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서부 개발과 그 특징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개요

Ⅱ. 중국 동부와 서부 경제발전 격차 및 그 변화

1. 동부와 서부지역의 경제발전 격차 확대
2. 동부와 서부지역의 경제격차 확대 요인


Ⅲ서부대개발 전략의 탄생 과정과 배경

Ⅳ. 서부개발의 추진전략

1. 서부 개발의 기본원칙과 추진계획
2. 서부 대개발의 중점추진내용
가. 인프라 확충
나. 생태환경 보호와 개선
다. 산업 구조조정
라. 개혁 심화와 개방 확대
마. 인재육성
3. 서부대개발 관련정책
4. 추진기구(주관부처)

Ⅴ. 중국 서부지역의 개발 경과 및 투자사례

Ⅵ. 요약 및 전망

부첨 #1. 동부 12개성․시 경제현황
#2. 중부 9개성 경제현황
#3. 서부10개성․시 경제현황
#4. 서부지역 자원현황

본문내용

도 2005년경의 수요량을
만족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됨. 그러나 안심하기에 이른 것이 현재 생산중인 광산의 대부
분은 흑중석을 개발하고 있으며 저품위이고 이익이 낮아 정상생산이 어려운 국면에 접할
수도 있음. 따라서 일정규모이상의 개발이 필요함.
4) 화공원료광물
서부지역에는 화공관련 비금속자원이 매우 풍부하며 또한 종류도 매우 다양하게 발달되어
있음. Na-초석, 염호의 붕소광은 서부지역에만 발달되어 있으며 또한 특히 점유율이 높은
것으로는 KCl, 인, 망초, 유황, 붕소, 스트론튬, 중정석 등 7개종임. 중국의 부족광종중의 하
나인 KCl은 서부지역중 특히 청해에 집중되어 있으며, 인광은 운남성 및 귀주성에 주로 분포
되어 있고 고품위는 귀주성에 집중 발달되어 있음.
카리염
중국의 부족 광종으로서 총매장량의 대부분은 서부지역에 부존되어 있으며 대형이 3개소,
중형이 5개소, 소형이 26개소임. '98년도 말 KCl매장량은 45,482만톤이며 그중 A+B+C급이
14,493.9만톤이며 주요 분포지는 청해, 운남, 신강, 감숙 등지이며 개발중인 광산은 8개소이고
이들의 매장량은 15,739만톤임. 개발중인 광상으로는 청해성 格爾木 察爾汗광상이며 생산능
력은 20만톤이며 기타는 개발규모가 소규모임. 따라서 현재 농업용 카리비료의 대부분은 수
입에 의존함.
서부카리염자원의 부존특징은 분포가 집중되어있고 그중 청해성에 97%가 부존되어 있음.
대부분 염호자원이며 고체카리염자원은 소량임. 광석의 품위가 낮음.
인광
서부지역에는 현재 210개의 광구가 있으며 그중 대형이 35개소, 중형이 63개소 있음. 그중
탐광이 된곳은 52개소, 정밀조사가 이루어진 곳은 82개소, 기초조사가 이루어진 곳은 76개
소가 있음. '98년 현재 보유매장량은 77.36억톤이며 그중 A+B+C급 매장량이 35.3억톤임. 현재
개발중인 광구는 89개소이며 총매장량은 40억톤에 이름. 주개발 대상지는 운남 곤양, 귀주
개양, 옹복, 사천의 금하-청평 등 4대 인광생산기지임. 사천에서 생산중인 인광은 성내 자급
자족용이며 운남, 귀주성인광은 전국 각지로 공급되며 소량 수출하고 있음. 미개발중이나
개발계획이 가능한 곳으로는 귀주의 極樂, 穿岩洞, 운남의 晉寧2期, 尖山, 사천의 淸坪 馬家坪
등이 있음.
서부지역 인광의 특징으로는 매장량이 풍부하고 분포가 집중되어 있으며(총매장량의 58%)
특히 운남, 귀주 및 사천에 서부지역 매장량의 81%가 부존되어 있음. 또한 고품위 인광의 비
중이 높아 전국 고품위 인광 매장량의 80%가 3개성에 부존되어 있음. 그중에서도 특히 귀주
開陽-瓮福지역에 집중되어 있음. 광상유형은 퇴적형광상이 주를 이루어 총매장량의 86%를
점하고 있고 퇴적형광상의 형성시기는 후기 진단기, 선캠브리아기 및 데본기 지층임.
망초
서부지역에는 94개의 광구가 있으며 그중 대형이 33개소, 중형 35개소, 소형이 26개소있으며
탐사정도별 구분을 보면 탐광이 29개소, 정밀조사 45개소, 기초조사 20개소로 구분됨. '98
현재 Na2SO4 매장량은 171.77억톤이며 그중 A+B+C급 매장량이 35.86억톤이며 전국 총매
장량의 90%를 점하고 있음. 개발중인 광구는 43개소이며 이들의 매장량은 56억톤에 달하고
주요 개발지는 신강, 사천, 내몽고, 감숙, 운남 등임.
서부지역 망초자원의 특징으로는 매장량이 매우 풍부하여 세계 제1위 부존국이며 그 분포는
서부지역에 집중되어 있으며 특히 청해, 사천성의 매장량이 서부지역 매장량의 89%를 점하고
있음. 광상유형은 제4기 염호형 망초광상과 에오신의 육상쇄설암형 Ca-망초광상 등이 있음.
주요 분포지는 청해, 내몽고, 신강, 감숙, 섬서성 등임. 광상규모는 크며 광석 품위는 비교적
높음. 대형광상의 매장량이 총매장량의 91%를 점유함. 매장량 10억톤 이상의 광상으로는
청해 大浪灘, 내몽고 達拉特旗, 청해 互助縣 硝溝, 사천 新津 金華 Ca-망초광상 등이 있음. 본
지역은 부존심도가 얕고 교통여건이 편리하며 개발이 용이함.
(참고자료)
1. 중국통계년감 각년판, 중국통계출판사
2. 唐榮安 李永泰, 『西部大開發』, 南方出版社, 2000.4.1
3. 中國環境報(2000.3.23, 4.6)
4. 人民日報(1999.12.8, 2000.1.10, 3.5, 3.23, 3.30, 4.12, 4.27)
5. 중국 서부 대개발 `분리주의` 암초 2001/05/15
6. 중국의 몰락 - 고든 G.창 지음 ( 2002 )
7. 중국경제사 - D.H.퍼킨스 지음 ( 1997 )
8. 중국 서부지역의 투자환경과 투자사례 - 한국수출입은행 ( 2001 )
9. 중국 서부 대개발과 우리 기업의 진출 방향 - 한국수출입은행 ( 2001 )
10. 벼랑끝에 선 중국 - 칼럼 헨더슨 지음 ( 1999 )
11. 2020년 중국 - 사메지마 게이지ㆍ일본경제연구센터 엮음 ( 2002 )
12. KOTRA - http://www.kotra.or.kr
13. 삼성경제연구원 - http://www.SERI.org
14. 주한 중국대사관 - http://www.chinaemb.or.kr/korean
15. 대한매일 - http://www.kdaily.com
16. 매일경제 - http://www.mk.co.kr
17. 중국의 어제와 오늘 - http://myhome.naver.com/mugam20
18. CSF(중국전문가포럼) - http://csf.kiep.go.kr/home.nsf/intro.htm
19. 상공회의소 ( 경영자료 - 중국경제 ) http://www.korcham.net/
20. 시노코 SINOKO http://www.sinoko.com/index_frame.html
21. 조선일보 http://www.chosun.com/
22. 일요시사 http://www.ilyosisa.co.kr/SUNDAY/SUN_0251/0000.shtml
23. Kionline http://www.kionline.co.kr
24. 내외경제 http://www.ned.co.kr/SITE/data/html_dir/2003/01/02/200301020087.asp

키워드

중국,   서부,   개발,   특징,   산업,   서부지역
  • 가격1,000
  • 페이지수33페이지
  • 등록일2009.12.24
  • 저작시기2008.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6979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