약백성들을 보호하실 것이라는 반드시 지키실 것이라는 확신아래 혼란에 빠진 고난 당하는 나라의 진심에서 우러나오는 정직한 부르짖음으로 하나님의 신실하심에 대한 굳센 신앙으로 봐야 하는 것입니다. 이와 같이 어떤 시인은 하나님의 마음을 움직이기 위해 자신이 처한 비참하고 수치스러운 상황에 대해 다음과 같이 솔직하게 묘사하고 있습니다.
“내가 탄식함으로 곤핍하여 밤마다 눈물로 내 침상을 띄우며 내 요를 적시나이다. 내 눈이 근심을 인하여 쇠하며 내 모든 대적을 위하여 어두웠나이다.”(6:6-7)
“나는 가난하고 궁핍하여 중심이 상함이니이다. 나의 가는 것은 석양 그림자 같고 또 메뚜기 같이 불려 가오며 금식함을 인하여 내 무릎은 약하고 내 육체는 수척하오며 나는 또 저희의 훼방거리라 저희가 나를 본 즉 머리를 흔드나이다.”(109:22-25)
[참회시에 대한 해석]
많은 시인들은 하나님께서 그들을 대적 가운데서 구원하셔야 할 이유로 자신의 영적 실패에 대한 하나님의 신실하심과 사랑과 자비에 호소하며 용서와 회복에 대한 그들의 기도로 참회시를 통해 나타내며 이들 시의 특징들은 모든 시대의 회개하는 백성들에게 교훈을 줍니다. 시인은 자신의 죄와 행위를 정직하게 고백하며 결코 자신의 정당함을 주장하거나 비난을 회피하지 않고(25:7;32:5;38:18;41:4;51:3) 진정한 회개의 태도를 보이며 위선적 제사를 부인하고(51:16) 성품과 행위의 변화를 간구합니다.(25:4;51:10)
(3) 하나님의 계시된 성품과 말씀에 대한 확신
시인은 하나님의 계시된 성품과 말씀에 대한 확신을 고백합니다. 대체로 간구시의 분위기는 슬픈 탄식에서 확신으로 전환됩니다. 예를 들어 시편77편의저자는 자신이 당하는 환난에 대해 탄식하고 하나님의 버림을 받았다는 감정을 표현한 후 “또 내가 말하기를 이는 나의 연약함이라 지존자의 오른 손의 해 곧 야웨의 옛적 기사를 기억하여 그 행하신 일을 진술하리이다 또 주의 모든 일을 묵상하며 주의 행사를 깊이 생각하리이다”고 합니다. 어떤 경우에는 확신으로의 변화가 구원에 관한 신탁의 결과로 제시되기도 합니다.
하나님의 전능하신 행위에 대한 역사적 기록을 반영한 것이든, 아니면 구원에 관해 하나님께서 구두로 약속하신 말씀에 대한 반응을 기록한 것이든, 시인은 하나님에 대한 확신을 고백합니다.(12:6-8;60:9-12;77:13-20) 이와 마찬가지로 모든 시대의 고난 받는 하나님의 백성들은 그의 계시된 성품과 말씀에 대한 확신을 고백할 수 있습니다.
2) 찬양: 왕의 선하심과 위대하심에 대한 선언
(1) 감사의 노래
시인은 구원에 이어 위기 가운데서 서원한 내용을 성취하신 하나님께 감사의 노래를 올립니다. 저자는 자신이 당한 환난을 상기하며 여호와의 구원하심을 설명하는 산문 부분을 공통적으로 포함합니다. 대체로 시인이 당한 환난을 상기하며 야웨의 구원하심을 설명하는 산문부분을 공통적으로 포함하는 데 산문부문은 대체로 짧고 요점적이며(예외18편) 산문 부분은 자신의 무능함과 하나님의 능력을 강조합니다.
시인은 자신의 경험에 근거하여 하나님의 성품을 찬양하며 하나님 앞에서 어떻게 살아야 하는 지에 대한 실제적인 교훈을 배우게 합니다. 하나님의 전능하신 행위는 그가 의로우시며 (18:25;116:5) 신실하시며(18:30;32:10) 자기 백성들을 보호하시며(18:30; 34:7;116:6;118:6-9) 절대적이며(18:31) 죄를 사해주시며(32:1-2) 자비로우시다는(116:5) 것을 보여주며 그들이 대적들 앞에서 인정을 받은 것은 하나님은 겸손하고 의로운 자를 구원하시나 교만하고 악한자를 대적하신다는 것을 보여줍니다.(18:27;34:15-22;138:6) 하나님은 자기 백성들을 단련하심에 있어서 징계는 짧고 결국은 궁극적인 회복으로 인도하시며(30:5) 하나님을 경외하는 자는 복있는 자이기 때문에(32:1-2;34:5;40:4;118:8-9) 사람은 완악하지 말고(32:9) 하나님을 의지하고 순종해야 하는 것입니다.
하나님의 백성들은 그의 도우심에 대해 어떻게 반응해야 하는지를 보여주는 영감의 기록으로서 감사의 노래는 진정한 찬양의 본질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합니다.
(2) 찬양
이 백성은 내가 나를 위하여 지었나니 나를 찬송하게 하려 함이니라(이사야43:21)
찬양이라는 장르는 논리적으로 볼 때 감사의 노래로부터 나옵니다. 찬양은 하나님이 누구시며 그가 무슨 일을 하셨는 지에 대해 그리고 그 백성들이 상기해야 할 사실들에 대해 선포합니다. 찬양시의 저자는 하나님을 피조세계에 대한 주권자이자 절대적인 왕으로 묘사합니다.(29:1;103:19;145:11-13) 여기에는 자연세계 및 인간 및 그의 언약 백성인 이스라엘이 포함됩니다. 우주적 왕으로서 하나님은 질서를 유지하고 공의를 시행하시며(33:5;103:6;113:7-9;135:14;145:20;146:7-9;147:6) 때로는 무적의 용사로서 자신의 권능을 나타내십니다.(29:3-9;136:10-22) 하나님은 행악자를 대적하시며 자신의 거룩한 행위를 통해 거룩, 선하심, 성실하심, 사랑, 긍휼 및 자비를 드러내십니다. 왕의 백성들은 그를 신뢰하고, 그의 선하심과 위대하심을 찬양해야 하는 것입니다.
새 노래로 여호와께 노래하라 온 땅이여 야웨께 노래할지어다
야웨께 노래하여 그의 이름을 송축하며 그의 구원을 날마다 전파할지어다
그의 영광을 백성들 가운데에, 그의 기이한 행적을 만민 가운데에 선포할지어다
야웨는 위대하시니 지극히 찬양할 것이요 모든 신들보다 경외할 것임이여
만국의 모든 신들은 우상들이지만 야웨께서는 하늘을 지으셨음이로다
존귀와 위엄이 그의 앞에 있으며 능력과 아름다움이 그의 성소에 있도다
만국의 족속들아 영광과 권능을 야웨께 돌릴지어다 야웨께 돌릴지어다
(시편96:1-7)
참 고 문 헌
유진H.메릴, 구약신학 (경기도: 크리스챤출판사, 2009),
구약신학, 구덕관, 대한기독교서회, 2000.02.29
“내가 탄식함으로 곤핍하여 밤마다 눈물로 내 침상을 띄우며 내 요를 적시나이다. 내 눈이 근심을 인하여 쇠하며 내 모든 대적을 위하여 어두웠나이다.”(6:6-7)
“나는 가난하고 궁핍하여 중심이 상함이니이다. 나의 가는 것은 석양 그림자 같고 또 메뚜기 같이 불려 가오며 금식함을 인하여 내 무릎은 약하고 내 육체는 수척하오며 나는 또 저희의 훼방거리라 저희가 나를 본 즉 머리를 흔드나이다.”(109:22-25)
[참회시에 대한 해석]
많은 시인들은 하나님께서 그들을 대적 가운데서 구원하셔야 할 이유로 자신의 영적 실패에 대한 하나님의 신실하심과 사랑과 자비에 호소하며 용서와 회복에 대한 그들의 기도로 참회시를 통해 나타내며 이들 시의 특징들은 모든 시대의 회개하는 백성들에게 교훈을 줍니다. 시인은 자신의 죄와 행위를 정직하게 고백하며 결코 자신의 정당함을 주장하거나 비난을 회피하지 않고(25:7;32:5;38:18;41:4;51:3) 진정한 회개의 태도를 보이며 위선적 제사를 부인하고(51:16) 성품과 행위의 변화를 간구합니다.(25:4;51:10)
(3) 하나님의 계시된 성품과 말씀에 대한 확신
시인은 하나님의 계시된 성품과 말씀에 대한 확신을 고백합니다. 대체로 간구시의 분위기는 슬픈 탄식에서 확신으로 전환됩니다. 예를 들어 시편77편의저자는 자신이 당하는 환난에 대해 탄식하고 하나님의 버림을 받았다는 감정을 표현한 후 “또 내가 말하기를 이는 나의 연약함이라 지존자의 오른 손의 해 곧 야웨의 옛적 기사를 기억하여 그 행하신 일을 진술하리이다 또 주의 모든 일을 묵상하며 주의 행사를 깊이 생각하리이다”고 합니다. 어떤 경우에는 확신으로의 변화가 구원에 관한 신탁의 결과로 제시되기도 합니다.
하나님의 전능하신 행위에 대한 역사적 기록을 반영한 것이든, 아니면 구원에 관해 하나님께서 구두로 약속하신 말씀에 대한 반응을 기록한 것이든, 시인은 하나님에 대한 확신을 고백합니다.(12:6-8;60:9-12;77:13-20) 이와 마찬가지로 모든 시대의 고난 받는 하나님의 백성들은 그의 계시된 성품과 말씀에 대한 확신을 고백할 수 있습니다.
2) 찬양: 왕의 선하심과 위대하심에 대한 선언
(1) 감사의 노래
시인은 구원에 이어 위기 가운데서 서원한 내용을 성취하신 하나님께 감사의 노래를 올립니다. 저자는 자신이 당한 환난을 상기하며 여호와의 구원하심을 설명하는 산문 부분을 공통적으로 포함합니다. 대체로 시인이 당한 환난을 상기하며 야웨의 구원하심을 설명하는 산문부분을 공통적으로 포함하는 데 산문부문은 대체로 짧고 요점적이며(예외18편) 산문 부분은 자신의 무능함과 하나님의 능력을 강조합니다.
시인은 자신의 경험에 근거하여 하나님의 성품을 찬양하며 하나님 앞에서 어떻게 살아야 하는 지에 대한 실제적인 교훈을 배우게 합니다. 하나님의 전능하신 행위는 그가 의로우시며 (18:25;116:5) 신실하시며(18:30;32:10) 자기 백성들을 보호하시며(18:30; 34:7;116:6;118:6-9) 절대적이며(18:31) 죄를 사해주시며(32:1-2) 자비로우시다는(116:5) 것을 보여주며 그들이 대적들 앞에서 인정을 받은 것은 하나님은 겸손하고 의로운 자를 구원하시나 교만하고 악한자를 대적하신다는 것을 보여줍니다.(18:27;34:15-22;138:6) 하나님은 자기 백성들을 단련하심에 있어서 징계는 짧고 결국은 궁극적인 회복으로 인도하시며(30:5) 하나님을 경외하는 자는 복있는 자이기 때문에(32:1-2;34:5;40:4;118:8-9) 사람은 완악하지 말고(32:9) 하나님을 의지하고 순종해야 하는 것입니다.
하나님의 백성들은 그의 도우심에 대해 어떻게 반응해야 하는지를 보여주는 영감의 기록으로서 감사의 노래는 진정한 찬양의 본질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합니다.
(2) 찬양
이 백성은 내가 나를 위하여 지었나니 나를 찬송하게 하려 함이니라(이사야43:21)
찬양이라는 장르는 논리적으로 볼 때 감사의 노래로부터 나옵니다. 찬양은 하나님이 누구시며 그가 무슨 일을 하셨는 지에 대해 그리고 그 백성들이 상기해야 할 사실들에 대해 선포합니다. 찬양시의 저자는 하나님을 피조세계에 대한 주권자이자 절대적인 왕으로 묘사합니다.(29:1;103:19;145:11-13) 여기에는 자연세계 및 인간 및 그의 언약 백성인 이스라엘이 포함됩니다. 우주적 왕으로서 하나님은 질서를 유지하고 공의를 시행하시며(33:5;103:6;113:7-9;135:14;145:20;146:7-9;147:6) 때로는 무적의 용사로서 자신의 권능을 나타내십니다.(29:3-9;136:10-22) 하나님은 행악자를 대적하시며 자신의 거룩한 행위를 통해 거룩, 선하심, 성실하심, 사랑, 긍휼 및 자비를 드러내십니다. 왕의 백성들은 그를 신뢰하고, 그의 선하심과 위대하심을 찬양해야 하는 것입니다.
새 노래로 여호와께 노래하라 온 땅이여 야웨께 노래할지어다
야웨께 노래하여 그의 이름을 송축하며 그의 구원을 날마다 전파할지어다
그의 영광을 백성들 가운데에, 그의 기이한 행적을 만민 가운데에 선포할지어다
야웨는 위대하시니 지극히 찬양할 것이요 모든 신들보다 경외할 것임이여
만국의 모든 신들은 우상들이지만 야웨께서는 하늘을 지으셨음이로다
존귀와 위엄이 그의 앞에 있으며 능력과 아름다움이 그의 성소에 있도다
만국의 족속들아 영광과 권능을 야웨께 돌릴지어다 야웨께 돌릴지어다
(시편96:1-7)
참 고 문 헌
유진H.메릴, 구약신학 (경기도: 크리스챤출판사, 2009),
구약신학, 구덕관, 대한기독교서회, 2000.02.29
추천자료
역사의 예수와 하나님의 나라
마태복음 13장에서 하나님 나라의 비유들의 핵심적 의미는 무엇입니까
[성경말씀, 설교말씀본문-느헤미야 1장 1-11절] 하나님이 쓰시기에 합당한 사람 (새벽예배)
한국교회안에서 그릇된 성령 하나님에 대한 인식
[성경말씀] [설교말씀본문-시편 21편 8-13절] 하나님이 보여주신 심상을 그리며 기도하는 자 ...
[성경말씀] [설교말씀본문-마태복음 18장 1-4절] 하나님 앞에서 어린아이처럼 되는 것
[성경말씀, 설교말씀본문-에스겔 1장 1-3절] 영광의 하나님을 바라보자
[신약신학] 약속의 백성 - 신약성경에 나타난 하나님의 백성(교회)에 관하여
[성경말씀][설교말씀본문-시편 58편]악인의 불의와 하나님의 공의 (새벽예배)
[성경말씀][설교말씀본문-요나 3장 1-5절]하나님 앞에 크게 쓰임 받기위한 연단과 고난 (새벽...
[성경말씀]설교말씀본문-출애굽기 3장 1-12절_ 하나님의 구원사역에 온전히 쓰임 받는 자
[성경·설교·말씀] (느헤미야 1장 1-11절) 느헤미야의 기도 (성서·기독교·교회·예수·하나님)
[성경·설교·말씀] (아모스 1장 1-5절) 시온에서 부르짖으시는 여호와의 음성 (성서·기독교·교...
[성경·설교·말씀] (느헤미야 2장 1-10절) 느헤미야의 얼굴에 나타난 수심 (성서·기독교·교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