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요리(음식) 조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일본 요리(음식) 조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일본요리의 특징

(1) 관서요리의 개관

(2) 관동지방과 차이가 나게 된 이유는?

(3) 관동지방과 맛의 차이

(4) 요리에 따른 주방의 조직 및 구성

(5) 음식별 지역차이

조사를 마치며...

본문내용

강한 맛의 소바(메밀국수)가 유명한 반면, 관서 지방은 연한 맛의 우동류가 유명하다.
우동에도 지방색이 드러나는데 오랜 전통이 있는 일본 우동은 도쿄를 중심으로 한 관동 지방의 그것과 오사카를 중심으로 한 관서지방의 것으로 대별되는데 전자는 면발이 굵고 끈기가 있으며 풀어지지가 않아 씹히는 맛이 있으며 후자는 면발이 연하고 말랑말랑하며 끈기가 있다. 기후가 좋아 양질의 밀이 생산되는 시꼬꾸(四國)지방을 중심으로 발달된 관서지방의 우동을 더 치며 이를 사누끼(讚岐) 우동이라 한다.
4) 김밥, 초밥
초밥의 원조가 관서 지방이라면 김초밥은 관동 지방이 원조이다. 똑같은 김인데도 관서와 관동 지방의 사용법이 다르다. 관동 지방에서는 김을 구워서 사용하고 관서 지방에서는 생김을 사용한다. 또 관동 지방에서는 향기와 바삭바삭한 느낌을 중요시하는 반면 관서 지방에서는 자연 그대로의 색과 맛을 중요시한다. 마키스시의 경우 관동 지방에서는 1장의 김을 사용하는데 관서 지방에서는 김의 끝 3-4cm를 잘라 가운데를 포개 놓고 만든다. 말았을 때 김이 부서져 밥이 튀어나오는 것을 막으면서 아울러 김의 색깔을 보기 좋게 하기 위해서라고 한다.
5) 설날음식(오조니)
설 3일간의 음식은 오세치와 오조니가 보통인데, 그 내용물은 지방에 따라 가정에 따라 각기 특색이 있다.
오조니(お雜煮)란 일본식 떡국인데 일반적으로 야채, 생선(특히 연어), 고기 등이 든 맑은 장국이나 된장국에 떡을 넣은 것으로 신년을 축하하는 대표적인 요리이다.
일반적으로 관서지방은 하얀 된장, 관동지방은 맑은 장국에 떡을 넣는데, 그 떡도 관동지방은 절편떡이고, 관서지방은 하나하나 둥글게 만든 떡이다.
조사를 마치며...
한국 내에서도 즐겨먹는 일식, 그 특징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해 볼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 특히 우리와 가까운 나라인 일본의 요리의 특징을 살펴보면서 우리 나라 요리의 조리와는 사뭇 다른 점들을 느낄 수 있었다. 겉보기에서부터 차이가 많이 나지만 맛에 있어서도 쓰이는 재료나 조리방법이 많이 다름을 알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일본 내에서도 관동지방과 관서지방이 매우 큰 차이를 두고 있음도 알게 되었다.
이번 조사에 있어 어려웠던 점은 일식에 대한 자료가 불충분할 뿐만 아니라 일본어에 익숙하지 않아서 조리용어들을 사전으로 일일이 찾아보느라 힘들었던 것이다. 아마도 이런 조리용어들이 어려움에 따라 자료가 부족한 건 아닌지 생각해보았다.

키워드

  • 가격1,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9.12.30
  • 저작시기2009.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7070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