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유교의 기원과 사상
2.한대의 유교
3.위진남북조대의 유교
4.수,당시대의 유교
5.동아시아 문화권 국가의 유교
1)한국의 유교
2)일본의 유교
3)베트남의 유교
2.한대의 유교
3.위진남북조대의 유교
4.수,당시대의 유교
5.동아시아 문화권 국가의 유교
1)한국의 유교
2)일본의 유교
3)베트남의 유교
본문내용
불교, 유교를 한데 섞으면서 서로 상해하지 않고 공존하는 종교, 도덕의 다원적인 사상 구조를 형성, 유지하게 되었다.
에도시대 유교는 단순한 종교나 도덕윤리로 여겨졌다. 유교가 지닌 생활 규범은 조선과는 비교 할 수 없을 만큼 약했으며, 주자가례(朱子家禮)도 존재하지 않았다. 당시 유교는 학문의 영역에 그칠 뿐이었다. 에도시대의 유교는 조선과 달리 주자학 이외의 학문을 배격하지 않았다. 이러한 점은 당시 일본에 과거제도가 없었던 점과 크게 관련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과거시험을 위해 주자학을 공부할 필요가 없었으므로 주자학은 압도적 지배력을 가질 수 없었고 다른 학문을 억압하지도 않았다. 일본의 종교, 도덕의 사상구조가 다원적이듯 학문,지식의 사상구조도 다원적이었다 할 수 있다. 당대 조선과 비교 했을 때 일본은 국학과 난학을 연구하는 등 학계와 지식이 매우 다채로웠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5-3)베트남의 유교
베트남인은 교육을 통해서 중국문화를 수용하게 되었는데, 791년에는 안남 도호 자오창이 학교를 세우고 중국의 학문을 장려했다. 한 대부터 당대까지 수 백년간 이어져온 중국의 통치로 인해 베트남인들은 중국문화와 친숙해질 수 있었으며, 생활의 편의를 위해 중국의 문화를 적극적으로 받아들였다. 명은 베트남에 지배권을 확립, 영속화하기 위해 행정체계를 정립하였고 문화 동화정책을 펼쳤다. 행정관아를 설치하고 문화 기관도 설립이 되었다. 학교를 설립하여 교육을 실시하였는데, 명의 주요 관심사였던 유학교육을 위해 1419년 사서오경, 성리대전(性理大全)이 베트남에 전해졌다.
1418년 타인 호아 지방에서 군사를 일으킨 러레이는 명의 군대를 물리치고 레 왕조를 세우게 된다. 1460년 타인 똥(1460~1497)은 유교 이념을 바탕으로 군주의 중앙집권체제를 강화했다. 왕위 계승순위가 낮았던 그는 유교경전에 몰두했었으며 황제의 지위를 강화하는데 주력했다. 타인 똥은 유교 발전을 위해 오경박사를 두었으며 태학을 증축하였고, 궁중의식을 거행했다. 1484년 이후에는 진사제명비를 문묘안에 세워 그 영예를 기리도록 했다. 유교 이념은 시간이 지나면서 지도층에 점차 확산되었고 민중들에게도 침투 되어졌다. 응우엔 왕조 시기에는 유교적 통치제제와 유교 문화가 더욱 강하게 자리잡게 되었고 과거제도로 인해 유교교육이 널리 퍼지게 되었다. 이러한 유교교육과 과거제도는 오늘날 베트남의 높은 학구열의 전통이라 할 수 있다.
에도시대 유교는 단순한 종교나 도덕윤리로 여겨졌다. 유교가 지닌 생활 규범은 조선과는 비교 할 수 없을 만큼 약했으며, 주자가례(朱子家禮)도 존재하지 않았다. 당시 유교는 학문의 영역에 그칠 뿐이었다. 에도시대의 유교는 조선과 달리 주자학 이외의 학문을 배격하지 않았다. 이러한 점은 당시 일본에 과거제도가 없었던 점과 크게 관련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과거시험을 위해 주자학을 공부할 필요가 없었으므로 주자학은 압도적 지배력을 가질 수 없었고 다른 학문을 억압하지도 않았다. 일본의 종교, 도덕의 사상구조가 다원적이듯 학문,지식의 사상구조도 다원적이었다 할 수 있다. 당대 조선과 비교 했을 때 일본은 국학과 난학을 연구하는 등 학계와 지식이 매우 다채로웠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5-3)베트남의 유교
베트남인은 교육을 통해서 중국문화를 수용하게 되었는데, 791년에는 안남 도호 자오창이 학교를 세우고 중국의 학문을 장려했다. 한 대부터 당대까지 수 백년간 이어져온 중국의 통치로 인해 베트남인들은 중국문화와 친숙해질 수 있었으며, 생활의 편의를 위해 중국의 문화를 적극적으로 받아들였다. 명은 베트남에 지배권을 확립, 영속화하기 위해 행정체계를 정립하였고 문화 동화정책을 펼쳤다. 행정관아를 설치하고 문화 기관도 설립이 되었다. 학교를 설립하여 교육을 실시하였는데, 명의 주요 관심사였던 유학교육을 위해 1419년 사서오경, 성리대전(性理大全)이 베트남에 전해졌다.
1418년 타인 호아 지방에서 군사를 일으킨 러레이는 명의 군대를 물리치고 레 왕조를 세우게 된다. 1460년 타인 똥(1460~1497)은 유교 이념을 바탕으로 군주의 중앙집권체제를 강화했다. 왕위 계승순위가 낮았던 그는 유교경전에 몰두했었으며 황제의 지위를 강화하는데 주력했다. 타인 똥은 유교 발전을 위해 오경박사를 두었으며 태학을 증축하였고, 궁중의식을 거행했다. 1484년 이후에는 진사제명비를 문묘안에 세워 그 영예를 기리도록 했다. 유교 이념은 시간이 지나면서 지도층에 점차 확산되었고 민중들에게도 침투 되어졌다. 응우엔 왕조 시기에는 유교적 통치제제와 유교 문화가 더욱 강하게 자리잡게 되었고 과거제도로 인해 유교교육이 널리 퍼지게 되었다. 이러한 유교교육과 과거제도는 오늘날 베트남의 높은 학구열의 전통이라 할 수 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