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상품내용
Ⅱ. 수익구조
Ⅲ. 상품에 내제된 리스크
Ⅳ. 세금관련 내용
Ⅴ. 기타 해당-상품과 관련된 사항
(해당 펀드의 상품별 수익률 비교)
Ⅱ. 수익구조
Ⅲ. 상품에 내제된 리스크
Ⅳ. 세금관련 내용
Ⅴ. 기타 해당-상품과 관련된 사항
(해당 펀드의 상품별 수익률 비교)
본문내용
필요
-신주인수권부사채와 전술한 전환사채의 유사한 점
사채권자가 권리(전환사채에 있어서 전환권, 신주인수권부사채에 있어서 신주인수권)를 행사한 경우 사채발행회사의 발행주식 수가 증가하고 사채권자는 주주가 된다. 사채의 발행조건에 있어 이자율이 보통사채에 비하여 저리이고, 상환기간은 보통사채 보다 장기간이고 사채권자의 권리행사로 회사는 자본증가 등으로 재무구조가 개선되는 등의 이점이 있다.
-신주인수권부사채와 전환사채의 차이점
① 전환사채는 전환권을 부여하며 신주인수권부 사채는 신주인수권을 부여한다.
② 전환사채는 전환권을 행사하면 사채가 당연히 소멸(상법 제350조)되나, 신주인수권부사채는 신주인수권을 행사하더라도 사채가 소멸되지 아니한다.(상법 제516조의8 제2항)
③ 전환사채는 신주발행의 대가로 별도의 출자를 요하지 않는 반면(상법 제516조, 제348조), 신주인수권부사채는 신주발행의 대가로 별도출자를 필요로 한다.(상법 제516조의8 제1항)
④ 전환사채의 전환에 의한 신주발행의 총액은 반드시 사채발행 총액과 일치하여야 하나(상법 제516조, 제348조) 신주인수권의 행사에 의한 주식발행 총액은 사채총액의 범위 내에서 자유로이 조절할 수 있다.(상법 제516조의2 제3항)
② 성공적인 수익률 사례
- 발행정보 요약
기아차 BW는 신주인수권과 신주인수권이 분리된 채권이 각각 매매되는 분리형으로 상장되어 거래됨
발행일 : 2009.03.19
만기일 : 2012.03.19(3년)
표면이율 : 연 1.0%
만기보장수익률 : 3개월 복리 5.5% (원금상환율 : 114.5692%)
행사가액(전환가) : 6,880원(하락시85%까지 조정)
기아차 BW 채권 매매일 : 2009.03.19 부터
신주인수권 매매일 : 2009.04.01 부터
행사가능기간 : 2009.04.19~2012.02.19
신주인수권 행사 후 주식입고 : 2주 정도 예상
- 기아차 BW와 신주인수권매매방식에 따른 수익 비교
기아차 청약 : 천만원 (신주인수권 배정 1,453주 )배정
기아차 주식 현재가 : 10,000원 가정
기아차 채권 장내매매가격 : 현재가 9,400원 가정
신주인수권 장내매매가격 : 3,000원 가정
* 채권 매도시 과표발생(표면금리와 만기상환율)에 따른 제세금은 감안하지 않음
만기보장수익률 5.5%에서 연 쿠폰이자인 1%제외한 4.5%에 대하여는 3개월 복리로 계산하여 만기 시 한꺼번에 지급하기 때문에 만기 상환율이 114.5692%가 됨.
① 채권매도, 신수인수권매도 → 손익 바로 확정 (채권매도손실 + 신주인수권 매매이익 - 제세금)
채권 매도손실 + 신주인수권 매도대금 4,359,000원 - 600,000원 이익 3,759,000원
② 채권만기보유, 신주인수권매도 → 손익 바로 확정 (채권 만기상환이자율 + 신주인수권 매매이
익 - 제세금)
채권 만기 상환 11,486,370 + 신주인수권 매도대금 4,359,000원 이익 5,845,370원
③ 채권만기보유, 신주인수권주식전환(현금납입) : 채권가치 존속
->채권 만기 상환이자율 + 2주후 주식 전환 입고 후 실제 매매가격에 따라 손익 변경
주식 입고시점 주가하락으로 매도실익이 없을 경우 주식으로 보유 후 매도전략권유
④ 채권대용납입, 신주인수권 주식 전환
->2주후 주식 전환 입고후 실제 매매 가격에 따라 손익 변경
입고 후 10,000원으로 매도 가정 시 1,453주*10,000원=14,530,000 투자원금 1천만원
감안 시 손익 4,530,000원
☞ 채권 매도시는 가격이 동일할 경우 장내매매(1-8800)보다는 장외매매(7-5103)를 통한 매매가 지점손익에 도움이 됨(억당 250,000원)
-신주인수권부사채와 전술한 전환사채의 유사한 점
사채권자가 권리(전환사채에 있어서 전환권, 신주인수권부사채에 있어서 신주인수권)를 행사한 경우 사채발행회사의 발행주식 수가 증가하고 사채권자는 주주가 된다. 사채의 발행조건에 있어 이자율이 보통사채에 비하여 저리이고, 상환기간은 보통사채 보다 장기간이고 사채권자의 권리행사로 회사는 자본증가 등으로 재무구조가 개선되는 등의 이점이 있다.
-신주인수권부사채와 전환사채의 차이점
① 전환사채는 전환권을 부여하며 신주인수권부 사채는 신주인수권을 부여한다.
② 전환사채는 전환권을 행사하면 사채가 당연히 소멸(상법 제350조)되나, 신주인수권부사채는 신주인수권을 행사하더라도 사채가 소멸되지 아니한다.(상법 제516조의8 제2항)
③ 전환사채는 신주발행의 대가로 별도의 출자를 요하지 않는 반면(상법 제516조, 제348조), 신주인수권부사채는 신주발행의 대가로 별도출자를 필요로 한다.(상법 제516조의8 제1항)
④ 전환사채의 전환에 의한 신주발행의 총액은 반드시 사채발행 총액과 일치하여야 하나(상법 제516조, 제348조) 신주인수권의 행사에 의한 주식발행 총액은 사채총액의 범위 내에서 자유로이 조절할 수 있다.(상법 제516조의2 제3항)
② 성공적인 수익률 사례
- 발행정보 요약
기아차 BW는 신주인수권과 신주인수권이 분리된 채권이 각각 매매되는 분리형으로 상장되어 거래됨
발행일 : 2009.03.19
만기일 : 2012.03.19(3년)
표면이율 : 연 1.0%
만기보장수익률 : 3개월 복리 5.5% (원금상환율 : 114.5692%)
행사가액(전환가) : 6,880원(하락시85%까지 조정)
기아차 BW 채권 매매일 : 2009.03.19 부터
신주인수권 매매일 : 2009.04.01 부터
행사가능기간 : 2009.04.19~2012.02.19
신주인수권 행사 후 주식입고 : 2주 정도 예상
- 기아차 BW와 신주인수권매매방식에 따른 수익 비교
기아차 청약 : 천만원 (신주인수권 배정 1,453주 )배정
기아차 주식 현재가 : 10,000원 가정
기아차 채권 장내매매가격 : 현재가 9,400원 가정
신주인수권 장내매매가격 : 3,000원 가정
* 채권 매도시 과표발생(표면금리와 만기상환율)에 따른 제세금은 감안하지 않음
만기보장수익률 5.5%에서 연 쿠폰이자인 1%제외한 4.5%에 대하여는 3개월 복리로 계산하여 만기 시 한꺼번에 지급하기 때문에 만기 상환율이 114.5692%가 됨.
① 채권매도, 신수인수권매도 → 손익 바로 확정 (채권매도손실 + 신주인수권 매매이익 - 제세금)
채권 매도손실 + 신주인수권 매도대금 4,359,000원 - 600,000원 이익 3,759,000원
② 채권만기보유, 신주인수권매도 → 손익 바로 확정 (채권 만기상환이자율 + 신주인수권 매매이
익 - 제세금)
채권 만기 상환 11,486,370 + 신주인수권 매도대금 4,359,000원 이익 5,845,370원
③ 채권만기보유, 신주인수권주식전환(현금납입) : 채권가치 존속
->채권 만기 상환이자율 + 2주후 주식 전환 입고 후 실제 매매가격에 따라 손익 변경
주식 입고시점 주가하락으로 매도실익이 없을 경우 주식으로 보유 후 매도전략권유
④ 채권대용납입, 신주인수권 주식 전환
->2주후 주식 전환 입고후 실제 매매 가격에 따라 손익 변경
입고 후 10,000원으로 매도 가정 시 1,453주*10,000원=14,530,000 투자원금 1천만원
감안 시 손익 4,530,000원
☞ 채권 매도시는 가격이 동일할 경우 장내매매(1-8800)보다는 장외매매(7-5103)를 통한 매매가 지점손익에 도움이 됨(억당 250,000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