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자료 및 방법
Ⅲ. 문헌고찰
1. 정의
2. 원인과 병태생리
3. 협심증의 형태
4. 진단방법
5. 치료
6. 간호
Ⅳ. 간호과정
1. 간호사정
1) 간호력
2) 신체검진
3) 입원기간동안의 vital sign
4) 임상검사자료
5) 현재 투약중인 약물
2. 간호진단
#1. 심근허혈과 관련된 통증
#2. 활동부족과 관련된 변비의 가능성
#3. 협심증과 관련된 지식결핍
※ 참고문헌
Ⅱ. 자료 및 방법
Ⅲ. 문헌고찰
1. 정의
2. 원인과 병태생리
3. 협심증의 형태
4. 진단방법
5. 치료
6. 간호
Ⅳ. 간호과정
1. 간호사정
1) 간호력
2) 신체검진
3) 입원기간동안의 vital sign
4) 임상검사자료
5) 현재 투약중인 약물
2. 간호진단
#1. 심근허혈과 관련된 통증
#2. 활동부족과 관련된 변비의 가능성
#3. 협심증과 관련된 지식결핍
※ 참고문헌
본문내용
환자5) 녹내장 환자(4) 주의 : 저혈압 환자
(5) 부작용 : 빈혈, 혈압강하, 열감, 홍조, 심계항진, 기립성 저혈압, 두통, 허약, 실신, 요실금, 발한 등
⑤ ASAIO(aspirin protest 100mg)
(1) 용법·용량 : 불안정 협심증 환자에 있어서 비치명적 심근경색 위험감소75~300mg 일과성 허혈 발작의 위험감소
(2) 약리작용 : 장용정으로 아스피린으로 인한 위장장애 감소시킴.
혈소판 응집억제 작용에 의한 불안정형 협심증환자에 있어서 비치명적 심근경색 위험감소 및 일과성 허혈
(3) 부작용 : 피로, 불면, 초조, 흥분, 착란, 저혈압, 빈맥, 부종, 발작, 두드러기, 전해질 이상산증, 탈수, 오심, 구토, 빈혈, 응고장야, 혈소판 감소증, 간독성, 간효소수치상승
1. 간호사정
2. 간호진단
사정
주관적 자료(S)
“가슴이 너무 아파요.”
“안 아프게 좀 해주세요.”
“스트레스 받거나, 계단오를때 갑자기 가슴이 아파요.”
“가슴이 갑자기 죄이듯이 아프다가 누워서 쉬면 좋아져.”
객관적 자료(O)
① 얼굴을 찡그리며 몸을 구부리고 앉아서 가슴부위를 손으로 두드리고 있다.
② 통증발병 시 통증이 10점 만점 중 7점이라고 한다.
간호목표(P)
통증이 완화된다.
간호계획
① 통증의 양상 및 정도를 사정한다.
② 통증 유발요인, 악화요인을 확인한다.
③ 활력징후를 측정한다.
④ 필요시 열 냉 요법을 적용한다.
⑤ 반좌위를 취해준다.
⑥ 통증을 표현하도록 한다.
⑦ 안위증진과 편안함을 제공한다.
중재(E)
① 조용하고 편안한 환경을 제공해 준다.
② 다시 통증이 재발할 때는 알리도록 교육한다.
③ 침상에서 편안히 안정 할 수 있도록 교육하고 지지한다.
④ 통증 척도 점수를 사용하여 3시간마다 통증정도를 사정한다.
⑤ 활력징후를 하루에 4번 체크한다.
⑥ 휴식시 호흡증진을 위해 반좌위 해야 함을 교육한다.
(반좌위는 폐확장을 크게 하며 횡격막에 대한 복부장기의 압력 을 감소시키고 자신을 지지하는데 에너지가 적게든다.)
⑦ 통증 유발요인, 악화요인을 확인하여 피하도록 권장한다.
⑧ 통증을 말로 표현하도록 지지한다.
⑨ 안위증진과 기분전환을 위한 간호를 수행한다.
⑩ 급성통증시 Nitroglycerin 1정을 설하로 투여한다.
평가(I)
→ 통증발병 시 통증척도 10점 만점 중 7점에서 4점으로 감소하였다.
→ 가슴이 답답한 느낌이 남아있긴 하지만 아까보다는 낳음을 표현한다.
#1. 심근허혈과 관련된 통증
# 2. 활동부족과 관련된 변비의 가능성
사정
주관적 자료(S)
“입원하고부터 변을 한번도 못 봤어요.”
“변비약 좀 주세요.”
“변을 못봐서 그런지 속이 더부룩 하니 답답해.”
“관장을 좀 하고싶어요.”
객관적 자료(O)
①비정상적인 I/O체크
날짜
urin
stool
2일
5
0
3일
4
0
4일
6
0
5일
3
0
6일
5
1
7일
5
0
목표(P)
① 2주내에 환자는 규칙적인 배변습관을 유지한다.
② 1주일 이내에 복부팽만감이 완화된다.
③ 환자는 5일안에 적절한 수분과 음식 섭취를 수행한다.
간호계획
① 대상자의 현재 배변 양상을 사정한다.
② 변비 완화요인에 대해 교육한다.
③ 복부 팽만감을 사정한다.
④ 대변의 양상과 횟수 및 배변시 통증여부를 확인한다.
⑤ 규칙적인 운동프로그램을 수행한다.
중재(I)
① 1일 2L이상의 수분을 섭취하도록 격려하고 섬유질 음식 섭취의 필요성을 교육한다.
② 통증이 없을 시 장 운동을 촉진하기 위해 복도를 걸어다니도록 권장한다.
③ 식사 2시간 뒤 규칙적으로 같은 시간에 변기에 앉아있도록 권장한다.
④ 변의가 느껴진다고 할 시 변기를 따뜻하게 해주어 변의를 촉진한다.
평가(E)
→ 환자는 충분한 수분섭취와 간간히 복도를 걸으며 운동을 수행하였다.
→ 환자는 정상적인 변을 보았고 복부불편감이 없어졌음을 말했다.
#3. 협심증과 관련된 지식결핍
사정
주관적 자료(S)
“ 처음 가슴 아플 땐 그냥 그러다 말겠지 하고 별 신경 안썼어.”
“ 협심증이 심장이 뭐가 어떻게 됐다는 거야~”
“ 이거 완치는 되는 거야?”
“ 어떤 약이 협심증에 좋은거야?”
객관적 자료(O)
① 표정이 불안해 보이고 질병에 대해 설명을 듣고 싶어 하신다.
간호목표(P)
① 자신의 질병에 대한 지식을 습득하고 이해한다.
② 질병과 치료에 대해 이해하고 말로 표현할 수 있다.
간호계획
① 불안과 두려움을 관찰한다.
② 환자와 가족은 질환에 대해 지식을 습득하고 이해한다.
③ Nitroglycerin에 대해 설명하고, 항상 가지고 다니도록 교육한다.
④ 통증이나 불편감이 발생하면 즉시 하던 일을 멈추고 휴식을 취할 것을 설명한다.
⑤ 협심통이 예상되는 활동시 에는 미리 약을 복용할 것을 교육한다.
⑥ 협심증 약 복용에 대한 중요성과 부작용을 설명한다.
중재(E)
① 불안과 두려움이 있는지 자주 안색을 관찰하고, 있다면 원인을 구체적으로 사정한다.
② 환자와 가족이 병원이나 치료에 대해 궁금한 점에 대해 설명해 주고, 웃으면서 대화한다.
③ 환자의 말을 주의 깊게 경청하며 감정을 말로 표현하도록 돕는다.
④ NTG는 협심증을 통증을 진통하는 약이라고 말씀드린다.
⑤ NTG의 부작용(빈혈, 혈압강하, 열감, 홍조, 심계항진, 기립성 저혈압, 두통, 허약, 실신, 요실금, 발한 등)에 대해 설명한다.
⑥ NTG는 빛을 보면 효과가 떨어짐을 말씀드리고 빛이 안드는 곳에 보관하시라고 설명한다.
⑦ NTG의 유통기한(6개월)이 지나면 약효가 없음을 말씀드리고 아까우시더라도 약을 새로 사서 복용하시라고 말씀드린다.
⑧ NTG 투여 시 삼키지 말고 혀 밑에 투어 투여하는 것이라고 말씀드리고 그렇게 투여하여야 효과가 있다고 이해시킨다.
⑨ 카페인은 심박수를 증가시켜 협심통을 유발하므로 과다하게 섭취하지 않도록 한다.
평가(I)
→ 환자와 그의 가족은 협심증에 대해 지식을 습득하고, 협심증에 효과가 있는 Nitroglycerin에 대해 이해하였다.
→ 약물 자가 투여하는 법을 배우고 이를 실천 하였다.
※ 참고문헌
- 제4판 성인간호학 下 / 2005.1.25 / 유해영 / 현문사- 최신 임상간호메뉴얼(제7판) / 현문사
- 약품 검색서비스 ‘드러그 인포’
(5) 부작용 : 빈혈, 혈압강하, 열감, 홍조, 심계항진, 기립성 저혈압, 두통, 허약, 실신, 요실금, 발한 등
⑤ ASAIO(aspirin protest 100mg)
(1) 용법·용량 : 불안정 협심증 환자에 있어서 비치명적 심근경색 위험감소75~300mg 일과성 허혈 발작의 위험감소
(2) 약리작용 : 장용정으로 아스피린으로 인한 위장장애 감소시킴.
혈소판 응집억제 작용에 의한 불안정형 협심증환자에 있어서 비치명적 심근경색 위험감소 및 일과성 허혈
(3) 부작용 : 피로, 불면, 초조, 흥분, 착란, 저혈압, 빈맥, 부종, 발작, 두드러기, 전해질 이상산증, 탈수, 오심, 구토, 빈혈, 응고장야, 혈소판 감소증, 간독성, 간효소수치상승
1. 간호사정
2. 간호진단
사정
주관적 자료(S)
“가슴이 너무 아파요.”
“안 아프게 좀 해주세요.”
“스트레스 받거나, 계단오를때 갑자기 가슴이 아파요.”
“가슴이 갑자기 죄이듯이 아프다가 누워서 쉬면 좋아져.”
객관적 자료(O)
① 얼굴을 찡그리며 몸을 구부리고 앉아서 가슴부위를 손으로 두드리고 있다.
② 통증발병 시 통증이 10점 만점 중 7점이라고 한다.
간호목표(P)
통증이 완화된다.
간호계획
① 통증의 양상 및 정도를 사정한다.
② 통증 유발요인, 악화요인을 확인한다.
③ 활력징후를 측정한다.
④ 필요시 열 냉 요법을 적용한다.
⑤ 반좌위를 취해준다.
⑥ 통증을 표현하도록 한다.
⑦ 안위증진과 편안함을 제공한다.
중재(E)
① 조용하고 편안한 환경을 제공해 준다.
② 다시 통증이 재발할 때는 알리도록 교육한다.
③ 침상에서 편안히 안정 할 수 있도록 교육하고 지지한다.
④ 통증 척도 점수를 사용하여 3시간마다 통증정도를 사정한다.
⑤ 활력징후를 하루에 4번 체크한다.
⑥ 휴식시 호흡증진을 위해 반좌위 해야 함을 교육한다.
(반좌위는 폐확장을 크게 하며 횡격막에 대한 복부장기의 압력 을 감소시키고 자신을 지지하는데 에너지가 적게든다.)
⑦ 통증 유발요인, 악화요인을 확인하여 피하도록 권장한다.
⑧ 통증을 말로 표현하도록 지지한다.
⑨ 안위증진과 기분전환을 위한 간호를 수행한다.
⑩ 급성통증시 Nitroglycerin 1정을 설하로 투여한다.
평가(I)
→ 통증발병 시 통증척도 10점 만점 중 7점에서 4점으로 감소하였다.
→ 가슴이 답답한 느낌이 남아있긴 하지만 아까보다는 낳음을 표현한다.
#1. 심근허혈과 관련된 통증
# 2. 활동부족과 관련된 변비의 가능성
사정
주관적 자료(S)
“입원하고부터 변을 한번도 못 봤어요.”
“변비약 좀 주세요.”
“변을 못봐서 그런지 속이 더부룩 하니 답답해.”
“관장을 좀 하고싶어요.”
객관적 자료(O)
①비정상적인 I/O체크
날짜
urin
stool
2일
5
0
3일
4
0
4일
6
0
5일
3
0
6일
5
1
7일
5
0
목표(P)
① 2주내에 환자는 규칙적인 배변습관을 유지한다.
② 1주일 이내에 복부팽만감이 완화된다.
③ 환자는 5일안에 적절한 수분과 음식 섭취를 수행한다.
간호계획
① 대상자의 현재 배변 양상을 사정한다.
② 변비 완화요인에 대해 교육한다.
③ 복부 팽만감을 사정한다.
④ 대변의 양상과 횟수 및 배변시 통증여부를 확인한다.
⑤ 규칙적인 운동프로그램을 수행한다.
중재(I)
① 1일 2L이상의 수분을 섭취하도록 격려하고 섬유질 음식 섭취의 필요성을 교육한다.
② 통증이 없을 시 장 운동을 촉진하기 위해 복도를 걸어다니도록 권장한다.
③ 식사 2시간 뒤 규칙적으로 같은 시간에 변기에 앉아있도록 권장한다.
④ 변의가 느껴진다고 할 시 변기를 따뜻하게 해주어 변의를 촉진한다.
평가(E)
→ 환자는 충분한 수분섭취와 간간히 복도를 걸으며 운동을 수행하였다.
→ 환자는 정상적인 변을 보았고 복부불편감이 없어졌음을 말했다.
#3. 협심증과 관련된 지식결핍
사정
주관적 자료(S)
“ 처음 가슴 아플 땐 그냥 그러다 말겠지 하고 별 신경 안썼어.”
“ 협심증이 심장이 뭐가 어떻게 됐다는 거야~”
“ 이거 완치는 되는 거야?”
“ 어떤 약이 협심증에 좋은거야?”
객관적 자료(O)
① 표정이 불안해 보이고 질병에 대해 설명을 듣고 싶어 하신다.
간호목표(P)
① 자신의 질병에 대한 지식을 습득하고 이해한다.
② 질병과 치료에 대해 이해하고 말로 표현할 수 있다.
간호계획
① 불안과 두려움을 관찰한다.
② 환자와 가족은 질환에 대해 지식을 습득하고 이해한다.
③ Nitroglycerin에 대해 설명하고, 항상 가지고 다니도록 교육한다.
④ 통증이나 불편감이 발생하면 즉시 하던 일을 멈추고 휴식을 취할 것을 설명한다.
⑤ 협심통이 예상되는 활동시 에는 미리 약을 복용할 것을 교육한다.
⑥ 협심증 약 복용에 대한 중요성과 부작용을 설명한다.
중재(E)
① 불안과 두려움이 있는지 자주 안색을 관찰하고, 있다면 원인을 구체적으로 사정한다.
② 환자와 가족이 병원이나 치료에 대해 궁금한 점에 대해 설명해 주고, 웃으면서 대화한다.
③ 환자의 말을 주의 깊게 경청하며 감정을 말로 표현하도록 돕는다.
④ NTG는 협심증을 통증을 진통하는 약이라고 말씀드린다.
⑤ NTG의 부작용(빈혈, 혈압강하, 열감, 홍조, 심계항진, 기립성 저혈압, 두통, 허약, 실신, 요실금, 발한 등)에 대해 설명한다.
⑥ NTG는 빛을 보면 효과가 떨어짐을 말씀드리고 빛이 안드는 곳에 보관하시라고 설명한다.
⑦ NTG의 유통기한(6개월)이 지나면 약효가 없음을 말씀드리고 아까우시더라도 약을 새로 사서 복용하시라고 말씀드린다.
⑧ NTG 투여 시 삼키지 말고 혀 밑에 투어 투여하는 것이라고 말씀드리고 그렇게 투여하여야 효과가 있다고 이해시킨다.
⑨ 카페인은 심박수를 증가시켜 협심통을 유발하므로 과다하게 섭취하지 않도록 한다.
평가(I)
→ 환자와 그의 가족은 협심증에 대해 지식을 습득하고, 협심증에 효과가 있는 Nitroglycerin에 대해 이해하였다.
→ 약물 자가 투여하는 법을 배우고 이를 실천 하였다.
※ 참고문헌
- 제4판 성인간호학 下 / 2005.1.25 / 유해영 / 현문사- 최신 임상간호메뉴얼(제7판) / 현문사
- 약품 검색서비스 ‘드러그 인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