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1. 안양시 관양동 일대의 토양 오염 복원사업으로 바라본 복원의 어려움.
2. 팔당댐 근처 경안천에서 발생하는 인공구조물에 의한 간접적인 오염사례
3. 사례연구를 통해 논점 제시
본론
1. 4대강 정비 사업의 목표와 논점 제시
2. 4대강 정비 사업의 경제적 실효성
3. 4대강 정비 사업의 환경적 부담감
4. 4대강 정비 사업의 사회적인 책임문제
결론
1. 청계천 복원 사업과 4대강 정비 사업의 유사성
2. 제언
1. 안양시 관양동 일대의 토양 오염 복원사업으로 바라본 복원의 어려움.
2. 팔당댐 근처 경안천에서 발생하는 인공구조물에 의한 간접적인 오염사례
3. 사례연구를 통해 논점 제시
본론
1. 4대강 정비 사업의 목표와 논점 제시
2. 4대강 정비 사업의 경제적 실효성
3. 4대강 정비 사업의 환경적 부담감
4. 4대강 정비 사업의 사회적인 책임문제
결론
1. 청계천 복원 사업과 4대강 정비 사업의 유사성
2. 제언
본문내용
2001년 12월 27일의 인덕원의 지하터널 기름 유출 사고로 인해서 안양 관양동 일대에서는 한국종단송유관과 관련하여 이를 폐쇄하라는 민원이 빗발쳤다. 물론 이와 더불어 2004년 고려산업개발 저수조창고에서 폭발사고의 원인 또한 이 송유관에서 230m나 떨어져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인덕원 지하터널에서 유출된 기름과 동일한 것으로 밝혀지고 이 것이 한국종단송유관과 관련이 있었음을 알게 된 시민들의 송유관 폐쇄조치를 요구하는 목소리는 더더욱 커질 수 밖에 없었다. 당시에 발견된 토양 오염의 정도는 면적 약 16,131 m^2이었으며, 부피는 약 85,803 m^3에 달했다. 또한 지하수의 오염 또한 그 면적이 약 103,810〖 m〗^2에 달하는 정도로 어마어마한 것이었다. 그로부터 2009년 5월30일 환경과학실습 견학 팀이 찾았던 인덕원 유류유출복원현장은 여전히 오염된 토양과 지하수의 복원을 하고 있었다. 토양을 복원하기 위해서 토양정화 미생물을 200톤 가량 지금까지 주입을 해왔었고, 앞으로도 270톤을 더 주입할 예정이라고 한다.
추천자료
서울 중구 지역 도시 개발
지역적응형 가구단위 주거지 정비방안
4대 부동산 개혁법안에 대한 고찰[Final]
학교사회사업
수변공간 비교 연구 - 유럽의 사례와 한강르네상스 프로젝트 [4대강유역사업]
개성공단사업의 추진실적과 전망
뉴타운 사업의 문제점과 개선점의 분석 연구
주거환경개선사업의 문제점과 과제
토지개발과 관리제도
제3차 수도권 정비계획(안) 2006 ~ 2020년
[보건복지부][보육사업][지역자활지원계획]보건복지부의 사업별예산, 보건복지부의 보육사업,...
[정보화 사업평가][정보화][사업평가][사업][정보][정보화 사업평가 부진요인][정보화 사업평...
도시개발의 새로운 패러다임에 대해
도시재생사업 개요와 해외 도시재생 사례 조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