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흔들리는 세계의 축., 무엇을 말하고자하는가?.
본론- 흔들리는 세계의 축., 그 핵심내용분석과 주요의미를 찾아서.
- 개인적인 시각에서 보는 흔들리는 세계의 축.
결론- 흔들리는 세계의 축, 교훈과 시사점을 중심으로.
본론- 흔들리는 세계의 축., 그 핵심내용분석과 주요의미를 찾아서.
- 개인적인 시각에서 보는 흔들리는 세계의 축.
결론- 흔들리는 세계의 축, 교훈과 시사점을 중심으로.
본문내용
라들의 부상’으로 규정하고, 바로 이 세 번째의 세계사 재편을 이 책에서 다루고 있는 것이다.
아울러 아직은 세계의 ‘맏형’으로 자타가 공인하는 미국이 이러한 포스트 아메리칸 월드에서도 그 영향력을 발휘하면서 리더의 자리를 잃지 않으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를 진술하고 있다.
흔들리는 세계의 축, 교훈과 시사점을 중심으로.
책은 중국과 인도에 많은 지면을 할애하고 있다.
그만큼 세계 질서와 미국의 미래가 그들에게 달려 있다는 의미일 것이다.
하지만 더욱 중요한 것은 미국이 무엇을 해야 하는가, 그 방향성을 정립하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세계화라는 현재의 질서를 만들었으면서도 이 질서를 부정하는 태도는 바람직하다고 지적한다.
아울러 정치는 어떻게 경제에게 그 세력과 영향력을 내주고 있는지, 국가와 정부는 어떻게 시민사회와 NGO들에게 이니셔티브를 양보하지 않을 수 없는지에 대해서도 분석한다.
군사력이나 경제력에 있어 일본이나 독일, 영국을 합친 것보다 더 큰 규모를 자랑하는 미국이 중국과 인도, 러시아의 대두로 인해 권력의 재분배를 경험한다는 설명이 흥미를 가질 수 있었다.
그간 딱딱하게만 생각해온 국제정세에 대해 또다른 시각을 가지게 해준 고마운 책이었다.
아울러 아직은 세계의 ‘맏형’으로 자타가 공인하는 미국이 이러한 포스트 아메리칸 월드에서도 그 영향력을 발휘하면서 리더의 자리를 잃지 않으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를 진술하고 있다.
흔들리는 세계의 축, 교훈과 시사점을 중심으로.
책은 중국과 인도에 많은 지면을 할애하고 있다.
그만큼 세계 질서와 미국의 미래가 그들에게 달려 있다는 의미일 것이다.
하지만 더욱 중요한 것은 미국이 무엇을 해야 하는가, 그 방향성을 정립하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세계화라는 현재의 질서를 만들었으면서도 이 질서를 부정하는 태도는 바람직하다고 지적한다.
아울러 정치는 어떻게 경제에게 그 세력과 영향력을 내주고 있는지, 국가와 정부는 어떻게 시민사회와 NGO들에게 이니셔티브를 양보하지 않을 수 없는지에 대해서도 분석한다.
군사력이나 경제력에 있어 일본이나 독일, 영국을 합친 것보다 더 큰 규모를 자랑하는 미국이 중국과 인도, 러시아의 대두로 인해 권력의 재분배를 경험한다는 설명이 흥미를 가질 수 있었다.
그간 딱딱하게만 생각해온 국제정세에 대해 또다른 시각을 가지게 해준 고마운 책이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